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ffffff '''남성현역'''}}}}}} || || [[서울역|{{{#!html서울 방면}}}]] ||<|2> [[무궁화호|{{{#!html
경부선
무궁화호
}}}]] || [[부산역|{{{#!html
부산 방면}}}]] || ||<|2> [[경산역|경 산]][br]← 14.5 ㎞ ||<|2> [[청도역|청 도]][br]8.7 ㎞ → || ||<|2> [[무궁화호|{{{#!html
경전선
무궁화호
}}}]] || || [[동대구역|{{{#!html동대구 방면}}}]] || [[마산역|{{{#!html마산 방면}}}]] || ||<-3> [include(틀:지도, 장소=남성현역, 너비=100%, 높이=225px)] ||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mseonghyeon || || [[한자]] ||<-2> 南省峴 || || [[간체자]] ||<-2> 南省岘 || || [[가나(문자)|가나]] ||<-2> [ruby(南省峴, ruby=ナムソンヒョン)] || ||<-3> '''{{{#ffffff 주소}}}''' || ||<-3>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다로길 39 (다로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br]([[경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ffffff 개업일}}}''' || || [[경부선]] ||<-2> 1919년 8월 1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2004년 4월 1일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삼성역(경부선)|삼 성]][br]← 7.4 ㎞ || '''[[경부선]]'''[br]남성현 || [[부산역|{{{#!html
부산 방면}}}]][[청도역|청 도]][br]8.7 ㎞ → || {{{+1 南省峴驛 / Namseonghyeon Station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Namseonghyeon_Station.jpg|width=100%]]}}} || || {{{#fff '''현 역사(2003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 남성현.png|width=100%]]}}} || || {{{#fff '''구 역사(1943년 준공, 2003년 철거)'''}}}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남성현역 스탬프.jpg|width=150]] || || 남성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감와인과 와인터널을 형상화했다. || >'''신호소로 출발, 역사는 1930년에 지어져''' >남성현역은 1919년 8월 1일 경부선 신호소로 처음 문을 열었다가, 1923년에 이르러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1930년에 역사를 신축 준공한 데 이어 1943년 역사를 이전하였는데, 당시 지어졌던 옛 남성현역은 173.6㎡ 규모의 아담한 목조 기와 단층으로 시골 풍경과 잘 어우러지는 삼각 박공지붕을 가진 역사였다. 당시 역사는 현재의 위치에서 약 300m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 현재 철길과 나란히 설치된 주차장 자리이다. 1984년 성현 자갈선이 철거된 후 2003년 넓은 역사 광장과 함께 적벽돌 외벽의 현대식 건물로 지어지게 되었다. 남성현역을 둘러싸고 있는 다도리마을은 지역을 상징하는 남성현역과 기차, 소, 그리고 감나무를 주제로 한 재미있는 벽화로 가득 차 있는 마을이다. 2016년 청도군에서 주관한 반시밸리벽화마을 조성사업의 작품이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다로길 39 (다로리 563-15)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하루에 [[무궁화호]]가 왕복 '''7회[* 하행은 #1341(동대구 → 부산), #1203, #1209(서울 → 부산), #1909(동대구 → 진주), 상행은 #1902(마산 → 동대구), #1212, #1216(부산→서울), #1344(부산 → 동대구) 이렇게 정차한다. 주말에는 #1341, #1344 열차가 운휴하므로 왕복 5회.]'''밖에 운행하지 않는데도 [[간이역]]으로 격하되지 않고 [[보통역]]으로 남아있다. 성현터널 구간이 워낙에 험준한 구간이라 그런 듯. 예전에는 동대구와 마산을 오가는 통근열차가 섰으나, 통근열차의 적자로 인해서 모두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 역무시설 === 현재 쓰고 있는 역사는 경부선 전철화 공사 중인 [[2003년]]에 완공한 것으로, 이 역을 지을 때 이 역 주변을 깨끗하게 보수공사했다. 역 구내가 전체적으로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곡선반경|캔트값]][* 철도의 곡선구간에서 원심력에 의한 탈선을 막기 위해 곡선부의 외측레일을 내측레일에 비해 높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보통 캔트값은 160mm 정도.]이 상당히 커 이 역에 정차하거나 신호 대기 관계로 서행운전할 때 객차가 약 5~7도 정도 기우는 상당히 아스트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KTX 개통 이전에는 이 '''곡선부에 선로전환기까지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통과제한속도가 무려 '''75km/h'''였다. 단선 로컬선 구간도 아니고 경부본선에서 75km/h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내를 '하부본선 - 하본선 - 상본선 - 상부본선'이던 것을 '하본선 - 하부본선 - 상본선 - 상부본선'으로 개량하여 제한속도를 110km/h로 대폭 상향하였다. 즉, 역 출입구 앞의 철길이 하행'''본선'''이다.[* 비슷한 예로는 회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선이 본선인 [[검암역]]이 있다.] [[경산역|경산]] 조금 이전 지점에서부터 시작된 험준한 언덕길은 남성현에 진입하기 직전 그러니까 터널 나오기 전 쯤에서 끝나고 상동역까지 내리막이 펼쳐지는데 문제는 남성현역 구내가 약간 비탈져 있어 이 곳에서 분리해서 유치시켜둔 차량이 잘못해서 구르면 어디까지 굴러갈지도 모르는 일이다.(실제로 [[화차(철도)#s-2.8|유개화차]]가 비슷한 사고를 당한 적 있다.) 이 구배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오지 않는다면 경부선에서 제일 자주 볼 수 있는 [[화차(철도)#s-2.1|컨테이너 화차]] 기준으로 [[마일 트레인|30량을 물고 내려가는]] [[EMD GT26CW/국내운용|특대]]가 경산역 이전에서부터 미친 듯이 밟아대는대도 제 속력을 못 낼 정도다. 최급구배만 본다면 고모-경산 간이 10퍼밀, 경산-삼성 간이 9퍼밀, 삼성-남성현 간이 12.5퍼밀이다. 아침에 부산발 서울행 #1202 무궁화호 열차 안에서 남성현역을 통과할때쯤 반대방향 하행선 승강장 사람들이 부산행 열차를 기다리는 모습도 보인다.[* 동대구발 부산행 #1341. 주말에는 볼 수 없다.] MBC에서 방영중인 [[손현주의 간이역]] 9번째 촬영지로 결정되었다. 영화 [[부산행]] 에서 청도-남성현 사이 [[이슬미로]] 굴다리에서 지나가는 KTX의 모습을 찍었다. [[2021년]] [[2월 24일]]부터 승차권 판매 업무가 중단되어 역에서 승차권을 판매하지 않는다. 승차권을 구매하려면 차내에서 승차권을 구입하거나 [[코레일톡]], [[네이버]], [[카카오T]] 어플을 사용해서 승차권을 구입해야한다. === 수요 === 이 역이 자리한 성현마을 일대에는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예전에는 [[남부정류장]])을 출발해 청도, 밀양, 풍각, 경산, 울산 등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다니긴 하지만 운임이 무궁화호보다 1,000원 가량 비싼 3,600원인지라 열차 시간과 겹치면 잘 이용하지 않는다. 대부분이 노인분들인 지역 특성상 2,600원 하는 무궁화호 기본운임도 2,300원으로 할인받을 수 있고 더군다나 열차는 대구시 중심가인 [[동대구역]]이나 [[대구역]]을 바로 가는 데 비해 버스는 외곽 [[남부정류장]]에서 또 전철이나 버스를 갈아타야 했고,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바뀌어도 요금이 비싼지라.... === 시간표 === ||<-8> {{{#ffffff '''남성현역 열차시간표 (2023년 9월 1일 기준)'''}}} || ||<-8> {{{#white 상행 (서울, 동대구 방면)}}} || || 열차종류 || 열차번호 || 도착시간 || 출발시간 || 종착역 || 비고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902''' || 08:50 || 08:51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210''' || 10:59 || 11:03 || [[서울역|{{{#000000,#ffffff '''서울'''}}}]] ||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212''' || 13:49 || 13:50 || [[서울역|{{{#000000,#ffffff '''서울'''}}}]] ||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344''' || 20:07 || 20:11 || [[동대구역|{{{#000000,#ffffff '''동대구'''}}}]] || 주말 미운행 || ||<-8> {{{#white 하행 (부산 방면)}}} || || 열차종류 || 열차번호 || 도착시간 || 출발시간 || 종착역 || 비고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341''' || 06:21 || 06:22 || [[부산역|{{{#000000,#ffffff '''부산'''}}}]] || 주말 미운행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203''' || 11:00 || 11:01 || [[부산역|{{{#000000,#ffffff '''부산'''}}}]] ||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 '''#1207''' || 14:41 || 14:42 || [[부산역|{{{#000000,#ffffff '''부산'''}}}]] ||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비고'''}}} || || 2004년 || 6명 || || || 2005년 || 9명 || || || 2006년 || 9명 || || || 2007년 || 12명 || || || 2008년 || 11명 || || || 2009년 || 13명 || || || 2010년 || 10명 || || || 2011년 || 9명 || || || 2012년 || 10명 || || || 2013년 || 9명 || || || 2014년 || 17명 || || || 2015년 || 17명 || || || 2016년 || 26명 || || || 2017년 || {{{#f55839 27명}}} || || || 2018년 || 25명 || || || 2019년 || 21명 || || || 2020년 || 14명 || || || 2021년 || 15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역 주변 정보 == 역 이름이 남성현인 것은 [[삼성역(경부선)|삼성역]]과 남성현역 사이에 있는 '''성현'''의 남쪽에 있어서다. [[남성현]]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하고 관련이 있을 것 같지만 당연히 그런 건 아니라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졌다가 인근에 복선화 이후로 버려진 터널부지를 재활용한 와인터널이 있다. 청도의 특산물인 [[감]]을 이용해 와인을 숙성하는 곳으로 [[떼루아(드라마)|드라마 떼루아]]에 나온 이후 주말마다 관광객이 넘쳐나고 있다. 덕분에 한적한 시골역인데도 일 4회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보통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때문에 청도군에서 '''와인터널'''을 상징화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제작해 역내에 비치해 두었고 코레일 측에 기차 정차횟수를 늘려달라고 요구하여 2014년 6월 30일에 상하행이 각각 2편씩 증회되었다. [[청도 소싸움 경기장]]은 이 역에서 가장 가깝다. === 남성현시외버스정류장 === 남성현역과 가까운 시외버스정류장이다. 다만 역앞에 서는 것은 아니고, 주민마을을 지나 GS주유소 인근에서 손을 흔들고 타면 된다. 영남권: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시지정류소|시지]]--,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중앙병원, 남천, 투우장직행, 무등직행, [[청도공용버스터미널|청도직행]], 각남, [[풍각정류장|풍각]], 옥산, [[상동역(경부선)|유천]],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 금곡, 송백, 남명, 얼음골, 표충사, --[[언양시외버스터미널|언양]], [[신복시외버스정류소|신복]], [[태화시외버스정류소|태화]],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 승강장 == || [[파일:20230625 남성현역 경산방면.jpg|width=90%]] || || 경산 방향 || || [[파일:20230625 남성현역 청도방면.jpg|width=90%]] || || 청도 방향 || ||<-8> [[경산역|경산]] || || ↑ || {{{#ffffff 상[br](외)}}} || {{{#ffffff 상[br](내)}}} || ↑ || ↓ || {{{#ffffff 하[br](내)}}} || {{{#ffffff 하[br](외)}}} || ↓ || ||<-8> [[청도역|청도]] || ||<|2> {{{#ffffff 상}}} || [[경부선]] ||<|4>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 방면 || || [[경전선]] ||[[경산역|경산]]·[[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2> {{{#ffffff 하}}} || [[경부선]] ||[[밀양역|밀양]]·[[구포역|구포]]·[[부산역|부산]] 방면 || || [[경전선]] ||[[밀양역|밀양]]·[[창원역|창원]]·[[마산역|마산]] 방면 || 상행 방면으로 급커브가 있기 때문에 다른 역과 달리 외선을 본선으로 사용한다. 육교가 없고 경부선과 경전선으로 가는 거의 대부분의 열차가 통과하기 때문에 열차 도착 3분 전에 건널목을 건널 수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분류:191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청도군의 철도역]][[분류:경부선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