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페로몬즈)]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남색디노프로필.png|width=100%]]}}} || ||<-2> '''[[DDT 프로레슬링|{{{#000000 DDT}}}]]''' || || '''링네임''' || 디노 (ディーノ) [br] 남색 디노 ([ruby(男色, ruby=だんしょく)]ディーノ) [br] '''남색 "댄디" 디노 [br] ([ruby(男色, ruby=だんしょく)]“ダンディ”ディーノ)''' || || '''본명''' || 스나다 다이스케[* 한자 불명.] || || '''생년월일''' || 1974. 7. 6 ([age(1974-07-06)]세) || || '''신장''' || 179cm || || '''체중''' || 105kg || || '''혈액형''' || B형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 태어날 당시에는 토요타군 세토다정이었다. 2006년 오노미치시로 편입.] || || '''학력''' || 오사카학원대학 {{{-2 (경영과학부 / 학사)}}}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쇼맨|쇼맨]](개그)''' || || '''피니시 무브''' || '''남색 드라이버([ruby(男色, ruby=だんしょく)]ドリイバー)''' || || '''별명''' || '''장밋빛 댄디 ([ruby(薔薇色, ruby=ば ら いろ)]ダンディ)''' || || '''테마곡''' || '''[[https://www.bilibili.com/video/BV1SB4y1u7a2/|スリル]] - [[호테이 토모야스]]'''[* [[スリル(음악)|스릴]]. 한일혼혈 기타리스트 호테이 토모야스의 싱글곡으로 온갖 섹드립이 가득한 곡으로 유명하다.] || || '''데뷔''' || 2002년 4월 29일 (27세) [br] [[도쿄도]] [[카츠시카구]] [[https://www.google.com/maps/place/Kanamachi+Community+Center/@35.7708262,139.8562677,15.61z/data=!4m6!3m5!1s0x6018857115296d89:0xf2cc3526c0c9b7e8!8m2!3d35.7697328!4d139.8687472!16s%2Fg%2F1tfkw8nw?entry=ttu|카나마치지구센터]] [br] '''CMA'''[* CMA 프로레슬링.] 도쿄지부 설립 1.5주년기념대회~가격파괴~ [br] vs 정크헌터 요시다, 아베 켄지, SHURA, 코류키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andieno, 크기=25)] ||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200px-Danshoku_Dieno.jpg]] [[일본]]의 [[프로레슬러]]. [[DDT 프로레슬링]] 소속. [[남색|이름]]에서부터 짐작할 수 있듯이, 변태 [[게이]] [[기믹]]으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 == 경력 == 오사카학원대학에 재학하던 중 학교의 학생 프로레슬링 단체인 OVW(오사카학원대학 프로레스 연구회)에 입단해 계속 같은 기믹으로 활동해오고 있다.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지만,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 게임 관련 글을 쓰기도 했다.[* 지금도 [[http://www.4gamer.net/words/001/W00178/|글을 기고하고 있다]]] DDT에 입단한 이후에는 계속 DDT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노아#s-10|프로레슬링 NOAH]]나 ZERO-ONE 등 다른 단체에서도 활발히 경기한다. DDT 프로레슬링에서 KO-D 오픈웨이트 챔피언에 수차례 등극했다. 현재 남색 '댄디' 디노라는 링 네임을 사용 중이다. 스테이블 <페로몬즈>에서 활동 중. == 경기 스타일 == === 사용하는 무브 - 남색 살법 === 게이 기믹을 부각하는 기술을 사용하며 상대에게 물리적 대미지와 함께 정신적 대미지를 주기 위한 기술들을 사용한다. [[http://japcho0731.egloos.com/2380272|정리가 잘 되어있다.]] 그 중 특징적인 몇몇을 꼽아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입장시 주로 입장 통로가 아닌 관중석으로부터 난입해서 남자만 보면 마구 껴안거나 키스해대면서 내려오며 종종 해설진에게도 추파를 던지기도 한다. * [[http://kkjzato.egloos.com/3019210|남색 드라이버]] 남색 디노의 팬티는 두 장인데, 그 중에 한 장을 벌려서 상대의 머리를 그 안에 집어넣는다. 당하는 사람 입장에선..... 그 다음은 일반적인 [[파일 드라이버(프로레슬링)|파일 드라이버]]. * 남색 디스트로이어 [[파일 드라이버(프로레슬링)#s-2.4|캐너디언 디스트로이어]]와 같은 기술. 차이가 있다면 남색 드라이버처럼 상대의 머리를 팬티에 집어넣고 사용한다는 점. 기술 자체가 상당히 어려운 기술이므로, 디노가 단순히 게이 기믹만으로 미는 선수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다. * 남색 [[스터너]] (가칭) 일반적인(?) 스터너. 단지 [[고간]]을 잡을 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015년 PWG 소유주이자 명 레슬러인 [[조이 라이언]]에게 시도했지만 조이 라이언의 시그니쳐 무브인 페니스 플립(...)에[* 조이 라이언의 [[자지|그곳]]에서 나오는 [[정력|신비한 힘]](?)으로 그걸 잡은 상대가 오히려 감전당하는 것처럼 고통을 느끼는 기술. [[테스티큘러 클로]]의 반격 기술이기도 하다.] 걸려 오히려 역관광 당했다. * 남색 나이트메어 겉팬티를 벗고 상대의 얼굴 위에서 [[티배깅|스쿼트를 한다]]. 당하면 정말로 [[피플즈 엘보우|마음이 아픈]] 기술. 상대방이 때리면 그대로 얼굴에 주저앉아 핀 폴에 들어가기도 한다. * 립 록 입술을 꺾는 관절기...가 아니라 그냥 격렬한 [[키스]](...).[* 일단 서브미션이긴 하다.] * 패러디 기술들 유명한 프로레슬러들의 트레이드마크와 같은 기술들을 패러디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위의 남색 스터너나 남색 디스트로이어도 이런 패러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 기술들은 남색 살법으로 ~~변질~~개조되기 때문에 위의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OME이다. 대표적으로 샤이닝 아테가이(무토 케이지의 샤이닝 위저드), 밤의 창마도([[HARASHIMA]][* 남색 디노가 소속된 프로레슬링 단체 DDT의 메인 이벤터.]의 창마도[* 러닝 더블 니 스트라이크지만 때때로 초필살기로 스완다이브 식 더블 니 스트라이크를 사용하기도 한다.]), 염불 남색 드라이버(신자키 진세이[* WWE에서 하쿠시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스님 기믹 레슬러.]의 염불 파워 밤), 콕 바텀(더 락의 락 바텀), 나와 함께 뚫어라(태그 팀 OH포[* 파괴왕 하시모토 신야와 격투가 오가와 나오야로 구성된 태그 팀.]의 나와 함께 베어라[* 오가와 나오야의 STO와 하시모토 신야의 저먼 스플렉스를 합친 기술. 단, 어디까지나 이름만 따 온 것이고 실제 남색 디노가 사용하는 쪽의 기술은 OME의 극을 달리는, 차마 설명하기도 민망한 기술이다. 굳이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2단합체(...).]), 호모예([[나카무라 신스케]]의 보마예[* 앉아 있는 상대의 턱을 무릎으로 쳐올리는 기술. 참고로 호모예는 무릎이 아니라 고간(...)으로 공격한다(...)그것도 세워서(!!!).]), 레인보우 메이커([[오카다 카즈치카]]의 레인메이커[* 상대의 등 뒤에서 한쪽 팔을 상대의 복부 앞에 놓고 그 팔의 손목을 붙잡은 다음, 상대의 등을 밀어서 마주본 상태로 만들었다가 끌어당긴 후 립 록.]), 남색 툼스톤 파일드라이버(언더테이커의 툼스톤 파일드라이버) 등이 있다.[* 원래 프로레슬링 기술이라는 게 저작권이 없긴 하지만 위의 기술들은 말 그대로 유명 선수들의 가장 독특하면서도 그 선수를 대표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빼도박도 못할 패러디라고 할 수 있다.] == 여담 == * 링 네임은 오사카학원대학 프로레슬링 동아리(학생 프로레슬링) 시절부터 사용 중인 유서 깊은 링네임으로, [[돌격 남자훈련소]]의 등장인물인 '[[남작 디노]]'에서 따 왔다고 한다. * 오사카학원대학 시절 '미스터 1000만(엔)'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었는데, 프로레슬링만 하다가 공부를 못 해서 [[유급]]에 유급을 거듭한 결과, 지불한 [[등록금]] 총액이 1000만엔이여서(...). 그렇게 돈을 내고도 어쨌건 졸업에는 성공했기 때문에 [[부자]] 집안이라는 소문까지 돌았다. * [[타카하시 히로무]]와 [[타케시타 코우노스케]]의 첫키스 상대(...). 타카하시는 데뷔 이후, 타케시타는 초등학교 5학년 때 프로레슬링을 보러 왔다가 남색 디노의 희생양이 되었다.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오노미치시 출신 인물]][[분류:1977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