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시경제학)] [목차] == 개요 == '''내시균형'''(Nash equilibrium)은 [[게임 이론]]의 용어 중 하나로, 게임 상황에서 모든 참여자가 자신의 선택을 최적화하여 상호 작용하는 상태를 말한다. [[존 내시]]가 고안했다. == 양상 == 2인 게임에서 양 측이 서로 상대의 최선반응을 최선반응으로 대응하는 경우, 전략 프로필 (최선반응, 최선반응)을 바로 내시균형'이라고 한다. 고로 모든 선수들의 전략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더 이상 어떤 참여자도 자신의 결정을 바꿀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즉, 내시균형은 이러한 상태에서 모든 참여자가 최선의 선택을 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이다. 이때, 만약 한 참여자가 다른 참여자의 선택을 고려하여 자신의 선택을 조정하면, 그건 더 이상 내시 균형이 아닌 새로운 균형이 형성된다고 보아야 한다.유한한 전략적인 형식의 게임의 무작위 전략에는 소수가 우월전략을 세운 이상 무조건 존재한다. 타인들은 전략을 보고 서로 새로운 전략을 세워나간다. === 우월균형 [anchor(우월균형)] === 플레이어 i가 선택할 수 있는 전략 중 다른 플레이어의 결정과 상관없이 가장 큰 이득을 주는 전략을 우월전략이라고 한다. 2인 게임에서 양측 플레이어 모두 강우월전략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전략프로필 (강우월전략, 강우월전략)이 그 게임의 해가 된다. * 항상 다른 전략보다 더 많은 이득을 주는 전략을 강우월하다고 하여 엄격한 우월한 전략으로 부른다. 즉 최선의 선택이다. * 다른 전략과 같은 이득을 주는 경우가 하나라도 있으면 약우월하다고 하여 약하게 우월한 전략으로 부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his=문단, title=우월균형,version=7)] === 정제된 내시균형 === 조정게임과 같이 내시균형이 2개 이상 성립하는 경우, 그 게임의 해를 특정하기 위해 '셸링점'이나 '떨리는 손 균형'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다수의 내시균형에서 특정한 하나의 내시균형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들 도입하는 것을 내시균형의 정치화, 정제, 정련 등의 단어로 표현한다. 정제된 내시균형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우월전략을 약하게 제거[* 정제된 내시균형을 위한 방법이지만, 약우월전략을 제거하면 엉뚱한 변수가 등장하여 게임의 최종 결과를 바꿀 수 있다. 반면 엄격한 강우월전략을 없앤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 전략적인 형태로 축소 * 보다 합리성을 추구 → 광대한 형태로 확대 → 내시균형의 점진적 진보 → 균형 도달 * 혼란을 극복하기 위한 안정성 확보 → 광대한 형태로 일반화 시도 → 전략적 안정화 == 문제점 == * 내시균형의 비유일성 * 내시균형의 비효율성 == 관련 항목 ==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 *[[팃포탯전략]] *[[적합도]] *[[브라에스 역설]] [[분류:게임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