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냥코 대전쟁)] || '''{{{#000 상위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냥코 대전쟁)] [include(틀:냥코 대전쟁/스테이지)] }}} || [include(틀:냥코 대전쟁/스테이지/레전드 스토리)] [목차] == 개요 == [[냥코 대전쟁/신 레전드 스토리|신 레전드 스토리]]를 전부 클리어하면 해금되는 새로운 스테이지들이다. 스테이지 선택 시 공통 색상은 '''{{{#darkblue,#lightblue 짙은 파란색}}}'''. 고대신이라 자칭하는 자[* 아마 [[냥코 대전쟁/캐릭터/EX/스테이지 드롭#고대 가면신 드론(古神面ドロン)|고대 가면신 드론]]의 드롭 스테이지 이름이 신의 가면을 하사받은 자라서 드론에게 가면을 준 자로 추측된다.][* [[냥코 대전쟁/캐릭터#신(God-Cat / 神さま)|신]]과 관련있다고도 추측된다.]가 이세계의 현자를 찾아달라는 부탁을 냥코들이 받고 이세계로 가게 된 설정이다. 12.5 기준 '''1성'''은 5장까지 출시됐다. 레전드 스토리와 비슷하게 특별한 속성적은 없다. 굳이 고르자면 '''초수''' 정도가 된다. 12.2 업데이트로 성 강화 재료에 Z 버전이 등장했다. 그래서 레전드 제로에서는 기존의 성 재료 대신 Z 버전만 등장한다. 12.2에서 2장이 출시되며 고유 [[https://youtu.be/ZM_NcSkksDQ|BGM]]이 추가되었다. 기존 냥코 BGM에 어레인지를 한 형태인데, 현대적이고 펑키하면서도 이세계를 연상시키는 듯한 느낌의 곡이다. 12.0 이후 업데이트에서 등장하는 신규 적군은 구레, 신레의 사례처럼 이제는 일반적으로는 레제로에 처음으로 추가된다. 미니 화이트 사이클론, 초상수 빠빠옹 등이 레제로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전 레전드 시리즈와는 전혀 다르게, 각 메인 스토리의 고유 보스였던 반역의 발키리, 스페셜 스테이지의 강림 보스가 등장하는 등 레전드 스토리보다는 [[풍운 냥코탑]], [[이계 냥코탑]]을 연상케 하는 구성을 가진 스테이지들이 많다. === 난이도 === 아직 챕터가 많이 나오지 않아서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지만, '''레벨이 확장된 만큼 더 극악무도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미 첫 스테이지의 난이도부터 11성이다. 후반부에는 강습 최종이나 풍운 냥코탑 50층급의 스테이지가 대거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하지만 신 레전드와 비슷하게 그렇지 않을 가능성도 없진 않다. 실제로 이번에 처음 나온 스테이지도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우며 충분히 11성 값을 한다 평가받는다. 전체적으로 신레전드 2성과 비슷하거나 조금 쉬운 정도. 배율은 신레 최후반부와 크게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지만, 분노의 블랙 고릴라저씨가 1.5배율, 블랙 고릴라저씨가 4배율, 두드리가 10배율, 돌고래양이 2배율을 먹은 것을 보면 앞으로 배율이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 외에 레전드 시리즈에서 첫 등장한 사이클론이 2배율, 강림 보스들과 신이 1.5배율을 먹었고 구 레전드 보스였던 우루룬과 미래 2장 달 보스였던 반키리가 3배율을 먹고 재등장한 것을 보았을 때, 모든 보스들의 배율이 풍운 냥코탑에 나왔을 때 매겨진 배율과 맞먹거나 혹은 그 이상의 높은 배율로 매겨졌다. 때문에 레제로에 등장하는 구레, 스페셜 스테이지나 메인 스테이지 보스들의 배율은 풍운 냥코탑과 같거나 그 이상의 배율을 먹을 것으로 추정된다. 12.2에서 2장이 공개되었는데, 일부 신규 적군의 추가도 있지만 메인 스테이지 우주편 1장의 보스인 '''신''', 사이클론 스테이지의 보스 중 하나인 '''화이트 사이클론''', 강림 스테이지의 보스 중 하나인 '''반야아왕'''이 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때문에 스페셜 스테이지나 메인 스테이지의 최종보스 타입 적군[* 미래편의 반역의 발키리, 폭주한 고양이 무트, 우주편의 신, 신(진심), 파이널 기가 그랜드 신, 사이클론들, 강림 보스들, 각성&광란 스테이지 보스 등, 심한 경우에는 '''우리르, 자간드, 제로루자, 대마왕 야옹마''' 등이 등장할 수도 있다. --'''갓파랑 제로루자가 같이나오면...'''--][* 게다가 이런 적들이 1배율이 아닌 추가 배율을 먹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도 레제로 2장에서 등장한 신과 반야아왕이 1.5배율, 화이트 사이클론은 풍운 냥코탑과 동일한 2배율이 적용되었으므로, 배율을 먹을 것은 사실상 기정사실화되었다고 해도 좋을 정도이다.]이 레전드 제로에 지속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이며, 이럴 경우 난이도는 신 레전드나 구 레전드와는 비교도 못할 정도로 난이도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12.3에 나온 3장에서는 죽은 뚱땡이와 반역의 발키리가 등장한다.[* 죽은 뚱땡이는 1.5배율, 반역의 발키리는 3배율로 등장한다.] 이로 보아 매 나오는 장마다 강림 보스나 메인 스테이지 보스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12.4에서 등장한 4장에서는 무려 우루룬과 '''우라라''' 부녀가 마지막 스테이지에서 같이 등장한다. 이로써 풍운 냥코탑 보스 적군들의 등장도 확정. 심지어 4장의 통솔력은 무려 300을 넘는다! 12.5에 나온 5장에서는 여왕벌과 엔젤 사이클론이 등장한다. == 스테이지 목록 == [include(틀:냥코 대전쟁/스테이지/레전드 스토리)] 신 레전드 스토리와 동일하게 장 내에서 어려운 스테이지가 나오면 '''볼드체''' 처리, 레전드 제로에서 손꼽힐 정도로 어려운 스테이지가 나오면 '''{{{#red 붉은색}}}''' 처리, 인게임 최고난도로 평가되는 스테이지들은 '''{{{#darkred 어두운 빨간색}}}'''. '''{{{#darkblue,#lightblue 2, 3, 4성}}}'''이 나올경우 난이도가 크게 상승하는 스테이지는 윗첨자를 표기한다. === 제로 필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hite '''제로 필드'''}}} || || '''스테이지''' || '''드랍 아이템''' || '''요구 통솔력''' || '''주요 적''' || '''비고''' || || {{{#red '''시작의 세계'''}}} || '''[[파일:냥코 대전쟁_XP.png|width=24]]XP +1000만*[br][[파일:냥코 대전쟁_트레저 레이더.png|width=24]]트레저 레이더''' || 200 || '''{{{#green,#lime 메타 필리버스터}}}[br]{{{#red,#coral 초조수 오리쿡}}}[br]{{{#darkgray,#lightgray 초익수 뼝아루츠}}}[br]{{{#orange,#yellow 초천수 라자콩}}}[br]{{{#darkgreen,#lightgreen 초고대수 오리야크}}}''' || 필리버스터 X 3단진화 권한 해방 ||}}} * '''{{{#darkblue,#lightblue 시작의 세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51.png|width=32]][br]{{{-3 1배율[br]1.5배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32.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29.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5.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26.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6.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br]}}}}}} || 레전드 제로의 '''최초 스테이지.''' 우주편 3장 필리버스터 습격의 강화판이자 레전드 제로의 시작을 알리는 스테이지이다. 신 레전드 최초의 스테이지인 고대의 저주처럼 이 스테이지도 레제 첫 스테이지인 주제에 11성 치고 상당히 어려운 축에 속한다. 앵간한 11성을 뛰어넘는다는 신레 최종장과 비슷한 난이도를 갖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신레 최종장은 이디 습격처럼 소형 캐릭터, 딜탱 위주로 플레이해야 하고 레제 1장은 필리버스터 깨듯이 해야해서 개인차에 따라 난이도 차이가 날 수 있다.] 시작하면 신규 적 '''{{{#green,#lime 메타 필리버스터}}}'''와 분노의 블랙 고릴라저씨가 거의 동시에 튀어나오고, 곧이어 '''{{{#red,#coral 초조수 오리쿡}}}'''이 뒤따라 나온다. 이 스테이지의 적 출격제한은 3마리이기에 여기서 죽는 분블고가 두어마리 정도 충원된 뒤 '''{{{#darkgray,#lightgray 초익수 뼝아루츠}}}'''가, 또 한마리가 죽고 나오는 분블고 한마리 뒤엔 이번엔 '''{{{#orange,#yellow 초천수 라자콩}}}'''이, 또 한마리가 죽고 나면 대망의 신규 적 '''{{{#darkgreen,#lightgreen 초고대수 오리야크}}}'''가 등장한다.[* 이런 맵 특성상 적을 잡는게 더 불리하다. 일단 오리쿡과 뼝아루츠에서 시간을 벌자.] '''{{{#darkgreen,#lightgreen 초고대수 오리야크}}}'''는 저주를 걸며 '''마지막 공격에 50%로 열파'''를 쏘는 '''적군의 흑슬리'''로, '''체력 220만, 공격력 3.5만으로 스펙이 굉장히 높다.''' 가장 주의해야 하는 적. 우주편의 필리버스터를 생각하고 별 생각없이 갔다간 '''피 본다.''' 각 초수들은 분블고는 1.5배율, 나머지는 전부 1배율이지만 뼝아루츠부턴 체력이 상당하기에 점점 뒤로 잘 밀리지 않게 되고, 뒤에서 성을 정조준하는 필리버스터에 다급해지다간 그대로 패배할수도 있다. 또한 메타 필리버스터는 메즈/파동을 싹 다 무효로 하기 때문에 냥코 대포나 캐논포로 선딜을 끊는 것도 불가능하며, 라인을 다 밀고 직접 때리거나 노비루가, 라미엘, 포노 같이 연장 사거리가 매우 긴 캐릭터로 저격해서 끊는 수밖에 없다.[* 다만 열파 무효가 있는 포노를 제외하면 오리야크가 열파로 찢어 죽이는 탓에 사실상 일회용이라고 봐야 한다.] 특히 요주의는 위에 표에도 적힌 '''뼝아루츠~오리야크''' 구간. 뼝아루츠 자체는 사거리만 되면 호구끼가 넘치기에 할만하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그전까지 버텨주던 오리쿡이 죽으면 그자리를 라자콩이 채우게 되고, 라자콩의 파동에 의해 라인이 본격적으로 금가기 시작한다. 어떻게 뼝아루츠를 처리했다면 다음으로는 체력 220만짜리 '''{{{#darkgreen,#lightgreen 초고대수 오리야크}}}'''. 얼핏 나름 깔만한 체력이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아직 파동을 미친듯이 뿜어내는 라자콩이 높은 확률로 살아있고 필리버스터가 버티는 상황에선 상당한 부담이 된다. 거기다 빠른 공속과 3연공 막타에 50퍼 확률로 터지는 1.5만짜리 2레벨 열파는 그동안 잘 쌓아둔 딜러들을 지워버리기 쉬워 이 스테이지의 최대 고비라고 할수 있겠다. 다만 잡몹이 없는 오리야크의 최대 천적은 역시 '''이디:re, 에이프 고양이 루자, 각성 고대수 나라'''로, 이디:re는 연공 첫타에 꼬박꼬박 힛백되어 즉시 반격하는 특성상 거의 혼자서 오리의 체력을 절반 넘게 지운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 에이프 고양이 루자는 고대종 맷집, 초뎀+ 초수특효, 열파무효라 완벽히 카운터친다. 각성 고대수 나라는 고대종 엄강+공따+초수특효로 이론적 체력이 90만까지 올라간다. 딜도 상당히 높다. 오리야크까지 처리하면 분블고 두마리 정도가 뭉쳐나오고, 재빨리 필리버스터를 마무리하면 클리어. 만약 에이프 고양이 루자를 만들었다면 필히 데려가자. 필리버스터를 보조하는 적들 전부 초수라 루자의 놀이터이다. 하지만 파동 무효는 없어서 라자콩이 좀 거슬릴 수 있다. 헬파이어 도깨비 야옹마도 오리야크 상대로는 좋다. 드론으로 멈추고 상당한 폭딜을 주는 데에는 헬옹만한 게 없는 수준이다. 다만 라자콩을 미리 죽여놓아야 딜을 넣기 좋으며, 설령 라자콩이 먼저 죽었더라도 뒤이어 나오는 분블고를 조심해야 한다. 나라 3진은 고대종+초수특효에 뒤에 있는 필리버스터 저격까지 가능하다. 나라 3진을 포함한 [[https://youtu.be/jnzqsVg-dAY|야옹컴 3캐클]] 덱이 나올 정도. 천명의 왕 포노우도 스타 필리버스터 스테이지와 마찬가지로 이 스테이지에서 강캐로 활약할 수 있다. 필리버스터를 제외하면 모든 적들의 사거리를 압도하며, 열파, 파동 전부 무효에다 1000까지 닿는 원방 범위로 적들이 히트백될 때 안으로 파고들어가 필리버스터를 타격해서 선딜을 지속적으로 캔슬시켜 준다. 라인유지만 잘 해주자. 칸나도 뒤쪽 사거리는 최대 1000이라 필리버스터 타격에 좋고 초수 특효가 있어서 분블고를 갈아마시는 데 좋다. 라자콩 대항으로 명계의 칼리파나 마미를 데려가는 것도 괜찮은 선택. 마미는 원범이라 유효타율이 높으며, 칼리파는 라자콩에게 가장 강력한 딜을 뽑아내는 천사대항이면서, 본능을 통해 고대의 저주 무효를 줄 수 있어 오리야크의 저주로부터 무사할 수 있다. 물론 둘 다 열파 무효는 없고, 체력이 높은 편도 아니다보니 이 점을 유의하자. 일반 필리버스터처럼 정공법으로 깨기에는 일반적인 캐릭터 레벨로 한계가 있지만,어느 정도 이상으로 라인을 밀면[* 공격준비 모션 기준으로 거의 적 성에 겹치는 정도까진 밀어야 한다.] 필리버스터가 아군 성을 때리지 못한다. 따라서 라인을 매우 많이 밀고 필리버스터에게 한대를 맞아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필리버스터가 한 번도 못 때리게 하려면 라인 유지가 '''매우 절실하다.''' 우선 대광벽, 강시, 라길 등으로 틀어막고 배달로 오리쿡을 죽인 뒤 나라를 소환하면 필리버스터가 곧 성으로 갈 것이다. 그리고 각성전사 도그에몽으로 뼝아루츠와 라자콩[* 라자콩이 나올 때부터 볼더를 사용해 라인을 유지해야한다. 아니면 필리버스터가 공격을 한다.]의 공격을 버티자. 뼝아루츠가 죽으면 오리야크가 나와 나라, 도그에몽이 얼마 못 가 죽는데 이때 라자콩의 피가 얼마냐에 따라 승패가 갈린다. 별로 안 남았거나 죽었다면 가면신 드론으로 오리야크를 멈추고 서브 딜러를 소환[* 분블고를 카운터하기 적합한 칸나가 매우 좋다.]한다. 이쯤되면 나라와 도그에몽 쿨이 돌았을테니 뽑으면 끝이다. 근데 말이 쉽지 도령과 스냥이퍼가 바닥날 정도로 어렵긴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PpfK6DbTmak|성뿌 방법이 발견됐다.]] 박사로 타이밍을 맞춰[* 고릴라에게 공따를 걸어야한다.] 적들에게 공따를 걸고, 대광기린이 분블고와 초조수 오리쿡을 동시에 넉백시키고 비집고 들어가서[* 대포도 한번 쏴주면 확실히 가능해진다.] 그대로 메타 필리버스터와 성을 함께패는 전략이다. 성공했다면 고방만 잘 조절해주면 클리어. 이 방법 말고도 사키를 사용해 성뿌하는 방법도 있는듯 하다. 이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경우, 필리버스터 x의 3단진화 권한이 해방된다. 지금 당장은 필리버스터X의 3진이 능력치가 처참한 것도 있고, 신레 4성 공략의 핵심인 대형 EX캐 50렙 해금은 제로루자 스테이지이기 때문에 무리해서 이 스테이지에 도전할 필요는 없다. === 시공의 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hite '''시공의 끝'''}}} || || '''스테이지''' || '''드랍 아이템''' || '''통솔력''' || '''성뿌''' || || '''뒤틀린 우주의 법칙''' || [[파일:냥코 대전쟁_스피드 업.png|width=24]]스피드 업 || 200 || 불가능 || || [[사건의 지평선|제로의 지평선]] || [[파일:냥코 대전쟁_야옹컴.png|width=24]]야옹컴 || 210 || 불가능 || || 저녁노을의 [[하드론]]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도령.png|width=24]]고양이 도령 || 200 || 불가능 || || '''[[상대성 이론|냥대성 이론]]''' || [[파일:냥코 대전쟁_스피드 업.png|width=24]]스피드 업 || 200 || 불가능 || || [[양성자|양자]], [[중성자]] 그리고 숙자 || [[파일:냥코 대전쟁_스냥이퍼.png|width=24]]스냥이퍼 || 190 || 가능 || || '''[[중성미자|뉴트리노]] 설원'''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박사.png|width=24]]고양이 박사 || 260 || 불가능 ||}}} 2023년 3월 13일 12.2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전 장인 제로 필드와 비슷하지만 양자, 중성자 그리고 숙자나 뉴트리노 설원 등 난이도가 상당히 오르는 스테이지가 있으니 주의. 스테이지 이름은 전반적으로 양자역학 등과 관련이 있다. 스테이지 이름에서도 암시를 하듯이 지금까지 보여준 정규 스테이지들 중에서도 굉장히 이질적인 특성을 지니고 나온다. 고유 BGM[* 세계편 한국부터 재생되는 기존 냥코 브금을 아방가르드하게 리믹스하였다.]과 배경에 흩날리는 검은 불꽃은 물론, 적 구상도 기존 레전드 스토리에서는 나오지 않던 메인 스테이지의 주요 보스들[* 반역의 발키리를 시작으로 그 이후 장의 보스들], 사이클론, '''강림 보스'''가 등장한다. 전체적인 적군의 배율은 신 레전드 후반부와 비슷하다. 레전드 스테이지에 첫 등장한 신과 반야아왕은 1.5배율, 화이트 사이클론은 풍운 냥코탑과 동일한 2배율이 적용되어 있다. * '''뒤틀린 우주의 법칙'''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16.png|width=32]][br]{{{-3 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54.png|width=32]][br]{{{-3 6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56.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17.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86.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7.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58.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69.png|width=32&bgcolor=#555]][br]{{{-3 1.5배율[br]}}}}}} || 우주편 1장 빅뱅의 강화판. 시작하면 5배율 천사 가브리엘이 등장하고, 좀있으면[* 시작하고 14.27초 후 (=428f)] 1.5배율 '''신'''[* 체력 2,099,998 공격력 80,995(26,998,26,998,26,998) ]이 나온다! 이후로도 3배율 천사 곤잘레스, 6배율 '''{{{#darkblue,#lightblue 데빌 멍뭉이}}}''', '''{{{#darkblue,#lightblue 3배율 고릴아쿠마}}}''', '''{{{#orange,#yellow 2배율 대천사 꼬마넬}}}''', 3배율 미스터 엔젤, 3배율 '''{{{#darkblue,#lightblue 미스터 데빌}}}'''이 보조한다. 구성만 보면 엘리트 에이리뭉이 천사 가브리엘과 악뭉이로, 고릴 장군이 곤잘레스와 고릴아쿠마로 바뀌었으며, 스타 펭과 거장, 하하빠옹이 빠진 대신 미스터 엔젤류와 꼬마넬이 추가되었다. 보조 적들을 상대하는 동안 간혹 발동하는 신의 분노로 아군들을 쓸어버리는 스테이지. 이 때문에 대형 캐릭터보단 금방금방 충원되는 캉캉, 반인어 등 양산 캐릭터들이 좀 더 유효하다. 뜬 적 맷집급 캐릭터가 있다면 버텨주겠지만 잡몹들에게 맞아 죽는다. 헬옹마도 있다면 활용해보자. * '''제로의 지평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4.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5.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8.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77.png|width=32]][br]{{{-3 16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29.png|width=32]][br]{{{-3 3.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60.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43.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 '''곰선생 특집''' 초반에 2배율 '''{{{#darkgray,#lightgray 야생의 멍뭉이}}}'''와 40배율 곰 선생, 12배율 살뭉이가 보조한다. 성을 치면 '''폭시'''와 16배율 쿠만츄, 3.5배율 프랑켄슈타인 베어, 그리고 야뭉이 몇 마리가 나오고, 나중에는 '''{{{#darkblue,#lightblue 2배율 악마 각하}}}'''도 나온다. 곰 선생도 더 나온다. 전형적인 라인전같지만 뒤쪽에서 광역 공격에 열파를 걸어대는 폭시가 위협적이다. 버로우타는 프랑켄슈타인 베어도 있다. 폭시의 열파를 버티면서도 곰선생류를 잘 때려박는 캐릭터가 필요할 것이다. 또는 라인을 적 성에 잡고 원거리 공격으로 폭시를 먼저 쓰러트릴 수도 있다. * '''저녁노을의 하드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70.png|width=32]][br]{{{-3 2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94.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74.png|width=32]][br]{{{-3 2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29.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6.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79.png|width=32]][br]{{{-3 8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11.png|width=32&bgcolor=#555]][br]{{{-3 4배율[br]}}}}}} || 초반에 '''{{{#purple,#magenta 2배율 초폭수 아리앤트}}}'''가 나오고 아거 2종류, 24배율 빅글래숭이와 4배율 알파카가 보스로 등장. 성을 치기 전에 등장하니 돈 모을 시간은 없다. 이후로도 아리앤트와 빅글래숭이와 아거 무리가 간간히 등장하고 불칸 보어도 나중에 하나 더 나온다. 간간히 끼는 좀비 제비도 덤. 알파카는 디테나 사키가 특효고, 아리엔트는 촌장이나 네코쿠마로 처치. 고방은 위성과 무도가는 필수로한다. 에일과 좀비에 모두 강한 캐릭터가 있다면 꼭 챙겨주자. 좀비 제비도 조심하고. * '''냥대성 이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4.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09.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4.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6.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71.png|width=32&bgcolor=#555]][br]{{{-3 2배율[br]}}}}}} || 초반에 '''{{{#darkgreen,#lightgreen 1.5배율 고대 멍뭉이}}}''', '''{{{#darkgreen,#lightgreen 1.5배율 잉글릭스}}}''', '''{{{#darkgreen,#lightgreen 토용뭉이}}}'''가 나오고, 성을 치면 '''화이트 사이클론'''이 보스로 등장하며, '''{{{#darkgreen,#lightgreen 난나나난이장}}}''', 고대종들이 보조한다. 충격적이게도 대형 사이클론 적이 최초로 레전드 계열에 등장했다. 그것도 11성 스테이지에 등장한 탓인지 무려 '''2배율'''을 먹고 나왔다. 풍운 냥코납 21층이나 레드 사이클론 각성 스테이지에 등장하는 2배율 레드 사이클론 공격력과 비슷한 공격력이다. 문어단지도 못 버티고 죽어버리는 공격력이니 가능하면 고방위주로 가자. 하지만 역시 가장 조심해야 하는 적은 단연 고대종. 귀중한 떠적 메즈들에 저주를 걸어버리기 때문에 상당히 골치아프다. 특히 전방위로 저주를 걸어버리는 난나나난이장이 그렇다. 게다가 화이트 사이클론보다 라인푸시가 대단한 잉글릭스[* 화이트 사이클론은 공속과 공격력, 공격방식 모두 잉글릭스를 압도하나, 이속이 훨씬 느려서 메즈만 있으면 발이 묶이기 십상이다.], 소파동으로 광역 메즈를 걸 가능성이 있는 토용뭉이도 골치. 화싸를 벽삼아 고대종에 메즈를 걸어줄 수 있는 비그라, 화싸의 발을 묶어줄 법사/라만사 등 떠적 메즈들을 챙기자. 반드시 한 번 살아남으며 양산력도 좋고 화력도 좀 되는 카메라맨은 반쯤 필수. 토용뭉이의 소파동이 걸리적거린다면 중거리 파삭을 챙기거나 좀 빨리 처치할 자신 있으면 안챙겨도 무방하긴 하다. 초고대수 나라 혹은 에이프 고양이 루자가 뒤쪽의 이장님을 잘 때려준다. 미타마를 활용할 경우 이장님을 빠르게 카운터하는 게 중요. 일단 화싸는 헬옹보다 사거리가 짧으므로, 헬옹이 때릴 수는 있다. 물론 맞으면 한 방이니 조심해서 쓰자. 토용뭉이 상대로도 제격이다. 이장의 이동속도가 사이클론보다 빠르니 이것을 이용해 초반에 돈을 풀로 모으고 성을 쳐서 이장을 성 앞으로 끌고와서 루자를 비롯한 유닛들을 뽑아 화력을 총동원해 빠르게 잡고 사이클론만 상대하는 것도 방법이다. * '''양자, 중성자 그리고 숙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4.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9.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49.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5.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8.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 청수석 사막 III의 강화판. 메탈 멍뭉이와 잊어도 되는 놈놈놈, '''{{{#darkgray,#lightgray 야생의 멍뭉이}}}''', 메탈 하마양이 나오다 시간이 좀 지나면 '''{{{#blue,#cyan 초갑수 시저렉스}}}'''가 나온다. 메뭉이와 야뭉이, 메탈 하마양은 꾸준히 보조한다. 청수석 사막과 달리 성을 치기 전에 나온다는 차이점이 있다. 다만 좀 늦게 나오다보니 잘하면 성뿌가 가능하다. 하지만 메탈이니 상당한 운이 필요하다. 정공법은 잡몹을 벽삼아 디테같은 원범이 유효. * '''뉴트리노 설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0.png|width=32]][br]{{{-3 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9.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20.png|width=32]][br]{{{-3 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7.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40.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69.png|width=32&bgcolor=#555]][br]{{{-3 1.5배율[br]}}}}}} || 위의 사이클론이 등장하는 스테이지보다도 더더욱 충격적인 스테이지. 여기는 무려 '''강림 보스'''가 나온다! 나락문보다 한참 어려운 지옥문의 초강화판 스테이지로, 반야아왕의 다른 강화 보스인 사탄가면 8호가 등장하는 라쇼몽보다도 어렵다.[* 라쇼몽이 최근 갓파와 사령요정 급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있긴 해도 그 정도면 11단계 하위권 신세다.] 초반부터 5배율 빨간 털의 낼름이와 1.5배율 '''반야아왕'''[* 체력 1,500,000 공격력 54,000 ], ''' 2배율 미니 화이트 사이클론'''이 등장한다. 이후 '''{{{#red,#coral 2배율 파워 엘리트래빗}}}''', '''4배율 꼬맹이 멍뭉이'''가 보조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신규 적인 미니 화이트 사이클론은 미니 사이클론 시리즈 중 3번째로 등장한 적이며, 화이트 사이클론의 '''둘째 아들'''이라는 설정이 있다. 첫 등장부터 2배율을 먹고 등장해 체력은 888,888, 공격력 40,000에 단일 공격이다. 사거리는 여타 사이클론이 그렇듯 짧고 공격속도도 빠른 편. 다만 다른 사이클론보다 공격속도가 조금은 느리게 보인다. 반아야왕이 앞에서 버티는동안 미니화싸 총 3마리가 라인을 미는구조의 스테이지이다. 반아야왕이 1.5배율이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연어알로 틀어막으면서 공따걸고 헬옹 등으로 패면 맛집이지만 문제는 연어알을 빨리 죽여버릴 가능성이 있는 미니화싸를 조심해야 한다. 게다가 잡몹도 꾸준히 등장하기 때문에 빨리 길을 열어야 때릴 가능성이 보인다. 특히 파워 엘리트래빗은 밀치기가 존재하므로, 잘 때리고 있는 연어알을 밀쳐서 잡몹이 파고들게 하고, 이러면 연어알이 공따를 못 걸어서 반야아왕에게 몰살 당하게 된다. 사실상 이 스테이지의 복병. 거기에 확률공무가 존재하는 꼬뭉이 때문에 운빨요소도 있다. 미니화싸 카운터로 세이버--있으면-- 혹은 반인어를 챙기고, 빨적 잡몹을 걷어줄 배달(오다가 반야아왕에게 맞을 수 있다), 맷집+공따요원 연어알은 거진 필수고 헬옹마, 파이파이가 있다면 반드시 챙기자. 대광섬은 여기서 쓸모가 없다. 반야아왕의 공따에 당해 딜은 딜대로 들어가지 않으며, 50레벨을 찍었어도 공따 없이 반야아왕에게 2대 맞으면 죽는다. 초생명체 토끼의 밀치기가 터지면 계속 밀려나기만 하며, 미니화싸는 대광섬이 어떻게 해볼 방법이 없으므로 가져가지 말자. 천마성룡 바벨 전용 스테이지. 떠적과 빨적 초맷집을 지니기 때문에 버티기용으로 이만한 캐릭터가 잘 없다. 3단진화로 체력이 1.2배가 되므로 체력이 340만대라 전보다 좀 더 버텨준다. 밀치기 무효도 있어서 파워 엘리트래빗의 밀치기에도 자유롭다. 공따무효와 공따는 없어도 뻐팅기기용도론 합격품. 물론 딜은 공따 걸려서 토막나므로 기대하지 말자. [[https://youtu.be/j7VaL0hXhJQ|기캐노템 2덱이 가능하다]] === [[참참참]] 분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hite '''참참참 분지'''}}} || || '''스테이지''' || '''드랍 아이템''' || '''통솔력''' || '''성뿌''' || || [[닭싸움]] 고원 || [[파일:냥코 대전쟁_야옹컴.png|width=24]]스피드 업 || 200 || 가능[* 1분안에 성뿌 가능] || || '''[[얼음땡]] 산책로''' || [[파일:냥코 대전쟁_스피드 업.png|width=24]]야옹컴 || 200 || 불가능 || || '''[[묵찌빠]] 호숫가'''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박사.png|width=24]]고양이 도령 || 200 || 불가능 || || [[말뚝박기]] 시냇물 || [[파일:냥코 대전쟁_야옹컴.png|width=24]]스피드 업 || 210 || 불가능 || || [[쎄쎄쎄]] 봉우리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도령.png|width=24]]스냥이퍼 || 190 || 가능 || || '''코끼리코 수림''' || [[파일:냥코 대전쟁_스냥이퍼.png|width=24]]고양이 박사 || 260 || 불가능 ||}}} 4월 13일 12.3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레제로 2장을 통해 보여줬던 메인 스테이지 보스, 강림 보스가 나오는 흐름과 동일하게 반역의 발키리와 죽은 뚱땡이가 레제로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스테이지 명이 또 일판과 상이하다. 모든 스테이지 명에 한국식 전통놀이 이름이 들어가 있다. 타조-닭싸움, 빠옹-코끼리코처럼 등장 적과 놀이 이름을 맞춘 것과 합쳐져 센스 있는 번역이란 평을 받는다. 전 장보다 전체적인 난이도가 높아진다. 얼음땡 산책로, 묵찌빠 호숫가, 코끼리코 수림은 난이도가 상당히 높으니 주의. * '''닭싸움 고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99.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8.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62.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26.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34.png|width=32]][br]{{{-3 3배율[br]}}}}}} || 2종의 타조가 라인을 망가뜨리는 스테이지. 초반에 2배율 메탈 아거가 등장하며 좀있으면 12배율 살뭉이와 25배율 엘뭉이가 등장. 엘뭉이는 무제한이다. 스테이지 시작 후 1분이 지나면 '''{{{#darkgreen,#lightgreen 올드 타조}}}'''가 보스로 등장하며 동시에 3배율 타조동호회도 등장한다. 올드 타조를 대항하기 위해 루자를, 타조동호회 대항으로 흰 적 대항을 챙기자. 돈이 안 모이므로 캉캉으로 미리 돈을 수급해놓는 게 중요. 성뿌 방법이 발견 되었다. [[https://youtu.be/dWGu6W0EyBM|영상]][* 광라이온과 50레벨 각무로만 편성된 덱을 이용해서 약 40초 걸렸다. 냥콤보를 끼면 더 빨리 성뿌할 수 있다.] 1분 안에 성을 부숴야 한다. 덕분에 성 재료 Z를 수급하기 가장 쉽고 편한 스테이지로 평가받는다. * '''얼음땡 산책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4.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16.png|width=32]][br]{{{-3 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09.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5.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48.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5.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19.png|width=32&bgcolor=#555]][br]{{{-3 1.5배율[br]}}}}}} || 죽은 뚱땡이 강림의 강화판. '''1.5배율 죽은 뚱땡이'''가 시작 10초 뒤에 등장하며, 이후 '''{{{#darkgreen,#lightgreen 잉글릭스}}}''', 놈 1이 보조하며 5배율 천뭉이와 2배율 제비족, '''{{{#darkgray,#lightgray 2배율 야생의 멍뭉이}}}'''가 여러 마리 연속적으로 등장하는 구간이 있다. 특히 천뭉이와 야뭉이는 거의 동시에 등장한다고 봐도 좋을 정도. 쫄몹들을 빠르게 견제하는 것이 중요. 카메라맨이나 석공 냥돌이 등 최고급 양산캐를 챙기고, 죽뚱을 때릴 캐릭터도 데려가는 게 좋다. * '''묵찌빠 호숫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6.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24.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8.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51.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9.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94.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1.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08.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 초반에 잊어도 좋을 40배율 토끼, 돈줄인 40배율 나나나난나방, 40배율 고릴라저씨가 등장하다 좀있으면 '''{{{#black,#white 1.5배율 분노의 블랙 고릴라저씨}}}'''와 '''{{{#red,#coral 2배율 파워 엘리트래빗}}}'''도 등장. 성을 치면 '''{{{#darkgreen,#lightgreen 신 레전드 맴매}}}'''와 '''{{{#darkgreen,#lightgreen 고대 병기 개복치}}}''', '''2배율 레드 에나G'''가 등장한다. 하이에나는 2마리까지 등장. 어중간한 스펙은 순식간에 라인 밀리기 딱 좋다. 때문에 고방을 좀 챙기고, 빨적대항과 고대종 대항을 챙기자. 가면신 드론이 맴매를 멈춰줘서 좋으며, 루자는 고대종 초뎀과 열무가 있어서 역시 좋다. 레드에나지 저격용으론 쇼콜라나 에바 2호기가 좋은 편. 헬옹마와 흑슬리가 있다면 루자/나라와 함께 사용하면 정지 없이 고맴을 패버릴 수 있다. * '''말뚝박기 시냇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70.png|width=32]][br]{{{-3 2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72.png|width=32]][br]{{{-3 2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54.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80.png|width=32]][br]{{{-3 2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54.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38.png|width=32]][br]{{{-3 6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60.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74.png|width=32]][br]{{{-3 2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22.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83.png|width=32&bgcolor=#555]][br]{{{-3 3배율[br]}}}}}} || 미래편 2장 달의 강화판. 여기서는 '''3배율 반역의 발키리'''가 보스로 나오게 된다. 초반에는 24배율 아거리언, 스타레오파트와 3배율 쉐도우 복서가 등장하며, 24배율 엘리자베스 56세와 쉐도우 복서 4마리는 성을 치기 전에 나오지만 상당히 뒤에 나온다. 성 체력이 99%가 되면 '''{{{#darkblue,#lightblue 2.5배율 데빌 멍뭉이}}}'''와 '''{{{#darkblue,#lightblue 6배율 데빌 귀부인}}}'''이 추가로 보조하고 데빌 귀부인과 24배율 아거리언은 무제한이 된다. 이후 성 체력을 70% 이하까지 깎으면 반역의 발키리와 '''{{{#darkblue,#lightblue 2배율 악마 각하}}}''', 24배율 빅글래숭이, '''{{{#darkgreen,#lightgreen 1.5배율 선글래숭이}}}''', 6배율 데빌 멍뭉이가 추가로 보조한다. 에이리언과 악마에 엄청 강한 아키라가 좋지만 선글래숭이에 유의하면서 쓰자. 반역의 발키리가 묘하게 라인푸시가 느려서 보스 단독이라면 몰라도 보조하는 악마 각하와 쉐도우 복서 등 잡몹들이 특히 무섭다. 데빌 귀부인의 순교 데미지도 48000으로 상당해서 어중간한 캐릭터들은 다 죽어나간다. * '''쎄쎄쎄 봉우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00.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4.png|width=32&bgcolor=#555]][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40.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3.png|width=32]][br]{{{-3 5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20.png|width=32]][br]{{{-3 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9.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35.png|width=32]][br]{{{-3 10배율[br]}}}}}} || 서서히 많아지는 적들의 숫자로 압박하는 스테이지. 처음 시작 시 곧바로 '''터키''' 한 마리가 등장하며 좀있으면 '''2배율 미니 화이트 사이클론'''이 나오며 50배율 투뿔소와 5배율 빨간 털의 낼름이도 등장. 40배율 매에매에는 잊어도 좋다. 좀 더있으면 '''10배율 두드리'''도 등장. 상기한 적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나오게 된다. 특히 터키는 나올 때마다 3마리가 한꺼번에 나오게 된다. 사거리 긴 뜬적 대항과 빨적대항을 챙겨주고, 고방을 좀 챙기자. 독때문에 흑슬리를 챙기면 좋지만 있을 때 얘기. 미타마가 있다면 두드리 빼고 대부분의 적들을 느리게 해 주어 라인유지에 도움이 된다. 터키의 독은 주의. 라미엘이 있다면 몰려오는 터키와 미니화싸를 몰살시킬 수도 있다. 투뿔소는 딸배 등 빨적 대항으로 녹여서 돈을 수급하자. * '''코끼리코 수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4.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9.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86.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7.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38.png|width=32]][br]{{{-3 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36.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43.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 여기서는 새로운 초수 적이자 빠옹의 강화판인 '''{{{#darkgray,#lightgray 초상수 빠빠옹}}}'''이 보스로 등장한다. 스펙은 체력 200만에 공격력 13000, 사거리는 420에 공속이 빠옹답지 않게 빠르다.[* 대천사 엘리펀트를 생각하면 된다.] 거기에 히트백 1에 이속은 2로 느리나 날려버린다/느리게/정지/공따/열파/파동을 무효로 하므로 도저히 밀어낼 방법이 없다. 사실상 서서히 다가오는 체력 200만짜리 벽이 당신을 짓눌러 죽인다고 생각하면 된다.[* 스냥이퍼는 그나마 먹히므로 라인 유지용으로 가져가면 쓸만하다.] 성을 치기 전에는 40배율 놈놈놈이 10마리씩 연속적으로 등장하는 구간이 여럿 있으며, '''{{{#red,#coral 2배율 파워 엘리트래빗}}}'''. '''{{{#darkblue,#lightblue 2배율 미스터 데빌}}}''', 잊어도 좋은 40배율 다람쥐, 그리고 '''{{{#darkblue,#lightblue 5배율 데빌 귀부인}}}'''이 한 마리 나온다. 성을 치면 초상수 빠빠옹과 '''{{{#darkblue,#lightblue 초설수 랑그마스터}}}'''가 추가 등장하며 잡몹들도 더욱 리젠된다. 특히 데빌 귀부인이 7마리까지 추가로 리젠되니 열파에 신경쓰자. 2배율 파워 엘리트래빗은 간단히 배달로 털 수 있으며 데빌 귀부인도 운 좋게 캉캉이 때리면 한 방에 죽어 돈 수급에 유리하나, 랑그마스터의 쉴드와 라인푸시가 매섭다. 전형적인 라인전 스테이지의 강화판으로, 랑그마스터의 쉴드를 안정적으로 부숴줄 사토루나 헤비저크 등이 있으면 챙겨주고, 빠빠옹 대항을 위해 사거리 긴 흰적 대항을 챙기자.[* 다만 초데미지나 엄강 등이 아니면 크게 효용볼 일이 없다보니 흑블아 같은 케이스가 아니라면 다른 흰적대항은 그냥 올라운더 1일 뿐이다.] 흑수 가오우가 있다면 흰 적 초뎀이라 여기서 좋을 수 있다. 흑타냥은 랑그마스터에게 맞고 나가떨어지므로 불안정한 면은 있다. 흑타냥을 쓸 거라면 성을 치고 빠빠옹이 나온 후 랑그마스터가 나올 때까지 약간의 시간차가 있는데 그 때 흑타냥으로 최대한 많이 딜을 누적시키자. 빠빠옹의 공격력은 타 빠옹아종에 비해 약한 편이라 랑그마스터 죽고 난 이후라면 헬옹마로 때려볼 여지도 있다. 초수특효인 토용을 챙기면 빠옹 한정으로는 라길에 준하는 효율을 보여주기도 한다. 도그마루 3진도 흰맷집에 초수특효가 있어서 빠옹에 한해서는 흑수 이상으로 특효약. 천공신 제우스 역시 초본능을 주면 초수 특효가 생겨 빠옹과 랑그마스터 한정으로는 히트백만 조심하면 흑수를 능가하는 효율을 보여준다. === [[정글의 법칙|냥글의 법칙]]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hite '''냥글의 법칙'''}}} || || '''스테이지''' || '''드랍 아이템''' || '''통솔력''' || '''성뿌''' || || '''원주민 아르바이트''' || [[파일:냥코 대전쟁_스피드 업.png|width=24]]스피드 업 || 300 || ? || || 노숙 홈스테이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박사.png|width=24]]고양이 박사 || 310 || ? || || 전통 인공지능 낚시 || [[파일:냥코 대전쟁_야옹컴.png|width=24]]야옹컴 || 300 || ? || || '''산제물 체험'''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도령.png|width=24]]고양이 도령 || 350 || ? ||}}} 12.4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모든 스테이지에서 우루룬이 등장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여기의 스테이지들은 모두 '''300을 넘는 통솔력'''을 요구하며, 모든 레전드 시리즈를 통틀어 최초로 스테이지가 4개인 장이다. 이번에도 스테이지 명이 일판과 상이하다. * '''원주민 아르바이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2.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3.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4.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51.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7.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5.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2.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34.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09.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7.png|width=32&bgcolor=#555]][br]{{{-3 3배율[br]}}}}}} || 처음은 대지를 흔들다와 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조금 시간이 지나면 하마, 팽귄, 캥거루가 먼저 등장하고, 곧이어 우루룬,[* 전 스테이지 공통으로 공격력을 5배율을 먹었다. 최초로 공격력 배율이 체력 배율보다 높게 설정된 적군. 따라서 체력은 210만, 공격력은 44060으로 우르스를 능가한다.] '''성천 두드리엘'''과 고대 멍뭉이가 나온다. 천사버전 두드리인 성천 두드리엘은 2.5배율을 먹어 체력 100만, 공격력 11242다. '''최초로 열파를 반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우루룬을 제외한 몹은 전부 무한으로 리젠되고 타조동호회도 중간에 등장한다. 무속성 대항과 천사 대항을 꼭 챙겨가자. 성천 두드리엘이 열파 반사를 가지고 있어 흑슬리를 사용하기 어려울 것 같지만, 레전드 제로까지 온 시점에서 총합 3만의 피해량은 딜탱캐들한테는 조금 따끔한 정도밖에 안 되는지라 '''거북레온'''이나 제우스 등의 캐릭터를 들고 가면 그냥 열파고 자시고 맞아가면서 두드리엘을 천국으로 반송시켜줄 수 있다.밀치기가 봉인되므로 당연히 헬옹마를 쓸 수 있는 것은 덤. * '''노숙 홈스테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62.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8.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63.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26.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53.png|width=32]][br]{{{-3 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20.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45.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7.png|width=32&bgcolor=#555]][br]{{{-3 3배율[br]}}}}}} || 시작하자마자 엘리트 에이리뭉과 살의의 멍뭉이가 나온다. 그 뒤로 스타 펭이 나오고 블랙 고릴라저씨와 블랙 두드리가 나온다. 엘리트 에이리뭉, 살의의 멍뭉이, 스타 펭은 그 뒤에도 계속 무한리젠 된다. 성을 치면 이제까지 만난 적들과 우루룬이 나온다. 그리고 시간이 더 지나면 개구링과 미니 스페이스 사이클론이 나온다. 에이리언 컨셉 스테이지. * '''전통 인공지능 낚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5.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7.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16.png|width=32]][br]{{{-3 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17.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51.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20.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81.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7.png|width=32&bgcolor=#555]][br]{{{-3 3배율[br]}}}}}} || 이번에는 천사 컨셉 스테이지이다. 먼저 다람쥐, 천사 가브리엘과 천사 곤잘레스와 아거가 나오는데, 이들은 끝까지 무한리젠된다. 성을 치면 성천 두드리엘과 천사 곤잘레스, 우루룬이 나온다. 그 뒤로 '''돌고래양'''과 '''천사 부타'''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온다. 둘 다 성가신 몹이니 주의. 그 둘만 잡고 나면 나머지는 별 거 없다. 기타 사항으로 성천 두드리엘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때문에 공백기를 노려 흑슬리 사용이 가능하다. * '''산제물 체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7.png|width=32&bgcolor=#555]][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4.png|width=32]][br]{{{-3 1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09.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82.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4.png|width=32]][br]{{{-3 1.5배율[br]}}}}}} || 시작하고 몇 초가 지나면 된장 푸들과 우루룬, 그 다음으로 고대 멍뭉이와 잉글릭스가 나온다. 된장 푸들과 고대 멍뭉이와 잉글릭스는 무한으로 리젠되고, '''수수께끼의 가면 우라라'''가 나온다. 우라라가 라인을 밀고 들어오니 주의. 최대한 사거리 캐릭터를 들고 오자. 이 맵에서는 흰적대항 아니랄까봐 흑수는 당연히 좋고 만약 천둥포 레벨이 아주 높으면 공격력 Up 본능작을 한 헬옹마도 쓸수 있다.= 가네샤랑 흑타냥도 쓸수 있지만 잡몹을 껴서 우라라를 직격해야한다 왜냐면 우라라의 사거리가 가네샤와 흑타냥의 인식거리보다 길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이 스테이지에서는 세계편 달의 테마를 리믹스한 새로운 BGM이 나온다. 전체적으로 기존 달보다 더욱 웅장한 느낌이 강해져 호평을 받고 있다. === GAGA GAGA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 {{{#white '''신세계 개미'''}}} || || '''스테이지''' || '''드랍 아이템''' || '''통솔력''' || '''성뿌''' || || 가? || [[파일:냥코 대전쟁_야옹컴.png|width=24]]스피드 업 || 150 || ? || || 가가? || [[파일:냥코 대전쟁_스피드 업.png|width=24]]야옹컴 || 160 || ? || || 가가가?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박사.png|width=24]]고양이 도령 || 150 || ? || || 차우차우차 운하 || [[파일:냥코 대전쟁_야옹컴.png|width=24]]스피드 업 || 160 || ? || || 어떻게 된 해자 || [[파일:냥코 대전쟁_고양이 도령.png|width=24]]스냥이퍼 || 150 || ? || || 대롱대롱 로드 || [[파일:냥코 대전쟁_스냥이퍼.png|width=24]]고양이 박사 || 160 || ? || || 드문드문 도심 || [[파일:냥코 대전쟁_스피드 업.png|width=24]]스피드 업 || 150 || ? || || 시랑개동 || [[파일:냥코 대전쟁_야옹컴.png|width=24]]야옹컴 || 200 || ? ||}}} 12.5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레제로 중 처음으로 스테이지가 8개인 장이다. * '''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4.png|width=32]][br]{{{-3 1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86.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38.png|width=32]][br]{{{-3 6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58.png|width=32]][br]{{{-3 3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87.png|width=32&bgcolor=#555]][br]{{{-3 2배율[br]}}}}}} || 초반에 푸들 3총사가 등장하고 좀있으면 2배율 교수님이 등장. 이어서 '''{{{#darkblue,#lightblue 3배율 고릴아쿠마}}}'''도 지원하기 시작한다.교수님을 저격할 원거리캐가 중요. 고방은 마타도르가 가장 제격이다. 된장 푸들과 푸들 귀부인한테서만 지켜주면 된다. * '''가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3.png|width=32]][br]{{{-3 5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9.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2.png|width=32&bgcolor=#555]][br]{{{-3 6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5.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377.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79.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 초반에는 12배율 배움군과 50배율 투뿔소가 나온다. 투뿔소는 돈을 많이 준다. 성을 치면 갑자기 6배율 사순록 3마리가 한꺼번에 튀어나오니 긴장하자. 다 죽이고 거기서 또 성을 치다보면 '''{{{#darkgreen,#lightgreen 고대 보어}}}'''가 3마리가 한꺼번에 나오고, 거기서 성 체력을 더 깎으면 '''{{{#darkgreen,#lightgreen 복어 양}}}''' 2마리와 12배율 대몽이가 등장한다. 성을 칠 때마다 메타가 바뀐다. 사순록은 높은 히트백으로 성 공격을 유도하기에 성 앞으로 끌어온다음 흰 적 대항으로 처치하고, 고대 보어는 메즈로 막으면서 처치, 복어 양과 대몽이는 사거리 긴 파무캐가 유력. 대몽이의 배리어를 부수기 위해 캐논포를 챙겨오는 것도 중요. 여담으로 이 스테이지의 적들은 전부 일칭에 くん이 붙는 적들이다. * '''가가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8.png|width=32]][br]{{{-3 1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19.png|width=32]][br]{{{-3 7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58.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15.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14.png|width=32&bgcolor=#555]][br]{{{-3 1.5배율[br]}}}}}} || 초반에 7배율 벽뭉이와 12배율 살뭉이, 2.5배율 블랙 해마가 등장하며, 성을 치면 '''1.5배율 엔젤 사이클론'''과 '''천사 도베르'''가 등장한다. 시간이 지나면 블랙 해마가 한 마리 더 나온다. 천사대항이 중요하다. 엔젤 사이클론은 냥돌이와 메즈만 있어도 알아서 죽어버리지만 도베르는 열파로 다 쓸어담기 때문에 사거리 긴 천사대항이 좋다. 블랙 해마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이 점을 주의. * '''차우차우차 운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5.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54.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2.png|width=32&bgcolor=#555]][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42.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09.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6.png|width=32]][br]{{{-3 40배율[br]}}}}}} || 여기서는 신규 초수 적, '''{{{#purple,#magenta 초어수 앵거블}}}'''이 등장한다. 초어수 앵거블은 초롱아귀의 떠있는 적이자 좀비 변형 초수 버전으로, 스펙은 체력 42만, 공격력 13000, 사거리 280, 히트백은 3, 이속 10, 공속은 0.83초 정도로 빠르고 1.67초간 확정 느리게와 75%확률로 280~980 사이에 소열파를 발사, 좀킬로 죽이지 않으면 6초 뒤 1회 부활한다. 초롱아귀의 아종이지만 원거리형인 원종과 달리 근거리 공격수이다. 다만 이러한 점을 소열파로 커버하기 때문에 순수 근거리적은 아니다. 여기서는 1.5배율로 강화되어 등장한다. 초반에는 아거만 나오다 좀있으면 초어수 앵거블이 나온다. 좀 더 기다리면 '''{{{#darkblue,#lightblue 2배율 초극수 느르가보르가}}}'''와 '''{{{#blue,#cyan 1.5배율 초돈수 피기}}}'''도 나온다. 앵거블은 총 3 마리 리젠된다. 2배율 제비족도 보조하니 주의. 초수 적들이 주적이므로 초수 특효가 좋다. 예를 들면 딸배나 촌장 등. 일단 두 번 죽이더라도 앵거블 대항으로 반인어를 챙겨도 좋다. 앵간한 좀비대항은 고룡같은 케이스가 아니면 대개 이속이 느린 편이다. * '''어떻게 된 해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7.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53.png|width=32]][br]{{{-3 4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51.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4.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49.png|width=32]][br]{{{-3 1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12.png|width=32&bgcolor=#555]][br]{{{-3 3배율[br]}}}}}} || 초반에는 다람쥐와 4배율 블랙 고릴라저씨가 등장한다. 성을 치면 할배 늘보보와 '''Mr.머'''가 동시에 등장하며, '''{{{#darkgreen,#lightgreen 1.5배율 잉글릭스}}}'''와 '''{{{#black,#white 1.5배율 분노의 블랙 고릴라저씨}}}'''도 보조한다. Mr.머는 나중에 한 마리 더 나온다. Mr.머의 소파동을 막기 위해 파삭캐가 있으면 좋다. 가장 좋은 캐릭터는 에일맷집이 존재하는 야미슈발츠. 흑타냥이나 히트맨이 있다면 이걸로 머를 저격하면 된다. 잉글릭스와 고릴라저씨 러쉬가 무서운 스테이지로, 이들을 잘 막지 못하면 할보보가 전진을 하게 되어 성이 터진다. 할보보는 아프로디테같은 캐릭터로 저격하면 좋다. 포노가 있다면 머를 제외하면 다 카운터 대상이므로 좋다. * '''대롱대롱 로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526.png|width=32]][br]{{{-3 86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2.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7.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74.png|width=32]][br]{{{-3 1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63.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 || 시작하면 '''860배율로 강화된 열파 신호기'''가 떡 하니 세워져 있고, 잊어도 되는 40배율 멍뭉이와 '''{{{#gold,#yellow 2배율 대천사 꼬마넬}}}''', 그리고 15배율 꼬마 맴매가 나온다. 킬카운트를 채우면 엔젤 보어도 등장. 스테이지 길이가 짧으므로 유닛 뽑는 순간 열파 신호기가 작동된다. 라인유지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열파 신호기 특유의 랜덤성 때문에 운빨이 중요한 스테이지. * '''드문드문 도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6.png|width=32]][br]{{{-3 4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09.png|width=32]][br]{{{-3 2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26.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35.png|width=32]][br]{{{-3 10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51.png|width=32&]][br]{{{-3 2.5배율[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73.png|width=32&bgcolor=#555]][br]{{{-3 1.5배율[br]}}}}}} || 여왕벌 강림의 강화판. 난이도는 태고의 왕비 스테이지조차 한참 뛰어넘는다. 시작하면 '''1.5배율 여왕벌'''이 보스로 등장하고 토끼, '''{{{#red,#coral 2배율 파워 엘리트래빗}}}''', 10배율 두드리, '''2.5배율 성천 두드리엘''', 2.5배율 블랙 두드리가 보조 적으로 나온다. 여왕벌의 사각지대에 안착하면서 딸배, 반인어 등 속공 캐릭터를 넣어서 잡몹들을 제거하자. 두드리 대항으로 흑타냥이나 히트맨을, 성천 두드리엘 대항으로 버섯 등 천사대항이나 헬옹마를, 블두드리 대항으로 그리폰이나 중기캣을 챙겨가면 좋다. 여왕벌 스테이지가 으레 그렇듯 사각지대에 안착만 하면 쉽게 때려잡는다. 풍탑 45층에 비하면 크게 어렵지 않다. * '''사랑개동'''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4.png|width=32]][br]{{{-3 1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10.png|width=32]][br]{{{-3 5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125.png|width=32]][br]{{{-3 3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3.png|width=32]][br]{{{-3 12배율[br]1배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4.png|width=32&]][br]{{{-3 40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208.png|width=32&]][br]{{{-3 2배율[br][b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px; margin: 0px" [[파일:냥코 대전쟁_적_629.png|width=32&bgcolor=#555]][br]{{{-3 1배율[br][br]}}}}}} || 초반에는 '''{{{#darkgreen,#lightgreen 토용뭉이}}}'''와 12배율 핫도그, 3배율 구구, '''5배율 꼬맹이 멍뭉이'''가 등장한다. 핫도그가 2마리나 튀어나오는 점이 위협적. 성을 치면 '''{{{#darkgreen,#lightgreen 초고대수 오리야크}}}'''가 보스로 등장하고 2배율 배틀 코알락교가 추가로 보조해준다. 오리야크가 등장하므로 나라, 루자가 크게 활약한다. 다만 배틀코알락교의 파동이 무서우므로 파삭은 필수. 다행히 나라는 파동데미지를 무효로 한다. 파이파이나 2호기, 딸배, 원더마리아 등으로 배코를 털어먹을 수 있지만 오리야크의 열파를 주의하자. 아이스에게 저주무효 본능을 주면 일단 저주에서는 자유롭다. 하지만 열파에는 맞을 수 있으니 주의. 그래도 오리야크가 루자, 나라에게는 정말 잘 죽으므로 대개는 배코가 나중에 남는 편이다. [[분류:냥코 대전쟁/스테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