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5E00,#dddddd {{{+1 '''내'''}}}}}} {{{#030066,#dddddd {{{+1 '''심장을 쏴라'''}}} (2015)[br]''Shoot Me in the Hear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화 내 심장을 쏴라 포스터.jpg|width=100%]]}}} || || '''{{{#dddddd,#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dddddd,#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문제용}}} || || '''{{{#dddddd,#dddddd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유정(소설가)|정유정]]의 소설 '[[내 심장을 쏴라]]'}}} || || '''{{{#dddddd,#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문제용, [[유선동]], 최정미}}} || || '''{{{#dddddd,#dddddd 각색}}}'''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윤수, 방순정, [[정윤철]], 백승빈, 류훈}}} || || '''{{{#dddddd,#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주필호, 방미정}}} || || '''{{{#dddddd,#dddddd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강진}}} || || '''{{{#dddddd,#dddddd 투자}}}''' ||{{{#!wiki style="margin: 0px 10px" 엄용훈, 박민정, 이석주, 주필호, 이정석, 오세영, 박세준, 이한대}}} || || '''{{{#dddddd,#ddd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민기]], [[여진구]] 외}}} || || '''{{{#dddddd,#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용규}}} || || '''{{{#dddddd,#dddddd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신상열}}} || || '''{{{#dddddd,#ddddd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창주, 박경숙}}} || || '''{{{#dddddd,#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준석}}} || || '''{{{#dddddd,#ddddd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미경}}} || || '''{{{#dddddd,#dddddd 세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트서비스}}} || || '''{{{#dddddd,#dddddd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희준}}} || || '''{{{#dddddd,#dddddd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상운}}} || || '''{{{#dddddd,#dddddd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인규, 성윤용}}} || || '''{{{#dddddd,#dddddd 특수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건익}}} || || '''{{{#dddddd,#dddddd 시각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덕우}}} || || '''{{{#dddddd,#dddddd 무술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송민석}}} || || '''{{{#dddddd,#dddddd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도훤}}} || || '''{{{#dddddd,#dddddd 스틸}}}'''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석환}}} || || '''{{{#dddddd,#dddddd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태완 외}}} || || '''{{{#dddddd,#dddddd 메이킹}}}'''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상호, 공대건}}} || || '''{{{#dddddd,#dddddd 마케팅}}}''' ||{{{#!wiki style="margin: 0px 10px" 신유경 외}}} || || '''{{{#dddddd,#dddddd 스크립터}}}'''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혜경}}} || || '''{{{#dddddd,#dddddd 현장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주영}}} || || '''{{{#dddddd,#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피터필름}}} || || '''{{{#dddddd,#dddddd 투자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수 C&E, [[리틀빅픽처스]], [[이수창업투자]], 주피터필름, 타임와이즈인베스트먼트, [[KT알파|KTH]], 나이너스엔터테인먼트, [[싸이더스]], [[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청]], [[한국벤처투자]]}}} || || '''{{{#dddddd,#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리틀빅픽처스, 나이너스엔터테인먼트}}} || || '''{{{#dddddd,#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1월 28일}}} || || '''{{{#dddddd,#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8:1}}} || || '''{{{#dddddd,#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1분}}} || || '''{{{#dddddd,#ddd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387,409명}}} || || '''{{{#dddddd,#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정유정(소설가)|정유정]]의 소설 '[[내 심장을 쏴라|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 [[2015년]] [[1월 28일]] 개봉했다. 문제용이 연출하였고, [[이민기]], [[여진구]] 등이 출연하였다. [[정신병원]]을 소재로 한다. == 원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 심장을 쏴라)]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TYmsZ_QNAw)]}}}|| || {{{#FFFFF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b8zq9hskG8)]}}}|| || {{{#FFFFFF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경험이 말한다! “이 녀석은 피하라고!”'''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 때문에 6년째 병원을 제집처럼 드나든, 누구보다 성실한 모범환자 ‘수명’. >하지만 움직이는 시한폭탄 ‘승민’과 엮이면서 그의 평화로운 병원라이프가 흔들리기 시작한다. > >'''본능이 말한다! “이 녀석, 재미있겠다고!”''' >이유도 없이 강제로 병원에 갇히게 된 ‘승민’. 어떻게든 이 곳을 나가야만 하는 그는 >같은 방 동기이자 동갑내기인 ‘수명’을 꼬드겨 탈출을 감행한다. > >'''세상을 상대하러 나선 놈들!''' >'''모든 것을 내던진 청춘들의 위험한 탈출이 시작된다!''' >---- >출처: 다음 영화 == 출연 == * [[이민기]] - 승민 역 * [[여진구]] - 수명 역 * [[유오성]] - 최기훈 역 * [[김정태]] - 김용 역 * [[박두식]] - 점박이 역 * [[한혜린]] - 윤보라 역 * [[신구]] - 십운산도사 역 * [[송영창]] - 렉터원장 역 * [[김기천]] - 만식 역 * [[박충선]] - 우울한 청소부 역 * [[정규수]] - (특별출연) 인권위원장 역 * [[정유정(소설가)|정유정]][* 이 영화의 원작 소설가인 그 [[정유정(소설가)|정유정]]이 맞다.] - (특별출연) 정신과 전문의 역[* 원작 소설에서의 이 인물의 이름은 박혜신이나, 영화에서는 이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 [[엄효섭(배우)|엄효섭]] - (특별출연) 수명 아버지 역 * 김구택 - (특별출연) 영덕 역 * [[정지영(방송인)|정지영]] - (특별출연) 라디오 아나운서 역[*voice 목소리 출연이다.] {{{#!folding [ 우정출연 및 단역 펼치기ㆍ접기 ] * 김상혁 - (우정출연) 목사 역 * 이덕청 - (우정출연) 변호사 역 * 임문영 - (우정출연) 보건복지부장관 역 * 김정은 - (우정출연) 임상심리의 역 * [[이화영(배우)|이화영]] - 현선 엄마 역 * [[윤영걸]] - 국정원요원 역 * [[이준혁(1972)|이준혁]] - 거리의 악사 역 * [[김재화]] - 버킹엄 공주 역 * 김호준 - 경보선수 역 * [[최재섭]] - 땅딸이 역 * 윤영균 - 전봇대 역 * 진용욱 - 거시기 역 * 김보라 - 은이 역 * 곽순우 - 한이 역 * 이윤건 - 류재민 역 * 황두하 - 야구모자 역 * 최문수 - 수명 어머니 역 * 전소연 - 막내간호사 역 * 이규섭 - 작업반1 역 * 박응수 - 작업반2 역 * 정재훈 - 보호사1 역 * 조우람 - 보호사2 역 * 곽병민 - 보호사3 역 * 양승걸 - 유원지소장 역 * 최윤빈 - 환자1 역 * 김선하 - 환자2 역 * 황정훈 - 환자3 역 * 정희중 - 환자4 역 * 김배건 - 환자5 역 * 장리우 - ECT간호사 역 * 권소영 - 간호사1 역 * 광복동 - 정문경비1 역 * 강영묵 - 정문경비2 역}}}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 심장을 쏴라, 앵커=등장인물)] == 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 심장을 쏴라, 앵커=줄거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 코드>, user=<유저 평점>, list=, rank=<순위>)]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전문가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지수>)]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 흥행 == 한국 관객 387,409명이라는 성적을 기록하였다. == 기타 == [[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2015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