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네메시스 프라임, rd1=네메시스 프라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Decepticon_Mark.png|width=50]] }}} || ||<-2> [[파일:아마다 네메시스 프라임.jpg|width=100%]] || ||<-2> '''{{{#fff {{{+1 네메시스 프라임}}} [br]Nemesis Prime}}}''' || || '''{{{#fff 이름}}}'''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스커지(트랜스포머)|스커지]] / Scourge / スカージ || || '''{{{#fff 비클}}}''' ||트럭 || || '''{{{#fff 소속}}}''' ||[[디셉티콘|데스트론 / 디셉티콘]], [[유니크론|스포일러]]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폴 돕슨]][* [[사이드웨이즈]]도 맡았다. [[트랜스포머 에너존]]에서 로디머스, [[슈페리온 맥시머스]]를,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에서는 [[랜드마인(사이버트론)|랜드마인]], [[오버홀(사이버트론)|오버홀]], 시그널랜서를, [[비스트 머신즈]]에서는 [[탱코]], 옵시디언을 맡았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오오카와 토오루]][* [[옵티머스 프라임(아마다)|콘보이]]와의 중복 캐스팅.] || [목차] == 개요 == [[유니크론 트릴로지]]의 [[네메시스 프라임]]. == 행적 == === [[트랜스포머 아마다|아마다 / 마이크론 전설]] === || [youtube(g76mFA__oeU)] || [youtube(wPGh-rjFO6o)] || || {{{#fff '''일본판'''}}} || {{{#fff '''미국판'''}}} || 43화에 등장하는 트랜스포머. 웜홀에 빨려들어간 [[레드 얼럿(아마다)|레드 얼럿]]과 [[핫 샷(아마다)|핫 샷]]이 수수께끼 행성에 도착하고 갑자기 앞에 나타난 수수께끼 트랜스포머. 그 모습은 그야말로 검은색 옵티머스이며 지성이라곤 느껴지지 않는 흉포한 [[짐승]]같다.[* 심지어 로봇모드에서 달릴 때는 [[옵티머스 프라이멀]]처럼 팔을 써서 4족보행을 한다.] 옵티머스와 똑같이 깍지낀 손에서 빔을 발사하는 기술과 슈퍼 모드 컨테이너의 전방에서 빔 런처를 발사하는 기술을 쓰며 전투력도 높아 공격당한 레드 얼럿과 핫 샷에게 치명상을 입힌다. 그러다 [[메가트론(아마다)|메가트론]]이 등장해 레퀴엠 블래스터로 네메시스 프라임을 쏘고, [[쿠우라#s-4.2|산산조각이 나지만 흩어진 신체가 모여 완벽히 복원되었고]] 손에서 '다크 세이버'[* 일본판 명칭은 암흑의 검.]를 꺼내서는 거기 있던 디셉티콘들을 쓸어버렸다. 그 때 하늘에서 나타난 마이크론들의 일격으로 사라져 버리지만 바로 거대한 모습으로 나타났고 때마침 [[오버로드(아마다)|오버로드]]를 대동하고 도착한 옵티머스의 매트릭스 캐논과 메가트론의 레퀴엠 블래스터를 연속해서 맞고 쓰러진다. 소멸 직전에 [[사이드웨이즈]]의 [[홀로그램]]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행성은 붕괴된다. == 완구 == === 아마다 / 마이크론 전설 === * '''슈퍼-콘 클래스 네메시스 프라임 & 런-오버''' == 기타 == * 이 트랜스포머가 등장한 이후에 '사악한 [[옵티머스 프라임]]의 [[클론]]'의 이름이 [[네메시스 프라임]]으로 불리게 되었다. 일본판에서 등장했을 때는 [[블랙 콘보이]]라고 불렸으나 이후 완구가 [[스커지(트랜스포머)|스커지]]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고 이후 스커지로 고정되었다.[* 카로봇 블랙 콘보이의 미국 더빙명이 스커지인데, 아마다에서는 정반대로 네메시스 프라임이 일본판에서 스커지가 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트랜스포머 아마다, version=426, paragraph=2.3)] [[분류: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삼부작/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