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항선|{{{#ffffff {{{-1 장항선}}}}}}]]''' || '''남포''' - --[[옥서역|[ruby(옥서, ruby=~1992)]]]-- - [[웅천역|{{{#000000,#ffffff 웅천}}}]] || '''--[[남포선|{{{#ffffff {{{-1 남포선}}}}}}]]--''' || '''남포''' - --[[옥마역|[ruby(옥마, ruby=~2009)]]]-- || ||<-3> {{{+2 '''남포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남포역 장항선,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mpo || || [[한자]] ||<-2> 藍浦 || || [[간체자]] ||<-2> 蓝浦 || || [[가나(문자)|가나]] ||<-2> [ruby(藍浦, ruby=ナンポ)] || ||<-3> '''주소''' || ||<-3>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남포역전길 144[br](봉덕리 121-4)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3> '''운영 기관''' || || [[장항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장항선]] ||<-2> 1929년 12월 1일 || ||<-3> '''철도거리표''' || || [[천안역|{{{#!html
천안 방면}}}]][[대천역|대 천]][br]← 3.1 ㎞ || '''[[장항선]]'''[br]남 포 || [[익산역|{{{#!html
익산 방면}}}]][[웅천역|웅 천]][br]9.0 ㎞ → || {{{+1 藍浦驛 / Nampo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항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남포역전길 144 (봉덕리 121-4)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 [[파일:zoqcufhdfkjlgdj;ksfjjgyhjdfkksds;rljutrou.png|width=100%]] || || 1세대 구 역사 || || [[파일:attachment/남포역(장항선)/nampoj.jpg|width=100%]] || || 3세대 현 역사 || 원래 [[남포선]]이 있어서 이 역에서 [[옥마역]]까지 연장되어 있었다. 남포선을 통해 전국에 [[무연탄]]을 공급했던 역할을 했던 것. 하지만, [[석탄]]산업 자체가 값싼 [[호주]]산 석탄에 밀리면서 [[문경선]]과 [[가은선]]이 그랬던것처럼 이쪽도 화물취급량이 급감했다. 결국 [[2007년]] [[12월 2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게다가 [[남포선]] 역시 [[2009년]] [[12월 28일]]부로 폐선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장항선 직선화 공사를 하면서 이 역의 신역사를 '''이미 만들어 버린 것'''. 여객수요도 신통치 않은데, 남포면소재지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 역 주변은 허허벌판에 가깝다. 이 때문에 여객취급은 [[2008년]]부터 일찌감치 중지된 상태였는데, 직선화 공사때 승강장도 만들어버렸다. 당연히 승강장은 역사와 함께 개점휴업 상태다.[* 다음 지도에서는 아예 폐역으로 표시된다. 다음 지도는 여객영업을 안하는 역은 대부분 폐역으로 표시한다. 실제 서류상으로 폐역되지 않은 역이라도. 예외라면 [[고막원역]], [[연화역]], [[백산역]], [[지천역]] 등 정도밖에 없다. 덤으로 이런 개점휴업 상태라 그런지 건물 내부는 대합실 인테리어조차 제대로 하지 않은 말 그대로 빈 건물이라고 한다. [[https://m.blog.naver.com/elqkdmffj/222194595056|#]] ] 2021년 1월 4일 이전까지는 선로배선도 들어올 때 직선 나갈 때 곡선으로 분기기 통과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감속크리를 먹었지만, 직선화 개통 이후로는 분기기 없이 바로 통과한다. 그런데 [[2016년]] 10월, 남포역에서 500m 거리쯤에 보령종합체육관이 개관하며 상황은 조금 달라질 전망이다.[[http://www.char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12|#]] [[2011년]]부터 충남 균형발전 명목으로 추진중인 사업이었는데, 2014년 새 민선 시장으로 [[김동일(1949)|김동일]] 시장이 취임하고 임기 시작과 함께 착공하며 위치를 현 남포역 인근, 오래된 종합운동장(링크기사의 '종합경기장') 주변으로 잡은 것.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약사항 등으로 미루어 아마 차후 보령까지의 광역전철 연장을 염두에 두고 남포역의 재개장을 노린 듯 하다. 덕분에 대천동 시내에서 남포역 인근까지 차선이 확장되었고[* 다만 이 차선확장이 정확히 체육관 앞에서 끝난다(...) 남포면이나 웅천읍보다는 동 주민들의 수요를 고려한듯.] 이로 인해 시민들이 지속적으로 체육관을 이용하는 중이라 수요 걱정은 한숨 돌릴 듯하다. [[1977년]] 5월 16일부터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89606#8|철도청고시 제10호]]에 따라서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장항선의 역 목록)] [include(틀:남포선의 역 목록)] [[분류:192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장항선의 철도역]][[분류:남포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보령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