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84b347432ab843b6bafa1f783005f920.jpg]] ||[[파일:Southern-Great-Wall-scaled.jpg|width=345]]||[[파일:v2-d3a7b2522a84cc1ee6a22578c52f6ad7_1440w.webp|width=374]]|| ||||복원된 성벽과 장성 지도 |||| [목차] == 개요 == 苗疆邊牆 / 苗疆长城 / 南方长城 [[영어]] Miaojiang / Southern Great Wall [[중국]] [[후난성]]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의 장성 유적. 17세기 명청대에 [[묘족]]을 대상으로 세워진 150km 가량의 장성으로, 묘강변성 혹은 묘강장성으로도 불린다. 다만 통상적으로 북방의 [[만리장성]]과 비교하여 남방장성으로 알려져 있다. == 구조 == [[파일:nanfangchangchengfeigaoqingtupian-12892420_3.jpg]] 남방장성은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를 남북으로 가르는 형태로, 지서우시 시췌잉 (喜鹊营)에서 시작해 남쪽의 [[펑황현]] 팅즈관 (亭子关)까지 150 ~ 190km 가량 이어진다. 약 120m 간격으로 세워진 1300여개의 초소에 각각 5명 정도씩 5천 ~ 7천여 병력이 배치되었고 요새와 관문도 있었다. 성벽은 높이 3m, 하단폭 2m에 상단폭 1m 규모이고 성돌 역시 만리장성 1/6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였다. 주로 험준한 산세를 따라 축성되었기에 얼핏 보면 일반 산성처럼 보인다. == 역사 == [[파일:675fcab5fd1d444b9ee04e41320db017.jpg]] [[명나라]] 후기인 1615 ~ 1622년에 세워졌고, 1640년대 명나라의 혼란을 틈타 묘족들이 봉기하여 장성을 허물었다. 이후 [[청나라]] 시기인 1662년까지 재건되었고, 18세기 중반에도 보수되었다. 하지만 20세기 들어 방치되었고, 주민들이 건축 자재용 채석장으로 활용하는 바람에 80년대까지 대부분 파괴되었다. == 복원과 홍보 == [[파일:묘강변성.jpg]] 2000년, 펑황현의 국가역사문화명성 지정을 위한 조사 중에 발견된 유구가 그동안 기록상으로만 확인되고 위치를 비정하지 못했던 남방장성으로 밝혀진 이래로 복원이 이루어졌다. 2001년 중반까지 펑황현 서쪽의 약 2km 가량이 복원, 정리되었다. 2003년에는 인근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바둑판을 만들고 [[봉황고성배]] 한중 바둑전을 개최하고 있다. == 기능 == [[파일:nanfangchangchengtupian-12048541_3.jpg]] 남방장성은 북방의 만리장성처럼 이민족의 침공을 막는 기능도 있었지만, 묘족 중에서 조정에 복속하지 않은 생묘족을 격리하기 위함이 주된 목적이었다. 따라서 묘족들에 있어 장성은 실질적으로 외부와의 소통과 교역 등 일상 생활 영위에 있어 위협이 되는 장애물이었고, 1순위 파괴 대상이었다.[* 그런 면에서 최근 이스라엘이 세운 팔레스타인 분리장벽과 비교된다] 이렇게 중화 제국들이 일개 소수민족의 격리를 위해 노력한 것은 그만큼 묘족이 호전적이고 전투에 능했음을 반증한다. [[분류:성채/중국]][[분류:중국의 문화재]][[분류:중국의 관광지]][[분류:후난성]][[분류: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