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북도의 종합병원)] ||<-2> {{{+2 {{{#fff '''전라북도남원의료원'''}}}}}}[br]{{{#fff '''JEOLLABUK-DO NAMWON MEDICAL CENTER'''}}} || ||<-2> [[파일:남원의료원 로고.svg|width=100%]] || || '''주무기관''' || [[전라북도]] || || '''분류''' || [[종합병원]] || || '''원장''' || 제15대 박주영 || || '''개원''' || [[1921년]] [[12월]] || || '''병상수''' || 277병상[* '''VIP실''' 1병상, '''황토방''' 15병상, '''중환자실''' 10병상, '''1인실''' 24병상, '''2인실''' 2병상, '''3인실''' 6병상, '''4인실''' 24병상, '''5인실''' 195병상] || || '''직원''' || 367명[*정원외 공보의 6명] || || '''진료권역''' || 7개시·군[* [[전라북도|전북]]([[남원시|남원]], [[순창군|순창]], [[임실군|임실]], [[장수군|장수]]), [[전라남도|전남]]([[곡성군|곡성]],[[구례군|구례]]), [[경상남도|경남]]([[함양군|함양]])] || ||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충정로 365(월락동) || ||<-2> {{{#!wiki style="margin: -11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라북도 남원시 충정로 365 남원의료원, 너비=100%)]}}} || || '''홈페이지''' || [[https://www.namwonmed.or.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01BAC6 전라북도 남원의료원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이다. 진료권역으로는 총 7개 시·군으로 [[전라북도]] 외에도 [[전라남도]], [[경상남도]]도 포함되어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원의료원 전경.jpg|width=100%]]}}} || || {{{#fff '''전라북도 남원의료원 전경'''}}}[* 사진 오른쪽에 있는 건물은 [[KT&G 남원원료공장]]으로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 || == 상징 == ||<-2> [[파일:남원의료원 로고.svg|width=100%]] || ||<-2> {{{#fff '''전라북도 남원의료원 로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원의료원 엠블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원의료원 심볼.jpg|width=100%]]}}} || || '''남원의료원 엠플럼''' || '''남원의료원 심볼''' || == 연혁 == * 1921년 12월 '''관립 전주자혜의원 남원출장소''' 개설 * 1925년 4월 '''전라북도립 남원의원''' 전환 * 1983년 7월 '''지방공사 전라북도 남원의료원''' 전환 * 1999년 9월 '''병원현대화 신축이전'''(385병상) * 2000년 10월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정'''(전라북도) * 2005년 09월 '''전라북도 남원의료원''' 전환 == 조직 == * 원장 * 이사회 * 감사 * 진료부 * 내과 * 외과 * 소아청소년과 * 산부인과 * 신경외과 * 정형외과 * 안과 * 비뇨의학과 * 영상의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치과 * 병리과 * 진단검사의학과 * 가정의학과 * 신경과 * 흉부외과 * 재활의학과 * 응급의학과 * 이비인후과 * 약제과 * 영상의학실 * 물리치료실 * 진단검사실 * 관리부 * 총무과 * 원무과 * 간호부 * 간호과 * 공공의료본부 * 건강증진센터 * 응급의료센터 * 감염병센터 * 산모보건센터 * 심뇌혈관센터 * 적정진료실 * 보건의료복지통합지원실 ||<-12> {{{#fff '''인력현황표'''}}} || ||<|2> 구분 ||<|2> 계 ||<-9> 정규직 || || 원장 || 의사직 || 약사직 || 간호직 || 보건직 || 사무직 || 시설관리직 || 간호조무직 || 공무직 || || 정원 ||397 || 1 || 37 || 4 || 160 || 52 || 23 || 53 || 30 || 37 || || 현원 ||367 || 1 || 30 || 2 || 157 || 50 || 21 ||53 || 26 || 27 || || 정원외 ||<-10> 공보의 6명 || == 시설현황 == ||<-4> {{{#fff '''시설현황표'''}}} || ||<-2> 구분 || 면적(m²) ||<|2> 비고 || ||<-2> 부지 || 110,916 || ||<|4> 건물 || 소계 || 41,530.59 || || || 본관 || 34,401.03 || 지하 3층 ~ 지상 8층 || || 장례식장 || 2,665.72 || 지하 1층 ~ 지상 2층 || || 기타시설 || 4,463.84 || 의사숙소, 간호사기숙사,[br]폐수처리장 등 || ||<-5> {{{#fff '''주차장'''}}} || ||<|2> '''주차장 번호''' ||<-4> '''주차가능 대수''' || || '''장애인''' || '''일반''' || '''구급차''' || '''버스''' || || 제1주차장 || 8 || 34 || || || || 제2주차장 || || 129 || || || || 제3주차장 || 4 || 49 || || || || 제4주차장 || 2 || 20 || 5 || || || 제5주차장 || 7 || 108 || || || || 제6주차장 || || 98 || || 4 || === 본관 === ||<-3> {{{#fff '''원내배치표'''}}} || || '''층''' ||<-2> '''배치''' || || 8F ||<-2> 80병동, 85병동(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비뇨의학과) || || 7F || 70병동(외과, 신경외과, 신경과, 흉부외과, 가정의학과, 치과) || 의국실 || || 6F || 60병동(내과) || 65병동(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 || 5F || 50병동 (산모보건의료센터 병동,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 55병동(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 || || 4F || 원장실, 경영지원실장실, 관리부장실, 총무과, 대회의실 || 간호과장실, 전산실, 소회의실, 평가장, 교육실, 1기록관실 || || 3F || 분만실, 보호자대기실, 원목실(가톨릭) || 마취통증의학과, 수술실, 중환자실, 공급실 || || 2F || 소아청소년과, 흡입치료실, 산부인과, 비뇨의학과, 내분비내과, 안과, 치과, 도서실 || 신경외과, 신경과, 응급의료센터(X-ray촬영실 응급수납), CT실, 병리과, 진단검사팀 || || 1F || 1내과, 2내과, 3내과, 4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외과, 흉부외과, 심장초음파실, 내시경실, 심전도실, 폐기능검사실, 중앙주사실, 외래약국, 원무과, 외래접수·수납, 입·퇴원 안내 || 건강증진센터, 가정의학과, 외래채혈실, 영상의학과(MRI실, 일반X-ray실, 위·장투시실, 유방촬영실, 체외쇄석실, 판독실, 초음파진단실), [[GS25|편의점]] || || B1 || 재활의학과(작업치료실), 물리치료팀, 인공신장실, 약제과, 보건의료복지통합지원실, 영양상담실, 구내식당, 이ㆍ미용실 || 감염병센터, 방재실, 노동조합, 대강당, 척수장애인실 || || B2 || 의무기록실, 의료가스실, 2기록관실, 의료폐기물보관실 || 세탁실, 원목실(기독호스피스) || || B3 || 기계실, 전기실 || 장례식장(별관) || === 장례식장 === ||<-2> {{{#fff '''장례식장 배치표'''}}} || || 층 || 배치 현황 || || 2F || 2분향실(접객실), 3분향실(접객실),[br]5분향실(접객실), 6분향실(접객실) || || 1F || 특실분향실(접객실), 1분향실(접객실) || || B1 || 휴식실, 안치실(12구), 염습실겸 부검실창고, 기계실 || [[분류:전라북도의 병원]][[분류:지방의료원]] == 논란 및 사건 사고 == 2023년 7월 1일 새벽 12시 02분경 지하 3층 전기실에서 UPS 연결 전선 피복 손상으로 합선에 의해 발화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화재가 발생했고, 12시 10분경 최초 발견자가 119에 신고했으며 환자 105명 중 90명은 건물 옥상으로 대피했으며 나머지 15명 중 중환자실 환자 6명은 3층 야외 옥상으로, 9명은 2층 응급의료센터로 대피했다. 불길은 12시 43분 쯤 초기진압이 완료되었고 나머지 잔 불씨 제거 등을 마친 후 1시 29분에 완전진압되었다. 이 사고로 병원 전체가 정전되어 전산 마비 및 의료서비스가 붕괴되는 등의 문제를 겪었으나 빠른 대처로 사고 이틀 후인 7월 3일, 병원 내 전원공급이 대부분 복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