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낫개역'''}}} || ||<-3> [[부산 지하철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다대포항역|다대포항]][br]← 1.2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097)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신장림역|신장림]][br]1.2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낫개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tgae || || [[한자]] ||<-2> 낫개 || || [[간체자]] ||<-2> 纳溉 || || [[가나(문자)|가나]] ||<-2> ナッケ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422 ([[다대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theme=light]][[파일:부산교통공사 CI White.svg|width=150&theme=dark]]]]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2017년 4월 2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심도: 20.16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097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422 ([[다대동]]) 소재. 역명은 역 근처에 있는 [[멸치]]잡이로 유명한 낫개포구에서 따 온 것이다. 낫개는 역 근처의 지형 [[두송]][[반도]]의 옛날 지명인 나포(羅浦)의 순우리말 이름이기도 하며(두송반도가 '[[낫]]'모양이다. 개는 浦의 우리말) 그 덕분에 낫개역으로 역명이 확정되기 전에는 가칭 두송역이라는 명칭으로 역명이 확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존재하였다.[* [[두송중학교]], xx은행 두송지점, 두송생활문화센터, [[두송대선터널]] 등 두송이라는 이름이 지명으로도 쓰이고 있다.] 그런데 지역주민들 중에는 어감이 이상하다며 두송역으로 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이 역부터 종점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모든 역들이 [[바다]]와 상당히 가깝다. == 역 정보 == [[코오롱건설]]이 턴키입찰을 받아 현재 역을 건설하였다. [[2009년]] [[11월 4일]] 착공, [[2016년]] 8월 31일 기준 업데이트된 자료에 따르면 공정률은 100%로, 공사가 완료되어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 연장구간 중 가장 먼저 완공된 역이며 다대포 연장구간 곡선 승강장인 3개의 역 중 하나다. == 역 주변 정보 == 역 바로 앞에 다대사회복지관이 있으며 역 서쪽은 아미산[* 부산 안에서 [[서구(부산)|서구]] [[아미동]]에도 동 명칭을 딴 아미산이 있는데 여기와는 다른 산이다. [[다대포해수욕장역]]에서 다대롯데캐슬 방면으로 계속 올라가면 아미산전망대가 나온다.], 동쪽과 남쪽에는 다대 해송아파트, 다대 현대아파트, 코오롱맨션아파트, 신다대아파트, 다대롯데캐슬블루, 다대삼환아파트, 국제그린아파트 등의 아파트단지가 있다.[* 다대 현대 아파트 약 2200세대 다대 삼환아파트 약 1700세대, 다대롯데캐슬불루 약 1500세대 로 보다시피 상당히 다수 세대 아파트들이 밀집해있다.] 이 역 주변에 '국제여객터미널'이 있는데 [[부산역]] 근처에 있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과는 달리 외국으로 나가는 정기 [[여객선]] 같은 것은 하나도 없다. 현재는 대부분 선박 수리나 휴식을 위해 잠시 머무는 정도인데 그마저도 점점 줄고있는 상황이다. 결국 인근 주민들이 아니고서야 이 터미널의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북한]] 대표팀과 당시 화제가 되었던 '미녀 응원단'이 타고 온 [[만경봉 92호]]가 이 곳에 정박했었고 그것을 기념하여 통일아시아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역 동남쪽에는 두송[[반도]]가 있다. [[이기대]].[[신선대]], [[오륙도]]나 [[태종대]], [[몰운대]], [[암남공원]]에 비해 이름이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여기도 그 곳들 못지 않게 경치가 좋은 [[바위]][[해안]]이 있으며 갈맷길로도 지정되어 있다. 다만 두송반도의 모양이 가늘고 길쭉하기 때문에 이 역에서 반도 끝까지 다녀오려면 태종대 완주보다 훨씬 더 긴 6km 이상의 언덕길을 걸어야 한다. 두송반도 바로 근처에 최근에 완공된 [[두송대선터널]]이 위치해 있다. [[터널]]을 지나면 바로 [[구평동(부산)|구평동]]과 [[감천항]]이다. == 일평균 이용객 == 낫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7년 || 9,705명 || [* 개통일인 4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8년 || 9,819명 || || || 2019년 || {{{#f06a00 10,281명}}} || || || 2020년 || 8,043명 || || || 2021년 || 8,327명 || || || 2022년 || 9,028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2022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은 9,028명으로 다대포 연장구간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근처로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밀집되어 있지만 다대4지구(다대로381번길)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접근성의 문제로 해당 지역 주민들은 낫개역을 잘 이용하지 않고 주로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신평역]]이나 [[괴정역]]까지 가서 환승하는 편이다. 더군다나 다대4지구를 경유하는 [[부산 버스 사하6|사하6번]]과 [[부산 버스 사하8|사하8번]]은 낫개역을 직접적으로 이어주지 않는다. 정확히는 도시철도 연계 목적으로 낫개역 경유로 노선을 변경시켰으나 너무 우회해서 돌아갔기에 다대4지구 주민들의 항의와 반발로 인하여 원상복구되었다.[* 어차피 낫개역을 이어주지 않더라도 [[장림역]]과 [[신장림역]]에서 충분히 환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낫개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낫개역 안내도.jpg|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다대포항역|다대포항]]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신장림역|신장림]] || || {{{#ffffff 상}}} ||<|2>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항역|다대포항]]·[[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서면역|서면]]·[[동래역(도시철도)|동래]]·[[노포역|노포]]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 ◁ || {{{#c0c0c0 낫 개}}} || ▷ || [[대티역|대 티]] || == 연계 교통 == * 낫개역(정류장 번호: 10-173) * [[부산 버스 2]]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3]]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1]]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96]]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96-1]]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338]]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000]][*심야 심야포함] - 다대포행 * 낫개역(정류장 번호: 10-173) * [[부산 버스 2]] - [[부산역]]행 * [[부산 버스 3]] - 신호주거단지행 * [[부산 버스 11]] - 영선동행 * [[부산 버스 96]] - 송도행 * [[부산 버스 96-1]] - 서구청행 * [[부산 버스 338]] - 모라주공아파트행 * [[부산 버스 1000]][*심야] - 서면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사하15]] == 기타 == * 다대3지구 아파트 밑을 통과하다보니[* 다대해송아파트 110동 앞의 주차장 밑으로 1호선이 지나간다.] 주민들이 공사를 반대하기도 했었다. * [[다대포항역]]과 마찬가지로 다대삼환아파트 버스정류장 앞 단층 건물을 모두 헐고 그 부지에 낫개역 출입구를 만들었다. * 2, 4번 출구가 특이하게 생겼다. 2번 출구가 있는 길과 4번 출구가 있는 길에 약간의 고도차가 있기 때문이다.[* 4번 출구 쪽이 저지대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와서 바로 좌회전하면 4번 출구고, 우회전해서 계단을 1번 더 올라가면 2번 출구다.] * 5번 출구가 없는것은 오류표기가 아니라 부산지하철 출구번호 붙이는 규칙이 한쪽은 홀수만 한쪽은 짝수만 붙이는 방식이라 낫개역뿐만 아니라 중간에 출구번호 비어있는 역이 많은편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분류:사하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 순우리말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