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88년 범죄]][[분류:제6공화국/살인사건]][[분류:대한민국의 해결된 미제사건]]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1988년]] [[3월 24일]] [[경상남도]] [[삼천포시]] 송포동[* 현 [[사천시]] 송포동]에 위치한 남양[[파출소]]에서 당직근무를 서고 있던 남양파출소 부소장 장용업(張龍業, 당시 53세) 경장이 살해된 사건으로 뚜렷한 용의자를 찾지 못해 [[미제 사건]]으로 분류되었으나 [[1997년]] [[9월 11일]] 범인 최창국이 자수를 하며 해결된 사건이다. == 상세 == 범행 당시 25세였던 최창국은 [[사천시]] [[정동면]] 고읍리 사람으로 [[군대]]를 갓 [[전역]]한 상태였지만 군에 입대하기 전 이미 [[아내]]와의 사이에서 젖먹이 아들을 두고 있었다. 전역 직후 집으로 돌아가자 아내는 아들을 주인집에 내버려두고 집을 나간 상황이었고, 생활비는 없는 데다 월세까지 밀려 설상가상의 처지에 봉착한 최창국은 [[은행]]을 털기로 마음먹고 1988년 3월 24일 오후 9시 40분 경 송포동 남양파출소에서 홀로 당직근무를 서던 장용업 경장을 칼로 찔러 살해한 뒤 45구경 [[권총]]을 탈취해 그대로 달아났다. 파출소에서 경찰관이 살해당하고 총기까지 탈취당했다는 소식에 경찰조직은 초비상이 걸렸고 범인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썼으나 한밤중 시골 파출소에서 벌어진 일이라 목격자도 없고[* 당시에는 지금처럼 [[CCTV]]가 다수 보급되었던 게 아니라 목격자가 없으면 범인을 잡기가 참으로 곤란했다.] 피해자인 장 경장이 누군가에게 원한을 살만한 행동도 하지 않아 용의자를 찾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결국 이 사건은 [[미제 사건]]으로 분류되었다. [[https://imnews.imbc.com/replay/1988/nwdesk/article/1807863_29513.html|관련 기사]] 하지만 1997년 9월 11일 사건 발생 약 9년 6개월 만에 범인 최창국이 자수를 하면서 사건의 전말이 드러났다.[[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3777637|#]] 최창국은 사건이 뉴스에 보도된 직후부터 큰 죄책감을 느껴 은행을 털 생각은 하지도 못했다고 하며, 탈취한 총은 인근 야산에 파묻었다고 한다. 9년간 공사장 인부와 경비원 등을 전전했으나 매일매일을 죄책감에 괴로워 하느라 제대로 된 일을 하지도 못했다고 밝혔다. 최창국은 자수한 점이 참작되어 [[유기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기타 == * [[토요미스테리극장]]에서 <남양파출소에서 생긴 원혼> 이라는 제목의 에피소드로 재구성해 방송된 적이 있다. 물론 프로그램 특성상 살인사건 자체와 범인 검거 과정 등에 대한 재연은 아니고, 최창국이 범죄를 저지른 뒤 죄책감에 괴로워하며 피해자의 원혼에 시달리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또한 자료조사가 미흡했는지 1988년에 일어난 사건을 1989년에 일어난 사건이라는 제목을 영상 초반에 내보냈다. * [[쌈무이|공포라디오 쌈무이]]에서도 <죄 지은 자의 최후>라는 제목으로 방송된 적이 있다.[[https://youtu.be/bT_KipKZZn4|#]] * 8년 뒤인 1996년 [[잠실파출소 경관 피살사건]]이 발생했는데 범인이 혼자 근무중이던 경관을 상대로 살인 범행을 저지른 뒤 총기를 탈취해 달아났다는 점, 범인이 자수하기 전까지는 둘다 미제사건이었다는 점에서 이 사건과 상당히 유사한 사건이다.[* 애석하게도 잠실 파출소 사건 쪽은 공소시효가 만료되었다.] 잠실파출소 경관 피살사건이 발생한 뒤에야 전국 파출소에 CCTV가 설치됐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살인사건/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