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파일:external/www.drpetrov.com/nemesis1.jpg]] 상상도. [목차] == 개요 == 네메시스(Nemesis)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복수의 여신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태양]]에서 약 1.5광년 떨어진 궤도를 돌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던 [[적색 왜성]] 또는 [[갈색 왜성]]이다.[*참고문헌 Bromley,.B.C.et al.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지구 역사의 주기적인 대량 절멸을 설명하기 위해 가정되었으며, 실제로 발견된 것은 아니다. == 가설의 역사 == 1984년 [[시카고 대학교]]의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David Raup)와 잭 셉코스키(Jack Sepkoski)는 과거 2억 5000만년동안의 대량절멸이 주기성이 있으며 대량절멸 간의 평균적인 간격을 약 2600만년으로 이 지구상 생물의 주기적인 대량멸종에는 지구 외의 무엇인가가 원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후, 위트마이어(Whitmire), 잭슨(Jackson), 그리고 데이비스(Davis), 허트(Hut), 뮬러(Muller)가 독립적으로 라우프와 셉코스키의 대량절멸의 주기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을 네이처에 기고했는데 이 가설에 따르면 태양계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쌍성이 존재하며, 이 별이 주기적으로 [[오르트 구름]](Oort Clouds)을 지나가기 때문에 대량의 혜성이 발생하여 지구에 충돌한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 가장 바깥쪽에 먼지와 얼음이 둥근 띠 모양으로 결집된 거대한 집합소다. 네메시스가 공전을 하면서 태양에 접근해 [[오르트 구름]]을 지나갈 때, 오르트 구름을 교란시켜 주위 행성에 '혜성 소나기'를 내려 생물들의 멸종을 초래한다. 이 가설이 나중에 네메시스 가설(네메시스설)로 알려지게 되었다. 뮬러(Muller)는 마지막 대량절멸이 약 500만년전에 일어난 사실에 근거하여 네메시스가 현재 태양에서 약 1 ~ 1. 5광년 떨어져 있으며 바다뱀자리 방향에 보인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천체로 아직까지 존재가 확인된바도, 관측된 바도 없다. 일단 위에서 말한 오르트 구름조차도 실체가 불분명한 상태이다. 2010년 스페이스 닷컴에 따르면, 이 오르트 구름을 지나가는 항성에 '네메시스'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은 부정적이라며 대신 티케(Tyche)라고 부를 것을 제안했다. 티케(Tyche)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행운의 여신이며 복수의 여신 네메시스와 관련이 있다.[[http://www.space.com/8028-sun-nemesis-pelted-earth-comets-study-suggests.html|#]] 2011년 2월, 미국 [[루이지애나 대학교]]의 존 머티지와 다니엘 휘트머 교수는 최근 태양계에 떠도는 한 혜성의 경로 변화를 추적하던 중 태양계에 목성보다 4배 더 큰 가스 행성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 행성을 [[티케]]라고 명명했다. 이 행성은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매우 멀며 오르트 구름에 존재하고 있어서 관측이 어렵다고 한다.[[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215601016|#]] 다만 2014년 WISE 우주 망원경의 적외선 영역 관측 결과에 따르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81&aid=0002406541|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졌다.]] 또 2011년 [[NASA]]가 생명체 대량 멸종 주기가 일정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이 가설은 사장되었다. 2013년 WISE 에 의해 발견된 '숄츠의 별' 이 약 900만년 마다 주기적으로 태양과 근접하며 오르트 구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나왔다. 최근에는 약 7~8만년 전에 근접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효과가 나타나는데 약 200만년이 걸릴것이라고 한다. 이와 별개로 태양계에 9번째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제9행성]] 참고. == 여담 == [[2012년 지구멸망설|2012년 마야 종말론]]이 기승을 부리던 당시 [[초고대문명설|초고대문명론자]]인 제카리아 시친의 행성 [[니비루]] 가설과 맞물려 떡밥이 된 적이 있다. 물론 20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네메시스는 나타나지 않았고.[* 애초에 한번 공전하는데 수천만 년이 걸리는 네메시스 같은 항성의 경우 적어도 지구에 도달하기 수십만 년 전에 인류의 관측 범위 내에 들어와 있어야 한다. 천체의 공전 속도는 생각보다 빠르지 않다.] [[리사 랜들]]은 주기적인 대량 멸절이 쌍성 때문이 아니라 은하에 분포돼있는 [[암흑물질]] 때문이라는 가설을 세웠고, 이를 바탕으로 '암흑물질과 공룡'을 저술했다. 이 가설을 바탕으로 [[아이작 아시모프]]는 [[네메시스#s-3.8]]라는 소설을 썼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에서도 이 설정을 차용해 [[제9행성|태양계 10번째 행성]][* 사실 이 시절엔 아직 [[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인정받아 10행성으로 불렸다.] 네메시스가 [[블랙 문(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블랙 문]] 일당들의 근거지로 설정되었다. [[천년여왕]]에서는 네메시스라는 표현은 전혀 없지만 비슷한 식으로 서술했다. 1000년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천체라든가. [[메탈 블랙]]에 등장하는 외계인 침략자들의 출신 별이다. [[죽어버린 별의 넋두리]]에서는 지구에 나타나는 '생명'을 빼앗아가는 존재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지구 측도 생명의 씨앗을 모조리 빼앗기지 않기 위해 [[아트(죽어버린 별의 넋두리)|네메시스가 내리는 재앙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불사자]]를 만들어서 저항한다. [[짱구 극장판 20기]]에 등장한 행성 히마와리의 설정이 의외로 네메시스 가설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다는 가설이 있다. [[분류:가설 상의 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