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내래 북에서 왔습네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탈북자마법소녀.jpg|width=100%]]}}} || || '''{{{#373a3c,#dddddd 장르}}}''' ||[[러브 코미디]], [[마법소녀물|마법소녀]] || || '''{{{#373a3c,#dddddd 작가}}}''' ||[[사람살려.|나후]] || || '''{{{#373a3c,#dddddd 삽화가}}}''' ||나묘 || || '''{{{#373a3c,#dddddd 출판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상출판미디어]] || || '''{{{#373a3c,#dddddd 레이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노블엔진]] || || '''{{{#373a3c,#dddddd 발매 기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 12. 02. ~ 발매 중단 || || '''{{{#373a3c,#dddddd 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라이트 노벨]]. 작가는 [[시온의 아이들]]을 집필한 [[사람살려.|나후]], 삽화가는 나묘. == 줄거리 == >[[탈북자]] 마법소녀(ㄴ)의 남조선 영웅담!! 보통 마법소녀가 아니다. 한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독특하면서도 기괴한 마법소녀의 어쩌면 당연하면서도 재미있는 세계 평화를 지키기 위한 이야기가 시작된다! == 발매 현황 == ||
'''{{{#373a3c,#dddddd 01권}}}''' || '''{{{#373a3c,#dddddd 02권}}}''' || '''{{{#373a3c,#dddddd 03권}}}''' || || [[파일:탈북자마법소녀.jpg|width=100%]] || [[파일:thumb-7Luk67KE64W467iU7JeU7KeE4_324x480.jpg|width=100%]] || || || '''{{{#373a3c,#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2월 02일}}}''' || '''{{{#373a3c,#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2월 05일}}}''' || '''{{{#373a3c,#ddddd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등장인물 == * '''나루''' [[파일:탈북_나루.png]] >“야 이 쌍간나 새끼들아! [[내래 인민의 락을 보여주갔어|내래 인민의 체술을 보여주갓어!]] 이 반동분자 새끼들!!”[* 변신주문이자, 시동어이다.] 본작의 주인공 1. 17세 새터민 출신의 '''[[이렇게 귀여운 아이가 여자일 리 없잖아|소년이다]]'''. 참고로 식탐이 상당히 강하다. 아예 작중에서 마법소녀가 된 이유도 따지고 보면 식탐 때문이었으며, 그가 작중에서 분노하는 이유 대부분이 식사시간을 방해받거나 하는 이유 때문이다. * '''유월하''' [[파일:유월하.png]] 본작의 주인공 2. 17세 대한민국 출신의 소녀다. 대한민국의 유명한 명문 재벌가 천지그룹의 영애다. * '''엘''' [[파일:멜.png]] 마법 나라에서 온 마법계약 대행자이자 마법소녀의 마스코트이며 나루에게 -알라의- 마법봉을 건네준다. 나루와 유월하의 서포트를 맡고 있다. * '''리수진''' 주인공 나루의 고향의 친구이자 동료였던 소녀. 역시 북에서 온 소녀로 2권에 돌연 전학생으로 모습을 드러냈으며 새로운 마법소녀 후보 중 1명이다. * '''한유화''' 2권에 수진을 경계하며 주인공 나루에게 접근하는 어드벤스 TF의 특수임무팀 소속인 소녀. 한국인인 아버지와 멕시코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며, 역시 새로운 마법소녀 후보 중 1명이다. == 기타 == * 소재가 [[북한|소재다 보니]] 내용과 상관없이 [[알라딘 커뮤니케이션]] 기준으로 별 2~3개의 저평가를 현재진행형으로 받는 중. * 탈북자는 북한에서 '네다'를 안 쓴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북한에서는 지방 간 교류가 어려워 서로의 사투리를 잘 모를뿐더러[* 평양에서 함경도 말투를 쓰면 쳐다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90% 이상이 이 말투를 안 쓰던 함경도 지방 출신이기 때문이다. 평안도, 함경도 말투는 그 차이가 처음 들어도 구분이 될 정도로 차이가 아주 크다. 일단 '내래'는 평안도만 썼으며, 탈북자가 사는 곳은 '왔슴다' 같은 말투를 많이 쓴다. 다만 북한은 사람들이 사투리를 쓰지 말 것을 강요하기에 젊은 세대가 '내래', '네다'를 쓰는 일도 많지는 않을 것이다. '네다'를 많이 쓰는 곳은 황해도로, [[이승만]]이 대표적이다. * [[백합(장르)|GL]]이 아니라 [[노멀#s-4|NL]]이다. ~~그 [[NL(정파)|NL]]이 아니다~~ [[분류:한국 라이트 노벨/목록]][[분류:2019년 소설]][[분류:러브 코미디 소설]][[분류:마법소녀물]][[분류:현대 퓨전 판타지]][[분류:미완성 작품/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