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회화]][[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분류: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품]][[분류:개인 소장 문화재]][[분류: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품]]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시대의 그림. 기로소에 소속한 나이 많은 관료들이 1629년(인조 7년) 6월에 [[숭례문]] 앞에 있는 [[연못]] 남지(南池)에 모여 연회를 연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현재 3축이 있다. == 그림 == === 이기룡 필 남지기로회도 ===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866호}}}]]''' || ||<-2> {{{#fff {{{+1 '''이기룡 필 남지기로회도'''}}}[br]{{{-1 李起龍 筆 南池耆老會圖[br]Namji girohoedo (Gathering of Elders by Namji Pond) by Yi Gi-ryong}}}}}}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대학교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박물관 ([[신림동]] 산56-1, [[서울대학교]]) || || '''{{{#fff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계회도 || || '''{{{#fff 시설}}}''' || 1축 || || '''{{{#fff 지정연도}}}''' || [[1986년]] [[10월 15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국유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서울대학교박물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기룡필_남지기로회도(李起龍筆_南池耆老會圖).jpg|width=100%]]}}} || || {{{#fff '''이기룡 필 남지기로회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4136&ccbaKdcd=12&ccbaAsno=0866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clearfix] ---- [[조선시대]]의 그림 제작 [[관청]]이었던 도화서의 화가 이기룡이 그린 것이다. 그림 오른쪽 아래에 이기룡이 그렸다고 적혀있어 제작자를 확인할 수 있다. 바탕은 [[비단]]이며 가로 50cm, 세로 60.5cm이다. 맨 위에 '南池耆老會圖(남지기로회도)'란 글씨가 전서체로 쓰여 있다. 조선시대에 쓴 글씨이니만큼 [[우횡서|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다.]] 그 밑에는 어느 건물에 관료 12명이 모여 즐겁게 어울리고 주안상을 준비하는 사람 7명의 모습을 그려두었다. 이 건물은 첨추 홍사효의 집이다. 홍사효의 집 아래로는 사각 형태를 한 남지를 그렸고, 남지 수면 위에다 [[연꽃]]을 빼곡하게 그려두었다. 연못 주위에는 [[버드나무]] 여러 그루를 그려 넣었으며, 남지 남쪽에 하단이 보이지 않는 2층 짜리 건물을 묘사했는데 [[숭례문]]으로 추측한다. 그림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전부 글이 적혀 있다. 그림 아랫부분에는 [[장유(조선)|장유]][* [[효종(조선)|효종]]의 장인.]가 지은 기문이 있고, 그 아래에는 연회에 참석한 사람들의 품계와 직책 및 인적 사항과 모인 목적 등이 있으며 이는 [[이경석]]이 쓴 것이다. 왼쪽과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이경직(1577)|이경직]]이 지은 서문이 있다. 이렇게 관료들 또는 선비들이 모이는 연회를 '계회(契會)'라고 하며, 이를 그린 그림을 '계회도(契會圖)'라고 한다. 이 그림은 조선미술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유물이다. 왜냐하면 조선 중기 계회도의 특성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림을 보면 관료들이 연회를 즐기는 모습이 두드러지고 상대적으로 자연 풍경이 덜 표현되어 있다. 이는 안견의 영향을 받아 자연 배경을 부각시켰던 조선 초기 계회도와의 결정적인 차이이다. 1986년 10월 15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866호로 지정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 남지기로회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80호 ||<|2> ← || '''81호''' ||<|2> → || 83호[* 82호 〈[[목장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해제되고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1595-1호로 승격받았다.] || || [[여계 묘역]] || '''남지기로회도''' || [[봉은사 판전#s-4|봉은사 판전 현판]]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1호}}}]]''' || ||<-2> {{{#fff {{{+1 '''남지기로회도'''}}}[br]{{{-1 南池耆老會圖}}}}}}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노원구,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fff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계회도 || || '''{{{#fff 수량 / 면적}}}''' || 1점 || || '''{{{#fff 지정연도}}}''' || [[1992년]] [[12월 31일]] || || '''{{{#fff 제작시기}}}''' || [[1691년]] ([[숙종(조선)|숙종]] 17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지기로회도1.jpg|width=100%]]}}} || || {{{#fff ''' 남지기로회도[*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57&ccbaKdcd=21&ccbaAsno=0081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이기룡이 그린 그림을 1691년([[숙종(조선)|숙종]] 17년)에 다시 그린 그림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것과 같으나, 세로로 길지 않고 가로로 긴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南池耆老會圖(남지기로회도)' 글자는 오른쪽 끝에 있으며 위에서 아래로 쓰였다. 그 왼쪽 방향으로는 그림과 글 등이 있다. 그림의 색은 이기룡이 그린 것보다는 훨씬 화사하며 다채로운 것이 특징이다. 이 그림을 제작할 때 [[박세당]]이 기문을 추가하여 넣었다. 1992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1호로 지정받았다. 현재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 남지기로회도(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 ||<-5>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ffffff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 74호 ||<|2> ← || '''75호''' ||<|2> → || 76호 || || 자수 책거리 병풍 || '''남지기로회도'''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 ---- ||<-2>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fff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5호}}}''' || ||<-2> {{{#fff {{{+1 '''남지기로회도'''}}}[br]{{{-1 南池耆老會圖}}}}}}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 '''{{{#fff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계회도 || || '''{{{#fff 수량 / 면적}}}''' || 1폭 || || '''{{{#fff 지정연도}}}''' || [[2007년]] [[9월 7일]] || || '''{{{#fff 제작시기}}}''' || [[1692년]] ([[숙종(조선)|숙종]] 18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지기로회도2.jpg|width=100%]]}}} || || {{{#fff ''' 남지기로회도[*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742&ccbaKdcd=21&ccbaAsno=00750000&ccbaCtcd=2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이기룡이 그린 그림을 [[1692년]]([[숙종(조선)|숙종]] 18년)에 다시 그린 그림이다. 그림의 구도나 모습 등은 이기룡 필 남지기로회도와 같으나, 좀 더 인물들의 묘사가 세밀한 것이 특징이다. [[2007년]] [[9월 7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받았다. 현재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