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주요 단층)] ||<-2> '''{{{+1 내남단층}}}[br]{{{-1 內南斷層 | Naenam Faul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내남단층.png|width=100%]]}}}|| ||<-2> '''{{{-1 ▲ DCF는 덕천단층, YSF는 [[양산단층]]을 뜻한다}}}''' || || 깊이 ||10~16km || || 면적 ||38.44km^^2^^ || || 최대 발생[br]가능 규모 ||M,,w,, '''5.6''' ~ M,,w,, '''6.1'''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위치한 최대길이 6.2km의 단층. [[2016년 경주 지진]]의 원인이 된 단층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wc6sPW7Uk6I)]}}} || || {{{#ffffff '''SBS뉴스'''}}} || == 상세 == 지진 발생이후 정부 주도로 작성된 보고서[* 원전 설계기준 재평가를 위한 '16.9월지진 지진원 특성조사]에 따르면 깊이는 10~16km이며 최대 길이는 6.2km이다. 보수적으로 해석하여 단층의 가로-세로 비를 1:1로 했을 경우 최대 면적은 38.44km^^2^^이다. 파열면적-최대규모지진 경험식에 의해 구해진 최대 발생 가능 규모는 모멘트 규모(M,,w,,) 5.6 이지만, 95% 신뢰구간에서 보수적으로 계산한 최대 발생 가능 규모는 M,,w,, 6.06(6.1) 이다. [[2016년 경주 지진]]이 M,,w,, 5.5로 평가받기 때문에 경험식에 의해 구해진 최대 모멘트 규모 수준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보수적인 수준의 최대 규모인 M,,w,, 6.1 보다는 작은 규모이며,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지진 에너지의 특성상 [[2016년 경주 지진]]에 비해 최대 '''7.943 배''' 강한 지진이 보수적으로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만약 이 단층에서 보수적으로 설정한 최대치인 모멘트 규모 6.1의 힘이 쌓여있다면, [[2016년 경주 지진]]이 최소 7번은 발생해야 모두 해소된다는 뜻이다. == 지진활동 == 1978년부터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기상청 기록에 따르면 [[2016년 경주 지진]]의 규모 5.1 전진이 발생하기 전까지 이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은 없다. 다만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2024년 현재까지도 규모 1.0~2.0 수준의 여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분류:단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