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구 수인선, rd1=숭의역)]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 '''[[석탄부두선|{{{#fff {{{-1 석탄부두선}}}}}}]]''' || --[[인천항역|[ruby(인천항, ruby=1911~불명)]]]-- - '''남부''' || ||<-3> {{{+2 '''남부역'''}}}[br]{{{#red '''(폐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남인천역, 너비=300px,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mbu || || [[한자]] ||<-2> 南部 || || [[가나(문자)|가나]] ||<-2> [ruby(南部, ruby=ナンブ)] || ||<-3> '''주소''' || ||<-3>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441-13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 ||<-3> '''열차거리표''' || || [[인천역|{{{-1 {{{#585858,#cccccc 인천 방면}}}}}}]][br][[축항조차장역|축항조차장]][br]← 1.6 ㎞ || '''[[축항선]]'''[br]--남 부-- || {{{-1 {{{#585858,#cccccc 종점}}}}}} || || {{{-1 {{{#585858,#cccccc 기점}}}}}} || '''[[석탄부두선]]'''[br] --남 부-- || [[인천항역|{{{-1 {{{#585858,#cccccc 인천항 방면}}}}}}]][br][[인천항역|인천항]][br]5.1㎞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폐지된 철도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주안역|{{{-1 {{{#585858,#cccccc 주안 방면}}}}}}]][br][[주안역|--주 안--]][br]← 1.0 ㎞ || '''[[주인선]]'''[br]--남 부-- || {{{-1 {{{#585858,#cccccc 종점}}}}}} ||}}}}}}}}} || {{{+1 南部 / Nambu station }}} * [[축항선]] 개업일 : 일자미상 * [[석탄부두선]] 개업일 : 1911년 7월 24일 [목차][clearfix] == 개요 == [[파일:남부역.jpg|width=80%]] [[축항선]]과 [[석탄부두선]]의 신호장 역할을 했던 인천역 남부역. 남부역은 인천역 본역사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편의상 별도의 문서에서 서술하지만 사실 남부역은 '''실제로는 드넓은 [[인천역]]의 구내에 해당된다'''.[* 그러다보니 별개의 역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코레일 전산상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 2012년 12월 13일에 석탄부두선과 제3부두선을 연결하는 직결삼각선이 개통[* [[http://cafe.daum.net/kicha/ANj/39446]]]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컨테이너와 다양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야적 공간이 있지만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폐선 이후 줄곧 화물차 주차장으로만 쓰이다가 2016년 초부터 남부역 일대가 임대주택,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전부 헐렸고, 2019년 들어서는 완공이 되어 입주가 완료되었다. 이 역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은 아니지만, 해당 역 인근에 [[수인분당선]] [[숭의역]]이 들어서 있다. == 역사 == * 인천역 본역사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편의상 별도의 문서에서 서술하지만, 사실 남부역은 '''실제로는 드넓은 [[인천역]]의 구내에 해당한다'''. 즉 공식적으로는 인천역에 소속된 여러 인입선의 하나이다. * 1973년 7월 수인선 남인천역~용현역 구간이 폐선되면서 그해 11월에 폐선 일부 구간을 표준궤로 새로 부설한 동양화학선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동양제철화학 인천 소다회 공장까지 인천항에서 들어오는 수입 원료 및 공장에서 반출된 화공약품을 수송하는 역할[*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 당시 원인이 된 화약의 원료가 동양화학에서 생산되어 한국화약으로 반출되었다.]을 하다가 공장이 2004년부터 소다회 생산을 중지하면서 쓸모가 없어진 동양화학선은 2005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그리고 5년 동안 방치되어 있다가 2010년부터 [[수도권 전철 수인선]] 공사 및 용현동과 학익동에서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노선이 철거되어가기 시작하고 2012년에 철거가 완료되었다. * 주안역과 연결된 [[주인선]] 구간이 1992년 폐선된 뒤 인천역과 이어진 나머지 구간은 [[축항선]]으로 개명돼 석탄부두선과 제3부두선의 화물들을 실어날랐다. 그러나 부두에서 인천역으로 바로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스위치백]] 운행을 해야 했고,[* 자세한 건 [[축항선]] 참조.] 그 끝에 남부역이 있었다. 그래서 신호장 겸 입환작업 장소로 유지되고 있었다. * 2012년 12월 13일, [[스위치백]] 구간을 대체할 [[삼각선]]이 개통되고 [[축항조차장역]]이 입환작업을 전담함에 따라 사용중지된다. * 2016년 [[수인선]] 부활에 따라 지상에는 화물, 지하에는 지하철 역으로 하려 했으나, 민원으로 지상의 역사와 선로는 철거된 채 지하철 부분만 남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숭의역]]이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축항선의 역 목록)] [include(틀:석탄부두선의 역 목록)] [include(틀:주인선의 역 목록)] [[분류:191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12년 폐지된 철도역]][[분류:미추홀구의 폐지된 철도역]][[분류:경인선의 폐지된 철도역]][[분류:석탄부두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