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 동음이의어, rd1=남포동)] ||<-2>
'''{{{+1 남포동}}}[br]南浦洞|Nam Po-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포동.jpg|width=100%]]}}} || || '''본명''' ||'''김광일''' (金廣一, Kim Gwang-il) || || '''출생''' ||[[1944년]] [[11월 6일]] ([age(1944-11-06)]세)[br][[일제강점기|일본령 조선]] [[경상남도]] [[부산부]](현 [[부산광역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데뷔''' ||1965년 영화 '나도 연애할 수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0~90년대 연극과 영화에서 코믹한 연기의 감초 조역으로 주로 활동했다. 원래 직업은 배우가 아니라 영화사 직원으로 시작하여 제작부장이었는데, 어느 정도 경력이 있는 상태에서 우연한 기회에 단역을 맡았다가 배우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최민수]]도 어렸을때 부친이자 당대 최고스타 [[최무룡]]을 집으로 데리러 온 제작부장 남포동을 본 기억이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는 영화시스템이 주먹구구식이라 스타 배우가 영화 네다섯편을 동시에 찍던 형태에 매니저 시스템도 약해서 스케쥴 사전협의 정리도 잘 안 되던 시대라, 아침마다 빨리 주연배우를 데려가서 최대한 많은 장면을 찍으면 영화를 빨리 개봉해서 수익을 볼 수 있는 형태였기에 제작부장들이 스타배우를 설득해서 다른 영화사보다 먼저 데려가는게[* 80~90년대 연예기획사 관계자 중 조폭이 있었던 것도 6070시대 이때의 흐름부터 이어진 것이었다. 설득이 안되면 연예인을 협박해야 했고 반대측은 이를 막아야 했기 때문에 양쪽 다 조폭이 필요해진 것. 연예계 매니지먼트가 강화된 것도 이때의 반작용이었다. 연예계가 커지면서 연예활동 외적으로 이와 같은 연예인의 스트레스 관리 필요성이 중요해졌기 때문. 80년대만 해도 매니저를 안 두는 연예인도 꽤 많았고, 있는 매니저들은 지금 매니저들처럼 많은 부분을 관리하지 않았고, 대부분 전문매니저가 아니라 전직 무명 연예인, 전직 방송작가, 전직 PD 등 전직 연예계 관계자들이 은퇴전에 만든 인맥을 이용하여 자기 연예인을 방송이나 영화, 행사에 꽂아주는 정도의 역할만 했고 연예인 본인이 자기관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고 출연료 협상도 본인이 해야 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나마 매니저 체계를 처음 제대로 만든 사람이 [[인순이]]의 이모이자, 1980년대 중후반 [[김완선]]의 매니저 한백희였다. 하지만 한백희가 키운 슈퍼스타 김완선이 등장해서 가요계를 휩쓸고도 연예계가 바로 바뀐 건 아니었고, 여전히 동세대 연예인들은 부족한 매니지먼트를 받으며 살며 조금씩만 변하다가 1990년대 HOT때의 이수만이 완벽한 관리시스템을 만들어 가져가면서 연예계 전체가 크게 바뀌기 시작했다. ]중요한 임무였다. 어느 순간 스크린에 사라졌는데, 부인이 주식투자 사기를 당해 수십억 전재산을 날리고, 하고 있던 사업도 실패 해 이혼 후 가정이 파탄나 생활고를 겪고 모텔방을 전전하고 있음이 밝혀져 세간에 안타까움을 주기도 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간암까지 걸렸으나 지인들의 도움으로 간이식 수술을 받아 건강을 회복했다. 여담으로 [[울랄라세션]]의 [[김명훈]]과 좀 닮은 편인데[* 슈퍼스타K3 슈퍼위크 당시 김명훈이 심사위원 [[윤종신]]에게 배우 남포동을 닮았다고 들었다. 외모 뿐만 아니라 노래 실력도 닮았다고 들었는데 남포동씨도 노래를 잘 한다고 알려져 있다.] 김명훈 본인도 닮았다고 인정했다. 2번의 이혼과 사업실패로 형편이 어려워져 막내딸과는 단절되었다고 한다. 죽기 전에 얼굴 한번 보는 것이 소원이라고. == 출연 작품 == === 영화 === * 2022년 [[감동주의보]] * 2018년 참외향기 * 2013년 [[남쪽으로 튀어]] * 2007년 [[저 하늘에도 슬픔이(2007)|저 하늘에도 슬픔이]] * 2004년 [[신석기 블루스]] * 2004년 돈 텔 파파 * 2004년 [[클레멘타인(영화)|클레멘타인]] * 2003년 [[튜브(영화)|튜브]] * 1999년 표절 * 1998년 [[엑스트라(영화)|엑스트라]] * 1998년 투캅스 3 * 1997년 내! 이바디 오마니 * 1997년 할렐루야 * 1996년 [[정글 스토리]] * 1996년 투갑스 2 * 1996년 [[학생부군신위]] * 1995년 [[아찌,아빠|아찌 아빠]] * 1995년 머저리와 등신들 * 1995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1995년 아빠는 보디가드 * 1994년 여자 아리랑 * 1993년 무정의 제3부두 * 1993년 [[살어리랏다]] * 1993년 복카치오 93 * 1992년 [[복수혈전(한국 영화)|복수혈전]] * 1992년 고독한 실력자 * 1992년 시라소니 * 1991년 토끼를 태운 잠수함 * 1991년 [[변금련]] * 1991년 밀크 초콜릿 * 1991년 고금소총 2 * 1991년 미녀사냥 * 1990년 꼭지단 * 1990년 [[남부군]] * 1990년 오세암 * 1990년 수탉 * 1990년 창부일색 * 1990년 새벽을 깨우리로다 * 1989년 랏슈 * 1988년 용호취 * 1988년 욕 * 1988년 독불장군 * 1987년 서울은 여자를 좋아해 * 1987년 화려한 변신 * 1987년 [[연산군(1987)|연산군]] * 1987년 성 리수 밀뎐 * 1987년 [[미미와 철수의 청춘스케치]] * 1987년 [[달빛 사냥꾼]] * 1987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 1987년 따귀 일곱대 * 1987년 [[사노(영화)|사노]] * 1986년 밤의 요정 * 1986년 황진이 * 1986년 탐정 큐 * 1986년 [[변강쇠#s-2|변강쇠]] * 1986년 가까이 더 가까이 * 1986년 겨울 나그네 * 1986년 오늘만은 참으세요 * 1986년 엘리베이터 올라타기 * 1985년 [[고래사냥 2|고래 사냥 2]] * 1985년 [[어미(영화)|어미]] * 1985년 장사의 꿈 * 1985년 작년에 왔던 각설이 * 1985년 내 짝사랑 짱구 * 1984년 장대를 잡는 여자 * 1984년 [[고래사냥(영화)|고래사냥]] * 1984년 [[바보선언]] * 1983년 김마리라는 부인 * 1983년 0시의 호텔 * 1982년 [[아벤고 공수군단|아벤고 공수 군단]] * 1979년 장마 * 1979년 제3한강교 * 1965년 나도 연애할 수 있다. === 드라마 === * 2003년 [[선녀와 사기꾼]] * 2001년 [[인생은 아름다워(KBS)|인생은 아름다워]] * 1998년 [[대왕의 길]] * 1997년 [[모정의 강]] * 1997년 [[봄날은 간다(드라마)|봄날은 간다]] * 1997년 [[오늘은 왠지]] * 1996년 [[겨울의 향기]] * 1996년 [[형제의 강]] * 1996년 [[원지동블루스|원지동 블루스]] * 1993년 [[머나먼 쏭바강]] * 1993년 [[일요일은 참으세요]] * 1993년 [[오박사네 사람들]] * 1992년 [[행촌 아파트]] * 1989년 [[사랑은 구름을 비로 내리고]] * 1989년 [[제5열(MBC)|제5열]] * 1989년 [[황제를 위하여(드라마)|황제를 위하여]] * 1988년 [[인간시장(드라마)|인간 시장]] == 수상 == * SBS 연기대상 우정상 (1996) == 관련 문서 == * [[배우/한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남포동, version=112, paragraph=3)][각주]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44년 출생]][[분류:1965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