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내 최애는 악역 영애.)] [include(틀:내 최애는 악역 영애.)] ||<-2>
{{{#fefcb0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010101, .5px 0 #010101, 0 .5px #010101, -.5px 0 #010101, -.5px -.5px #010101, .5px -.5px #010101, .5px .5px #010101, -.5px .5px #010101, 0 0 2px #010101, 0 0 6px #010101" '''{{{+1 내 최애는 악역 영애.}}}''' (2023)[br]私の推しは悪役令嬢。[br]I'm in Love with the Villaine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내 최애는 악역영애 한글 키비주얼.png|width=100%]]}}} || ||<-2> {{{#fefcb0,#fefcb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efcb0,#fefcb0 장르}}}''' ||[[악역 영애물|악역 영애]], [[백합(장르)|백합]],[br][[판타지(장르)|판타지]], [[러브 코미디]], [[퀴어 문학|퀴어]] || || '''{{{#fefcb0,#fefcb0 원작}}}''' ||이노리。(いのり。) || || '''{{{#fefcb0,#fefcb0 캐릭터 원안}}}''' ||하나가타(花ヶ田)[br]아오노 시모(青乃 下) || || '''{{{#fefcb0,#fefcb0 감독}}}''' ||[[오오바 히데아키]] || || '''{{{#fefcb0,#fefcb0 시리즈 구성}}}''' ||<|2>히사오 아유무(久尾 歩) || || '''{{{#fefcb0,#fefcb0 각본}}}''' || || '''{{{#fefcb0,#fefcb0 캐릭터 디자인}}}''' ||[[사토 요코(애니메이터)|사토 요코]] || || '''{{{#fefcb0,#fefcb0 프롭 디자인}}}''' ||스기무라 토모카즈(杉村友和) || || '''{{{#fefcb0,#fefcb0 총 작화감독}}}''' ||[[사토 요코(애니메이터)|사토 요코]][br][[코바야시 토시미츠]] || || '''{{{#fefcb0,#fefcb0 액션 작화감독}}}''' ||사이키 야스히로(才木康寛) || || '''{{{#fefcb0,#fefcb0 미술 감독}}}''' ||야치 키요타카(谷地清孝) || || '''{{{#fefcb0,#fefcb0 색채 설계}}}''' ||야마가미 아이코(山上愛子) || || '''{{{#fefcb0,#fefcb0 촬영 감수}}}''' ||아사카와 시게키(浅川茂輝) || || '''{{{#fefcb0,#fefcb0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 || '''{{{#fefcb0,#fefcb0 음향 감독}}}''' ||타카쿠와 하지메(高桑 一) || || '''{{{#fefcb0,#fefcb0 음향 효과}}}''' ||이나다 유스케(稲田祐介) || || '''{{{#fefcb0,#fefcb0 음악}}}''' ||[[아사쿠라 노리유키]][br]우사기토 우마(兎と馬) || || '''{{{#fefcb0,#fefcb0 음악 제작}}}'''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 || || '''{{{#fefcb0,#fefcb0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나카니시 고(中西 豪)[br]타케우치 후미에(竹内文恵) || || '''{{{#fefcb0,#fefcb0 제작총괄}}}''' ||오오이시 히로미치(大石祐道) || || '''{{{#fefcb0,#fefcb0 프로듀서}}}''' ||후지이 타카히로(藤井貴大)[br]이케노리 쇼고(池乗彰吾)[br]진구지 타케시(神宮司剛史) || || '''{{{#fefcb0,#fefcb0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요네자와 에미(米沢恵美) || || '''{{{#fefcb0,#fefcb0 애니메이션 제작}}}''' ||[[플래티넘 비전]] || || '''{{{#fefcb0,#fefcb0 제작}}}''' ||와타오시 [[제작위원회]] || || '''{{{#fefcb0,#fefcb0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 10. 03.]] ~ 방영 중 || || '''{{{#fefcb0,#fefcb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화) 00: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br](화) 01:00^^1화^^[br](화) 01:24^^2화~^^ || || '''{{{#fefcb0,#fefcb0 스트리밍}}}''' ||[[Laftel]] [[https://laftel.net/item/41672|▶]][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92480|▶]] || || '''{{{#fefcb0,#fefcb0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efcb0,#fefcb0 화수}}}''' ||12화 (예정) || || '''{{{#fefcb0,#fefcb0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선정성, 언어)}}}}}} || || '''{{{#fefcb0,#fefcb0 관련 사이트}}}''' ||[[https://wataoshi-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ataoshi_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라이트 노벨 [[내 최애는 악역 영애.]]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오바 히데아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년 10월]]. == 공개 정보 == === PV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6Z8TDNdE0c, width=100%)]}}} || ||<-2>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n_DCILXlLg,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dh-ZHVyNZ4, width=100%)]}}} || || '''PV 제1탄''' || '''PV 제2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gLo_IfemZE, width=100%)]}}} || ||<-2> '''메인 PV'''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HIdPbgdyqs, width=100%)]}}} || ||<-2> '''애니맥스 코리아 PV'''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내최애는악역영애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내최애는악역영애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 '''{{{#fefcb0,#fefcb0 티저 비주얼}}}''' || '''{{{#fefcb0,#fefcb0 키 비주얼 1탄}}}''' || == 줄거리 == >[[사축]] 회사원 [[레이 테일러|오오하시 레이]][* 여주인공의 본명.]는 >전생에서 플레이하던 여성향 게임 『Revolution』의 >여주인공 [[레이 테일러]]로서 전생하여 >이세계에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 >왕립학교를 무대로 꽃미남 왕자들을 >공략하는 꿈 같은 여성향 게임의 세계. >하지만 그녀의 '[[최애]]'는 악역 영애 >[[클레어 프랑소와]]였는데! > >『'''"저는 클레어 님을 정말 좋아해요!!"'''』 > >[[클레어 프랑소와 |클레어]]의 변덕도 심술도 그녀에게 있어선 오히려 포상. >전생에서 푹 빠져 게임을 플레이했던 [[레이 테일러|레이]]는 >그 지식과 [[클레어 프랑소와 |클레어]]에 대한 사랑으로 >[[클레어 프랑소와 |클레어]]와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인가? ><[[일편단심]]>의 이세계 걸즈 러브코미디, 개막! >---- >[[https://www.animaxtv.co.kr/programs/nae-coeaeneun-agyeog-yeongae|애니맥스 코리아]] == [[내 최애는 악역 영애./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 최애는 악역 영애./등장인물)] ||
'''등장인물''' || '''[[레이 테일러|[[파일:와타오시_레이 테일러 아이콘.png|width=90]][br]{{{#e11e19,#e11e19 레이}}} {{{#ded119,#ded119 테일러}}}]]''' || '''[[클레어 프랑소와|[[파일:와타오시_클레어 프랑소와 아이콘.png|width=90&height=119]]{{{#!wiki style="margin: 0px -10px" {{{#e11e19,#e11e19 클레어}}} {{{#ded119,#ded119 프랑소와}}}}}}]]''' || '''[[내 최애는 악역 영애./등장인물#s-4.1|[[파일:와타오시_미샤 유르 아이콘.png|width=90&height=119]][br]{{{#e11e19,#e11e19 미샤}}} {{{#ded119,#ded119 유르}}}]]''' || '''[[내 최애는 악역 영애./등장인물#s-4.2|[[파일:와타오시_레네 오르소 아이콘.png|width=90&height=119]][br]{{{#e11e19,#e11e19 레네}}} {{{#ded119,#ded119 오르소}}}]]''' || '''[[내 최애는 악역 영애./등장인물#s-4.7|[[파일:와타오시_로렛타 크글렛 아이콘.png|width=90&height=119]][br]{{{#e11e19,#e11e19 로렛타}}} {{{#ded119,#ded119 크글렛}}}]]''' || '''[[내 최애는 악역 영애./등장인물#s-4.8|[[파일:와타오시_피피 발리에 아이콘.png|width=90&height=119]][br]{{{#e11e19,#e11e19 피피}}} {{{#ded119,#ded119 발리에}}}]]''' || || '''성우''' || [[세리자와 유우]] || [[나나미 카린]] || [[아이미(성우)|아이미]] || {{{#!wiki style="margin: 0px -10px" [[하세가와 이쿠미]]}}} || [[마츠모토 사라]] || {{{#!wiki style="margin: 0px -10px" [[쿠리사카 미나미]]}}} || == [[내 최애는 악역 영애.#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 최애는 악역 영애.,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fefcb0,#fefcb0 OP[br]レイジョアハンズ!![br]Raise Y/Our Han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hN5dq9VY7M, width=100%)]}}} || ||<-2> '''{{{#fefcb0,#fefcb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DkREYBvmRc, width=100%)]}}} || ||<-2> '''{{{#fefcb0,#fefcb0 Full ver.}}}''' || || '''노래''' || [[레이 테일러|레이]](CV:[[세리자와 유우]])&[[클레어 프랑소와|클레어]](CV:[[나나미 카린]]) || || '''작사''' ||<|3> TECHNOBOY'S PULCRAFT GREEN-FUND || || '''작곡''' || || '''편곡''' || || '''발매일''' || 선행배포: 2023.10.03.[br]2023.11.15.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하마치(はまち) || || '''연출''' || || '''작화감독''' || 오가와 코지(小川浩司) || || '''총 작화감독''' || [[사토 요코(애니메이터)|사토 요코]]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fefcb0,#fefcb0 ED[br]O.C. ~Optimum Combin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qJKMxB6c7k, width=100%)]}}} || ||<-2> '''{{{#fefcb0,#fefcb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FnG9TQH0l8, width=100%)]}}} || ||<-2> '''{{{#fefcb0,#fefcb0 TV Episode1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EL4KK7hbpU, width=100%)]}}} || ||<-2> '''{{{#fefcb0,#fefcb0 TV Episode2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gGS1PoFYPU, width=100%)]}}} || ||<-2> '''{{{#fefcb0,#fefcb0 Full ver.}}}''' || || '''노래''' || [[레이 테일러|레이]](CV:[[세리자와 유우]])[br] [[클레어 프랑소와|클레어]](CV:[[나나미 카린]]) || || '''작사''' ||<|3> TECHNOBOY'S PULCRAFT GREEN-FUND || || '''작곡''' || || '''편곡''' || || '''발매일''' || 2023.11.15.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오가와 코지(小川浩司) || || '''원화''' || || '''연출''' || [[오오바 히데아키]] || || '''총 작화감독''' || [[사토 요코(애니메이터)|사토 요코]]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include(틀:애니맥스 신작)] * 전화 각본: 히사오 아유무(久尾 歩)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異世界生活は猪突猛進。[br]이세계 생활은 저돌 맹진.}}} ||<-2> {{{-2 [[오오바 히데아키]]}}} || {{{-2 오가와 코지[br](小川浩司)}}} || {{{-2 [[사토 요코(애니메이터)|사토 요코]]}}} || {{{-2 日/韓:[br]2023.10.03.[br][[https://youtu.be/EwcfQI7gWCw|하이라이트]]}}} || || {{{-2 제2화}}} || {{{-2 メイドの仕事は愛情奉仕。[br]메이드 일은 애정 봉사.}}} ||<-2> {{{-2 니와 모토히코[br](にわ素彦)}}} || {{{-2 카지우라 신이치로[br](梶浦紳一郎)}}} || {{{-2 [[코바야시 토시미츠]]}}} || {{{-2 日/韓:[br]2023.10.10.[br][[https://youtu.be/EfQf0QKyw6o|하이라이트]]}}} || || {{{-2 제3화}}} || {{{-2 私の恋は七転八起。[br]내 사랑은 칠전팔기.}}} ||<-2> {{{-2 오오바 히데아키}}} || {{{-2 [[미나미 신이치로]]}}} || {{{-2 사토 요코}}} || {{{-2 日/韓:[br]2023.10.17.[br][[https://youtu.be/u9q3j8PLRCU|하이라이트]]}}} || || {{{-2 제4화}}} || {{{-2 魔物の襲撃は油断大敵。[br]마물의 공격에 방심은 금물.}}} ||<-2> {{{-2 니와 모토히코}}} || {{{-2 오가와 코지}}} || {{{-2 코바야시 토시미츠}}} || {{{-2 日/韓:[br]2023.10.24.[br][[https://youtu.be/EfpYVX4lCck|하이라이트]]}}} || || {{{-2 제5화}}} || {{{-2 騎士団試験は波瀾万丈。[br]기사단 시험은 파란만장.}}} ||<-2> {{{-2 오오바 히데아키}}} || {{{-2 카지우라 신이치로}}} || {{{-2 사토 요코}}} || {{{-2 日/韓:[br]2023.10.31.[br][[https://youtu.be/NutomYdNxu0|하이라이트]]}}} || || {{{-2 제6화}}} || {{{-2 秘密の[ruby(理由, ruby=ワケ)]は他言無用。[br]비밀의 이유는 누설 금지.}}} || {{{-2 니와 모토히코}}} ||<|2> {{{-2 니와 모토히코}}} || {{{-2 미나미 신이치로}}} || {{{-2 코바야시 토시미츠}}} || {{{-2 日/韓:[br]2023.11.07.[br][[https://youtu.be/gosi_L2LKms|하이라이트]]}}} || || {{{-2 제7화}}} || {{{-2 学際の決め手は逆転喫茶。[br]축제의 승부수는 역전 카페.}}} || {{{-2 요시카와 히로아키[br](吉川博明)}}} || {{{-2 오가와 코지}}} || {{{-2 사토 요코}}} || {{{-2 日/韓:[br]2023.11.14.[br][[https://youtu.be/VHC7pMOz_X8|하이라이트]]}}} || || {{{-2 제8화}}} || {{{-2 渦巻く流れは権謀術数。[br]소용돌이치는 흐름은 권모술수.}}} || || || || || {{{-2 日/韓:[br]2023.}}} || || {{{-2 제9화}}} || || || || || || {{{-2 日/韓:[br]2023.}}} || || {{{-2 제10화}}} || || || || || || {{{-2 日/韓:[br]2023.}}} || || {{{-2 제11화}}} || || || || || || {{{-2 日/韓:[br]2023.}}} || || {{{-2 제12화}}} || || || || || || {{{-2 日/韓:[br]2023.}}} || == 평가 == [include(틀:평가/Filmarks(애니메이션), code=, user=X.X)]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 user=X.XX)] [include(틀:평가/IMDb, code=, user=X.X)]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X.X)] [include(틀:평가/ANIPLUS, code=, user=X.X)]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방송), code=, Heart=X)] === 방영 전 === 제작진에서 우려의 반응이 많다. 감독 [[오오바 히데아키]]는 1988년부터 연출 활동을 해온 대베테랑이지만 감독작들은 대부분 평작 이하라는 혹평을 받아왔으며, 특히 본작의 세부 제작진은 [[괴병의 라무네]], [[살애/애니메이션|살애]]와 동일한데 공교롭게도 이 두 작품 모두 미묘하다는 평가를 받아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공개된 PV들도 작화 퀄리티가 불안정하여 비판이 많다. === 방영 후 === 전체적인 평가는 작화 외에는 대체로 호평이다. 방영 전에 우려한 부분이 그대로 적중하여, 전체적으로 실망스럽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좋은 부분을 보여줘야 했을 PV에서부터 불안하던 작화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고, 컷마다 기복이 심한데다가 동세가 전혀 없는 장면에서도 '''그림체부터 망가지는 장면이 1화부터 속출하고 있다.''' 특히 레이는 주인공임에도 전혀 작화의 수혜를 받지 못해서, 악의 없이 찍은 정지컷마다 작화가 붕괴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웬만하면 본편보다 작화가 좋은 엔딩 막컷 클로즈업에서조차 얼굴이 이상하게 나온다.(...)] 동분기 백합 애니메이션 [[별무리 텔레패스/애니메이션|별무리 텔레패스]], [[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애니메이션|외톨이 흡혈 공주의 고뇌]]는 작화가 상당히 수준급으로 뽑혀 나왔기에 비교될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다. [[오오바 히데아키]] 감독이 동분기에 [[경험 많은 너와 경험 없는 내가 사귀게 된 이야기/애니메이션|경험 많은 너와 경험 없는 내가 사귀게 된 이야기]]와 동시에 감독하고 있어 스케줄 문제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팬들은 진행될 수록 작화가 나아지길 기대하며 행복회로를 돌리지만, 무엇보다 잘 뽑혀야 하는 1화부터 이 모양이라는 말은 개선의 여지가 없다는 말과 같은 말이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고 애니화 자체에만 의의를 두는 경우도 적잖게 보인다. 다만 클레어만큼은 최대한 작화가 유지되고 있고, 클레어가 귀엽다는 부분만큼은 잘 살렸다는 호평도 있다. 또한 짝수화는 홀수화보다 작화 평이 좋은 편이다. 홀수화의 총 작화감독 [[사토 요코(애니메이터)|사토 요코]]보다 짝수화의 총 작화감독 [[코바야시 토시미츠]]의 실력이 더 뛰어나서 그런 걸로 보인다. 연출이 전체적으로 2000년대 초중반 애니메이션 느낌이 나며 최근에는 촌스럽다고 잘 쓰이지 않는 별 눈, 화났을 때 일본전통가면 얼굴로 화내기, 머리가 뒤집어지면서 눈에서 불꽃이 나오는 모습 등등이 많이 나온다. 가끔 무너지는 작화와 좋다고는 할 수 없는 움직임 때문에 촌스러움이 더 두드러져서 이 부분은 혹평이 많다. 하지만 이런 작화붕괴에도 불구하고, 작화를 중요시하는 해외팬덤이 주로 활동하는 Anime trending에서 프리렌, 어둠실력, 스파이패밀리 다음 바로 밑의 4~5위권을 차지하는 등 홍보에 열을 올린 기대작 바로 다음의 인기를 구가하고 백합을 소비하지 않는 쪽에서도 스토리는 좋았다고 평가를 받고 있다. 가장 중요한 작화가 망가졌음에도 한계에 빠르게 타협해 스케일을 키우지 않은 고전적 연출, 성우들의 열연[* 클레어의 캐릭터에서 가장 중요한 오호호호라는 웃음을 굉장히 잘 살려냈다.], 원래도 좋은 평가를 받고있는 원작을 잘 분배한 스토리 완급으로 흔히 애니의 분기점이라 불리는 3~4화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대로만 간다면 2023년 4분기의 다크호스로써 롱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다음 화 예고, BD 광고, 더 나아가서는 같은 연재처의 다른 만화 홍보 등에도 레이와 클레어의 만담이 나오는데 성우들의 열연으로 평가가 좋다. 오프닝과 엔딩은 상당히 개그스러운 노래와 연출들로 만들어졌는데 작품 전체의 톤을 놓고 보면 안 어울리지만 레이와 클레어의 투닥거림이 재미요소인 초반 내용과는 어울린다고 볼 수 있다. 엔딩은 레이의 솔로, 클레어의 솔로가 두 차례 틀어진 뒤에 5화에서 두 사람의 듀엣 버젼이 공개되었다. 이후 6화와 7화는 레이와 클레어의 솔로버젼이 나왔는데 1~4화와 가사가 다르다. 점점 바뀌어가는 두 사람의 감정의 묘사를 엔딩 가사로 표현하였다. == 기타 == [각주] [[분류:내 최애는 악역 영애.]][[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백합 애니메이션]][[분류:악역 영애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