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39bb3a79f10155c5160b324d78c21a6e.jpg]] [목차] == 개요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1~3가, 구천동, 영동, 지동 소재의 [[재래시장]]. 경기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시장이며, 9개의 시장[* 구천동 공구상가를 제외한 모든 시장은 시장끼리 아케이드로 연결되어 있다. --[[수원천]] 다리만 빼고--]으로 이루어져있다. [[수원화성]]의 남문인 [[팔달문]] 주변에 모여있어서 이 시장들을 통틀어 남문시장이라 불린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22960361|기사]] == 시장 목록 == === 구천동공구시장 ===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I00000461634.jpg]] 보통 '구천동공구상가'라 불리며, 보통 철물이나 공구 구하러 '시내' 나간다는 말을 들을 때 시내는 대개 여기를 의미한다. === 남문로데오시장 === [[파일:SSL20014.jpg]] 팔달문 뒤 행궁로를 따라 조성된 곳으로, 시장이라기보단 로데오거리에 가까운 곳이다. (그래서 수원시민들은 주로 남문로데오거리라 호칭한다. --아니면 남문로데오라던지--) 그래서 주로 청소년들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소극장인 남문 로데오아트홀이 있어서 종종 연극을 상영하곤 한다. 또, [[메가박스]] 남문점[* 남문로데오거리의 식당에서 메가박스 8천원 쿠폰을 배포하니, 많이 이용하도록 하자.]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며 야외 공연장으로 청소년문화공연장이 있어서 청소년 공연,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최근에는 '남문로데오갤러리'가 생겨서 각종 미술작품을 전시하곤 한다. === 남문패션1번가시장 ===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jungilee1000|블로그]]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20161216112902_IMG_5535.jpg|width=750]] 패션1번가라는 이름 답게 주로 의류매장이 대다수를 이루며, 다양한 메이커 매장들이 위치하고 있다. 또, 보석을 취급하는 매장들도 꽤 있다. 최근에 아케이드 공사가 끝나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http://rja49.tistory.com/entry/%EB%82%A8%EB%AC%B8%ED%8C%A8%EC%85%981%EB%B2%88%EA%B0%80-%EC%95%84%EC%BC%80%EC%9D%B4%EB%93%9C-%EA%B3%B5%EC%82%AC%EB%A1%9C-%EC%BE%8C%EC%A0%81%ED%95%9C-%EC%8B%9C%EC%9E%A5%EB%A7%8C%EB%93%A0%EB%8B%A4|관련 기사]] === 못골시장 ===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022803055_0.jpg]] [[파일:external/www.motgol.com/map_whole.jpg]] 못골시장 지도 [[http://www.motgol.com/|홈페이지]] 정식명칭은 못골종합시장으로, 1970년에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2003년 상인회가 설립되고 2005년 인정시장으로 등록되었다. 못골시장은 식재료가 메인인 시장으로 각종 농산물, 청과물, 축산물, 수산물을 주로 판매중이며 각종 반찬, 떡, 김, 두부가게들도 위치하고 있다. 중간중간에 분식이나 빈대떡, 통닭, 만두를 파는 가게들도 있으며 몇몇 식당(백반, 칼국수, 냉면 등)도 못골시장에 위치하고 있으며, 의류나 그릇, 전기용품을 파는 가게도 있다. 또, 못골시장은 남문시장에 있는 시장 중 홍보가 가장 활발하며, 다양한 상인 동아리가 많다. --당장 홈페이지만 봐도 정성이 넘친다-- 특히 못골시장 라디오나 상인 합창단, 밴드등이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95426|기사1]] [[http://boomup.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28/2014022803177.html|기사2]] 못골시장 옆 팔달주차타워에는 '못골쉼터'가 있으며, 잠깐 쉬어갈 수도 있다. === 미나리광시장 === [[http://minarigj.alltheway.kr/|홈페이지]]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20140626_121637.jpg]] [[파일:external/minarigj.alltheway.kr/sub1_img2.png]] 미나리광시장 마스코트 미나리광시장은 시장일대가 미나리밭이여서 미나리광시장이라는 시장명이 생겼으며, 직접지은 농산물을 파는 노점이 하나, 둘씩 생겨나면서 노점으로 시장이 형성되었다. 현재는 수원천의 정비로 인해 노점은 사라지고, 2008년 인정시장으로 등록되어 지금의 골목형 시장으로 탈바꿈하였다. 위치는 못골시장과 지동시장 사이로, 두 시장과 같이 식재료와 반찬등을 주로 판매중이다. 또, 방앗간과 고추를 파는 매장이 많아 그 골목은 아예 '고추골목'이라고 불린다. 미나리광시장 안에는 도너츠를 파는 가게가 있는데, 맛이 좋아서 인기가 많다. === 영동시장 === [[http://www.suwonyd.com|홈페이지]] / [[http://blog.naver.com/suwonyd|블로그]]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DSC04017.jpg]] [[1919년]]에 건립된 시장으로, [[1950년]]에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되어 [[1951년]]에 복구를 했는데, 다시 화재가 나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970년]] 또 화재(...)가 나서 [[1972년]]에 아예 철근 콘크리트로 된 건물(당시 2층)을 올렸으며, [[1980년]]에 현재의 모습이 된다. 그 후에도 각종 리모델링 등이 있어서 [[2017년]]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영동시장은 의류, 포목, 커튼, 식품, 이불, 잡화 등을 판매하는 시장으로 특히 [[한복]] 점포가 40여개로 한복 특화시장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19:00~21:30 쯤 푸드트럭이 많이 있다. === 시민상가시장 === 경기도 백화점 제1호이자 수원시 등록 인정시장 제1호인 시민상가시장은 본래 [[1957년]] 수원시에서 건물을 지어 '시민백화점'이라는 이름[* 그래서 시민상가시장이라고 하면 잘 모르지만 '시민백화점'이라고 하면 바로 알아듣는다. --애초에 간판도 시민백화점이고--]으로 매장을 임대한 시영백화점이였다가 상인들에게 상가를 분양하여 현재까지 운영중이다. [[http://www.newstow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028|기사]] 주로 의류를 판매중이며, [[KB국민은행]] 수원남문지점이 시민백화점 안에 있다. === 지동시장 === [[http://www.jdmarket.co.kr/|홈페이지]]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560393_STD.jpg]] [[1970년]]대 부터 형성된 시장으로, 그때부터 순대, 정육, 식품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지동시장은 주로 농축산물, 수산물, 건어물, 청과물 등의 식재료를 취급하며, 식당이 많기로 유명하다. 특히 지동시장 내에 있는 '순대타운'[* 포장손님도 많으며, 수원내에서 순대나 곱창을 사러 많이 온다.]에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 팔달문시장 === [[파일:external/blogfiles1.naver.net/%C6%C8%B4%DE%B9%AE%BD%C3%C0%E5_%281%29.jpg]] 참고로 [[다이소]]는 지동교 인근으로 이전했으니 참고하자. 화성행궁 축조 당시에 [[정조(조선)|정조]]가 만든 시장으로, 역사상 유일하게 왕이 만든 시장이라는 점이 특징이며 양반에 뿌리를 둔 수원상인인 유상(柳商)[* 정조가 수원천 인근에 버드나무를 많이 심어 ‘유경(柳京)’이라는 별칭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수원천은 유천(柳川)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세류동에는 유천교라는 다리도 있다.]으로 유명하다. 말 그대로 팔달문 바로 옆에 있는 시장으로, 주로 의류, 가방, 속옷등을 취급한다. == 교통 == === 버스교통 === 버스 교통은 가히 최고 수준으로, 수원시 대다수 버스가 팔달문이나 [[중부대로]]를 거쳐 가기 때문이다. 아래 분류는 하행 기준으로, 상행은 [[경기광주 버스 65|65번]]을 제외한 모든 버스가 팔달문시장 앞에 정차한다. * 팔달문 남부 수원역[* 매교역이라고 기재하지 않은 버스는 수원역을 경유한다.] 방면 정류장 - 팔달문시장, 영동시장 인접 * [[화성 버스 11]] (구운동, 반월, 안산 방면) * [[수원 버스 13]] (탑동, 칠보 방면) * [[수원 버스 20]] (매교역, 세류역, 오산 방면), [[수원 버스 20-1]](20번과 같으나 세교신도시 경유) * [[수원 버스 25]], [[수원 버스 25#s-2|수원 버스 25-2]], [[수원 버스 25#s-3|수원 버스 25-5]] (정남 방면) * [[수원 버스 35]] (봉담, 향남 방면) * [[오산 버스 46]] (고색동, 와우리, 병점, 오산 방면) * [[수원 버스 64]] (매교역, 터미널, 망포동, 동탄 방면) * [[화성 버스 400]] (매송, 비봉, 남양, 마도, 사강, 서신, 궁평항 방면) * [[수원 버스 3000]] (고색, 수원여대 방면) * [[수원 마을버스 1]] * 팔달문 북부 중부대로 방면 * [[수원 버스 3]] (화서동 ↔ 영통) * [[수원 버스 4-1]] (조원동 ↔ 상갈) * [[수원 버스 27]] (파장동 ↔ 수지) * [[수원 버스 61]] (칠보, 성대, 상공회의소 ↔ 매탄동, 망포역, 동탄) * [[수원 버스 62-1]] (칠보, 성대, 정자지구 ↔ 매탄동, 영통) * [[경기광주 버스 65]] (흥덕지구 ↔ 안양역) * [[용인 버스 66]] (수원역 ↔ 에버랜드) - 66-4와 더불어 수원역을 가지만 장안문, 화서문, 고등동으로 돌아간다. * [[용인 버스 66-4]] (수원역 ↔ 동백, 에버랜드) * [[수원 버스 82-1]] (수원역 → 남문시장 → 곡반정동) * [[수원 버스 83-1]] (곡반정동 → 남문시장 → 수원역) * [[수원 버스 88]] (수원여대, 탑동, 서둔동, 수원역, 권선동, 매탄동 ↔ 장안문, 수원야구장, 조원동) * [[수원 버스 98]] (파장동 ↔ 매탄주공, 산남중, 망포역, 동탄) * [[수원 버스 112]] (곡반정동 ↔ 율전동) * [[수원 버스 3000]] * [[수원 마을버스 1]] [[분류:팔달구]][[분류:경기도의 재래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