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절지동물)] ||<-2> '''{{{+2 내구류}}} 內口類[br]{{{#!wiki style="background-color: #f93;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3px 0px 0px; padding: 0px 4px; border-radius: 2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2px; border-color: #f93" [[학명|{{{#white 학명}}}]]}}} Entognatha''' Stummer-Traunfels, 189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agpest.co.nz/Brassica-springtail-common-springtail.jpg|width=100%]]}}} || ||<-2> 사진은 내구강 톡토기아강에 속하는 [[톡토기]]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절지동물문]] ^^Arthropod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아문'''}}}]] ||[[육각류|육각아문]] ^^Hexapod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내구강 ^^Entognatha^^'''|| [목차] [clearfix] == 설명 == [[곤충강]]을 제외한 [[절지동물문]] [[육각류]] 동물들을 말한다. 구기(口器)가 침 형태이며 머리 안쪽에 숨겨져 있는 특징 덕분에 내구강이라 불린다. 한때 원시적인 곤충이라 하여 곤충강 무시아강의 원시곤충으로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내구강으로 따로 분류되었다. == 내구강이 곤충강과 다른 점 == 곤충의 기본적인 특징과 아주 다른 여러 특징들을 통해 독립적인 내구강으로 분리되었다. 내구강은 [[곤충강]]과는 달리 마디가 좀 더 유합되거나 구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는 곤충류의 경우 11마디, 낫발이류는 12마디로 나뉘나, 톡토기류는 6마디만이 존재해서 배마디 수가 4마디 이상 적다. 그리고 머리에 있는 눈은 곤충처럼 겹눈이 아닌 몇 개의 낱눈으로 되어 있고 가슴 마디가 유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한 다리의 부절의 마디 수도 현저히 적다. 또한, 입모양이 곤충과 달리 원시적이다. 곤충은 머리에 턱이 달려있는 구조이지만, 내구강은 입술(?) 밑에 턱이 달려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 하위 분류 == * [[톡토기]]아강(Collembola) * [[낫발이]]아강 또는 원미아강(Protura) * [[좀붙이]]아강 또는 쌍미아강(Diplura) [[분류:내구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