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남북천리'''}}} (1966)[br]南北千里 | ''Thousand Mil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남북천리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이강천]] || || '''원작''' ||조철 || || '''각색''' ||임희재 || || '''기획''' ||[[한국반공연맹]] || || '''제작''' ||김태현 || || '''주연''' ||[[김진규(배우)|김진규]], [[김지미]] || || '''촬영''' ||최수영 || || '''조명''' ||이병준 || || '''편집''' ||박희영 || || '''음악''' ||정윤주 || || '''미술''' ||원제래 || || '''제작사''' ||아성영화주식회사 || || '''개봉일''' ||[[1966년]] [[2월 24일]] || || '''개봉관''' ||아세아극장 || || '''관람인원''' ||15,322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강천 감독의 1966년 개봉 영화. 남한의 정보장교가 북으로 잠입해 [[납북]]된 저명인사들을 구출해낸다는 이야기를 그린 [[반공]] [[첩보물]]이다. 원작은 조철(趙徹)의 수기 〈죽음의 세월〉이다. 조철은 [[일제강점기]] [[충칭시|중경]] [[대한민국 임시정부|임시정부]]에서 활동했으며 6.25 때 납북됐다가 탈출했다. 북한에 있을 때 납북 저명 인사들로 구성된 '재북평화촉진협의회'에 관계한 바 있다. 〈죽음의 세월〉은 이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1962년 [[동아일보]]에 연재되었으며 1963년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 등장인물 == * [[김진규(배우)|김진규]] - 이윤민(국군 소령) 역 * [[김지미]] - 김석윤(인민군 여자 고급 간부) 역 * [[장동휘]] - 정치보위간부장 역 * [[태현실]] - 이윤희(월북한 여자 군의관) 역 * [[최명수]] - 박재환(전직 국군장교) 역 * 전창근 - [[백붕제]] 역 * [[김동원(1916)|김동원]] - [[이광수(소설가)|이광수]] 역 * [[변기종]] - [[조만식]] 역 * [[이향(1914)|이향]] - 유현철(납북자, 귀순프락치, 병수 부) 역 * [[강계식]] - [[백관수]] 역 * 임운학 - [[최규동]] 역 * 최삼 - [[정인보]] 역 * 성소민 - [[현상윤]] 역 * 지방열 - [[백상규]] 역 * 맹만식 - [[손진태]] 역 * 송일근 - [[김상덕(1892)|김상덕]] 역 * 김수천 - 김억 역 * 채훈 - [[김경도(1904)|김경도]] 역 == 줄거리 == 남한의 애국지사들을 납북해간 북한 괴뢰들은 그들을 학살하거나 강제노동소에 수용하고 혹사시켰다. 이에 [[납북]] 인사를 가장하고 잠입한 한국군 정보장교 윤민([[김진규(배우)|김진규]])은 괴뢰 [[강제노동]] 수용소에 수용되어 있는 납북 인사들을 구출하기 위하여 괴뢰 여자 정보장교 석윤([[김지미]])을 사귄다. 어느덧 국군 정보장교 윤민과와 괴뢰 여자 정보장교 석윤은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다. 윤민은 마침내 석윤의 도움으로 강제노동소에 수용되어 있던 납북 인사들을 구출해 내는데 성공한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66년 영화]][[분류:실화 바탕 영화]][[분류:한국의 첩보 영화]][[분류:반공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