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 rd1=남구(부산광역시))]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부산광역시의 정치]][[분류:남구(부산)]]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남구(부산광역시)/정치)]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남구}}}}}} {{{#fff (부산)}}}'''[br]{{{-1 {{{#fff 남구 일원[br]南區[br]Nam}}}}}}}}}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남구(부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23,869명 (2024)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남구(부산광역시)|{{{#373a3c,#ddd 남구}}}]] 전지역'''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 || ||<-2> '''신설년도'''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2000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024년]] || ||<-2> '''이전 선거구''' ||<-2> [[남구 갑(부산)|남구 갑]], [[남구 을(부산)|남구 을]]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박수영(정치인)|박수영]]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광역시)|남구]]를 관할하는 선거구이다. [[수영구]]가 분구되기 전의 옛 선거구는 다루지 않는다. 소선거구제가 실시되고 1995년 [[수영구]]가 분구된 이후에도 갑/을로 나뉘었다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전국적으로 지역구 의석을 줄이며 상한선 이하로 떨어져 합구되었다가 2004년 다시 분구되었다. 그러나 남구의 인구가 계속 떨어지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합구 논의가 나왔고[* 당시 결론적으로는 분구가 유지되었지만 관할 구역을 상당 부분 변경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결국 24년 만에 합구되어 다시 선거구가 부활했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6대 || [[김무성]] || [include(틀: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5> '''남구 갑''', '''남구 을''' 분구 || || 제22대 || [[박수영(정치인)|박수영]] || [include(틀:국민의힘)] || 2024년 5월 30일 ~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 {{{+1 '''남구'''}}}}}}[br]{{{#fff 부산 남구 일원[*남구1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김무성|{{{#373a3c,#ddd 김무성}}}]](金武星)''' || '''75,21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6.93%''' || '''당선''' || ||<|2> {{{#fff {{{+5 '''2'''}}}}}} || {{{#373a3c,#ddd 송정섭}}}(宋正燮) || 13,060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1.62% || 낙선 || ||<|2> {{{#fff {{{+5 '''4'''}}}}}} || {{{#373a3c,#ddd 김용철}}}(金容哲) || 24,096 || 2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21.4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9,942 ||<|3> '''투표율'''[br]51.90% || || '''투표 수''' || 114,230 || || '''무효표 수''' || 1,859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구 갑(부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구 을(부산))] 인구수 초과로 인해 [[남구 갑(부산)|남구 갑]]과 [[남구 을(부산)|남구 을]]로 분구되어 선거를 치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 {{{+1 '''남구'''}}}}}}[br]{{{#fff 부산 남구 일원[*남구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박재호|{{{#373a3c,#ddd 박재호}}}]](朴在昊) || 70,86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59% || 낙선[* [[더불어민주당]], [[진보당(2020년)|진보당]] 단일 후보] || ||<|2> {{{#fff {{{+5 '''2'''}}}}}} || '''[[박수영(정치인)|{{{#373a3c,#ddd 박수영}}}]](朴洙瑩)''' || '''84,563'''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4.4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23,869 ||<|3> '''투표율'''[br]70.30% || || '''투표 수''' || 157,215 || || '''무효표 수''' || 1,784 || ||<-5> {{{#fff '''22대 총선 부산 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재호|{{{#fff '''박재호'''}}}]] || [[박수영(정치인)|{{{#fff '''박수영'''}}}]] || || '''득표수[br](득표율)''' || '''70,868 [br] (45.59%)''' || {{{#fff '''84,563 [br] (54.40%)'''}}} || '''-13,695 [br] (▼8.81)''' || '''157,215[br](70.30%)''' || || '''대연1동''' || 43.87% || {{{#e61e2b 56.12%}}} || ▼12.25 || 60.96 || || '''대연3동''' || 49.73% || {{{#e61e2b 50.26%}}} || ▼0.53 || 64.70 || || '''대연4동''' || 43.89% || {{{#e61e2b 56.10%}}} || ▼12.21 || 69.66 || || '''대연5동''' || 44.00% || {{{#e61e2b 55.99%}}} || ▼11.99 || 66.12 || || '''대연6동''' || 44.60% || {{{#e61e2b 55.39%}}} || ▼10.79 || 74.95 || || '''용호1동''' || 40.60% || {{{#e61e2b 59.39%}}} || ▼18.79 || 69.72 || || '''용호2동''' || 44.88% || {{{#e61e2b 55.11%}}} || ▼10.23 || 70.23 || || '''용호3동''' || 46.74% || {{{#e61e2b 53.25%}}} || ▼6.51 || '''76.58''' || || '''용호4동''' || {{{#152484 '''50.48%'''}}} || {{{#808080 49.51%}}} || △0.97 || 71.84 || || '''용당동''' || 44.68% || {{{#e61e2b 55.31%}}} || ▼10.63 || 70.09 || || '''감만1동''' || 47.78% || {{{#e61e2b 52.21%}}} || ▼4.43 || 67.35 || || '''감만2동''' || 43.53% || {{{#e61e2b 56.46%}}} || ▼12.93 || 69.34 || || '''문현1동''' || 41.01% || {{{#e61e2b 58.98%}}} || ▼17.97 || 67.67 || || '''문현2동''' || 40.97% || {{{#e61e2b 59.02%}}} || ▼18.05 || {{{#808080 58.16}}} || || '''문현3동''' || 42.70% || {{{#e61e2b 57.29%}}} || ▼14.59 || 68.07 || || '''문현4동''' || {{{#808080 39.36%}}} || {{{#e61e2b '''60.63%'''}}} || ▼21.27 || 67.08 || || '''우암동''' || 42.01% || {{{#e61e2b 57.98%}}} || ▼15.97 || 69.56 || || '''후보''' || [[박재호|{{{#fff '''박재호'''}}}]] || [[박수영(정치인)|{{{#fff '''박수영'''}}}]]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5.60% || {{{#e61e2b 54.39%}}} ||<-2> ▼8.79 || || '''관외사전투표''' || {{{#152484 57.07%}}} || 42.92% ||<-2> △14.15 || || '''국외부재자투표''' || {{{#152484 '''74.58%'''}}} || 25.41% ||<-2> △49.17 || ||<-4>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width=200]] || || '''후보''' || [[박재호|{{{#ffffff '''박재호'''}}}]] || [[박수영(정치인)|{{{#ffffff '''박수영'''}}}]] || '''격차''' || || 전체 || {{{#152484 51.3%}}} || 48.7% || 2.6%p || 남구 갑/을 선거구가 인구수 미달로 인해 통폐합되어 단독 선거구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 선거구 확정안에 따르면 실제로 단독 선거구로 된다고 한다. [[국민의힘]]에선 남구 갑의 현역 [[박수영(정치인)|박수영]]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선 남구 을의 현역 [[박재호]] 의원이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제 둘 다 공천이 확정되고[* 민주당에서는 기존의 남구 갑에 공천을 받았던 [[박재범(정치인)|박재범]] 전 남구청장의 거취가 관건이었는데, 2024년 3월 4일 후보직에서 사퇴한 뒤 박재호 의원 지지를 선언하였다.] 2024년 2월 29일 남구가 합구된 선거구 획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맞대결이 이뤄지게 되었다. 두 후보는 모두 이전부터 양쪽 지역구 행사에 서로 왔다갔다하며 이미 합구 이후를 준비하고 있었다. 사실 선거 초만 해도 지난 선거에서 접전 끝에 약 2%p 차로 당선된 [[박재호]] 대비 약 11%p 차로 당선된 [[박수영(정치인)|박수영]]이 두 지역구가 합쳐진만큼 유리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이후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박재호 의원이 박수영 의원을 약간 앞서는 것으로 나오면서 박빙 승부가 예상되었다.[[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key=20240325.99004006926|#]] 이는 박재호 후보 특유의 지역밀착형 행보에 더불어 정권 심판론 때문에 대표적인 친윤 인사인 박수영 역시 반윤 진영에 찍힌 점이 한몫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다가 3월 말, 4월 초에는 박수영 의원이 박재호 의원을 약간 앞서는 여론조사가 나오면서 점점 알 수 없게 되었다.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박재호 의원이 51.3% vs 48.7%로 2.6%p 차로 경합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만 JTBC 출구조사 결과는 박수영 의원이 51.2% vs 48.8%로 2.4%p 차로 경합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막상 투표함을 열어보니 실제로는 박수영 의원이 10%p가 넘는 차이로 계속해서 앞서갔으며 결국 8.81%p 차로 당선되었다. 개표 결과 용호4동[* 여기도 단 '''51표''' 차이로 근소했다.]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승리했으며, 막판에 관외 사전투표에서 박재호 후보가 압도적으로 이기면서[* 2,043표차] 격차가 살짝 줄긴 했지만 대세에 영향은 없었다. 박재호 입장에선 문현동, 감만동, 우암동에선 이길 가능성이 높지 않으니[* 세 동 모두 노년층 인구가 많아서 보수세가 강하다.] 자신이 그나마 선전하거나 이겼던 용호동,대연동에서라도 이겼어야 했는데 [[용호동(부산)|용호동]],[[대연동]] 일대가 [[문재인 정부]]의 [[종합부동산세]] 인상에 대한 반감과 [[이대남|20대 남성]]의 보수화로 인해 보수 우위가 된 것이 뼈 아팠다고 볼 수 있으며. 반면 박수영 후보는 기존 지역구였던 [[감만동]],[[문현동]], [[우암동]]에서 넉넉히 이긴 건 물론 새로 편입된 대연동과 용호동에서도 넉넉한 격차로 이긴 것이 의외로 넉넉한 격차로 이기는 데 도움을 줬다고 보면 무방하다.[* 게다가 박재호도 지역구 관리를 잘했지만, 박수영 후보도 지역구 관리를 꽤 잘 한 편이였기에 지역 일꾼론에서도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