||<-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1 '''남광산 요금소'''}}}[br]{{{-2 '''南光山 料金所'''}}}[br]{{{-2 '''South Gwangsan Tollgate'''}}}}}}}}} || || [[남광산IC|{{{#!html광산 방면}}}]][br][[남광산IC]][br] ← 1.0 km ||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00.svg|height=23]]{{{#!html
광주외곽순환선}}}]]'''{{{#fff {{{+1 TG}}}}}}'''[br]{{{#!html}}} || [[남장성JC|{{{#!html 장성 방면}}}]][br][[남장성IC|]][br] 5.1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35.191949 126.756533, 너비=100%, 높이=225px)]|| ||<-3> {{{#fff '''주소'''}}} || ||<-3>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막동 || ||<-3> {{{#fff '''관리기관'''}}} || ||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fff 광주외곽순환선}}}]] ||<-2>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사 || ||<-3> {{{#fff '''개통'''}}} || ||<-3> [[2022년]] [[12월 20일]] || [목차][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막동에 위치한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상의 폐쇄식 요금소. == 구조 == === [[남장성JC|장성]] 방향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1~2차로'''. * 일반 진출차로: '''3차로'''. * 일반 [[하이패스]] 진출차로: '''4차로'''. === [[남광산IC|광산]] 방향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1~2차로'''. * 일반 진출차로: '''3차로'''. * 일반 [[하이패스]] 진출차로: '''4차로'''. 여기도 [[광주TG]], [[서울TG]]처럼 다차로 하이패스가 설치되어있다. == 역사 == * [[2022년]] [[12월 20일]] 오후 4시에 개통했다.[* [[http://m.molit.go.kr/viewer/skin/doc.html?fn=ec367ce97fa6e4c033a6f989abf54a9d&rs=/viewer/result/20150831|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43호]], 2015-08-31, 국토교통부] 개통과 동시에 다차로 하이패스 설치가 된 톨게이트다. == 특징 == [[광주광역시]]에 위치해 있지만, 광주보다는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충청도]], [[전주시|전주]]에서 [[나주시|나주]][*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포함], [[영암군|영암]][* 삼호읍, 미암면, 학산면, 서호면은 제외], [[강진군|강진]], [[해남군|해남]][* 문내면, 화원면, 산이면은 제외], [[완도군|완도]] 등 '''[[전라남도]] 남부권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맡고 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의 구간)] [[분류: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요금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