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6> {{{+2 '''내금강역'''}}} || ||<:><-6>'''다국어 표기'''|| || [[영어]] ||<-6> Naegǔmgang(Uchikongō) || || [[정체자]] ||<-6> 內金剛 || || [[간체자]] ||<-6> 内金刚 || || [[일본어]] ||<-6> [ruby(内金剛, ruby=うちこんごう/ネクムガン)] || ||<:><-6>'''주소'''|| ||<:><-6>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장연리 || ||<:><-6>'''개업일·폐역일'''|| ||<:><-2>[[금강산선]] 개업일 ||<:><-4> 1931년 7월 1일 || ||<:><-2>[[금강산선]] 폐업일 ||<:><-4> 1944년 10월 1일 || ||<:><-6>'''열차거리표'''|| ||<:><-3> [[철원역|{{{#585858 {{{#!html
철원 방면
}}}}}}]][[병무역|병 무]][br]← 8.6 ㎞ || '''[[금강산선]]'''[br]내금강 || {{{#585858 {{{#!html
종점
}}}}}} || [[파일:attachment/KGSER001.jpg]] 위 사진의 한옥으로 된 역이 바로 내금강역이다. == 개요 == [[일제강점기]] [[금강산선]]의 철도역이다. 위치는 지금의 강원도 [[금강군]]에 있었으며,1931년 세워졌다. 개통 당시에는 종착역 구실을 하였으나, 1944년 10월 1일 태평양전쟁의 물자가 부족하여 전시공출명령으로 창도~내금강 간 49.0km 선로가 폐지 및 철거됨과 함께 폐역되었다. 금강산선에 세워진 철도역 중에서 '''유일하게 한옥으로 건축된 철도역'''이었으며 세워진 이후 많은 기관사들이 이 역을 보고 칭찬과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반대로 [[동해북부선]] [[외금강역]]은 알프스 산장을 연상시키는 서양식 양식이었는데, 이 또한 고풍스러운 모습을 자랑했다. 둘 다 보존될 가치가 있었는데, 전쟁으로 모두 날아가 버린 게 안타까운 따름이다. 현재 역 터에는 내강소학교가 들어서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금강산선의 역 목록)] [[분류:북한의 폐지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