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네부카드네자르(게임))] [목차] == 개요 == [[네부카드네자르(게임)|네부카드네자르]]에서 건설 가능한 건물들의 목록과 정보이다. 건물들의 요구 노동자 및 세금/임금 등은 보통 난이도를 기준으로 한다. == 지형 == 땅 ---- 땅은 평평한 땅, 거친 땅, 암석지대가 있다. 농지 및 목축지[* 농장/목장 아님], 점토 채굴장, 우물 등은 오로지 평평한 땅에서만 건설할 수 있다. 맵에 따라서는 구리, 돌, 금을 직접 채취할 수 있는 광맥이 있어 광산 또는 채석장을 건설할 수 있다. 이 때 3x3크기의 건물이 모두 광맥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건물 == === 기반 시설 === * 명칭(금액) * 흙 길(2) * 돌 길(3) * 장식된 도로 1(10) * 매력도 +1 * 장식된 도로 2(12) * 매력도 +1 * 장식된 도로 3(12) * 매력도 +1 * 관개용 수로(5) 물이 공급된 수로는 수로를 중심으로 하는 7x7 범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 관개 펌프(50) 하나의 펌프는 가장 가까운 12칸의 관개용 수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수로가 공급하는 지역이 관개되었는지 여부는 상관없다. * 다리(500) === 실행 계획 === 항구, 거대한 항구는 재난 수치가 없으며 노동력을 요구하지도 않기때문에 도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 ||<|5>[[파일:warehouse.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창고|| ||비용||50|| ||면적||3x3|| ||작업 범위||17x17|| ||최대 용량||36|| >이 게임에는 창고에서 노동자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짓고싶은 만큼 마음껏 창고를 지을 수 있다. >다만 맵 자체가 작은 편이고 창고에서 창고로 물자를 옮기는 행위는 대량의 노동자를 요구하므로 적재적소에 창고를 지을 필요가 있다. ||<|6>[[파일:fire_station_4_1.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소방서|| ||비용||550|| ||면적||2x2|| ||최대 용량||20(캐러밴 당)|| ||작업자||캐러밴(농민 35)|| ||슬롯||4|| >창고에서 창고로 물자를 옮기는 일을 한다. >캐러밴은 창고의 상품이 운반 금지 상태로 지정되어있어도 무시하고 해당 상품을 적재/하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을 잘 이용하면 내수용/무역용 창고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 ||<|4>[[파일:port_small_1.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항구|| ||비용||250|| ||면적||3x3|| ||작업 범위||11x11|| ||<|4>[[파일:port_big_1.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거대한 항구|| ||비용||750|| ||면적||4x5|| ||작업 범위||16x17|| === 응급 서비스 === 응급 서비스의 건물들은 다른 건물들과 달리 경로를 지정해줄 수 없다. 기본적으로 서비스 제공 범위는 무제한이며 같은 종류의 건물을 떨어뜨려 지으면 적당히 알아서 영역을 나눠갖는 방식이다.[* 버그에 가까운 요소로, 소방서A에 가깝지만 도로로 연결되진않은 건물B가 소방서A 영역으로 배정되어 소방서A가 해당 건물B를 방문하지 못 해 불이 발생하는 짜증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6>[[파일:fire_station_4_1.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소방서|| ||비용||250|| ||면적||2x3|| ||작업자||소방수(농민 40)|| ||슬롯||4|| ||환경 오염||1|| ||<|6>[[파일:healer_2.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치유사|| ||비용||90|| ||면적||1x2|| ||작업자||의사(농민 35)|| ||슬롯||1|| ||환경 오염||2|| >치유사는 이동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도시 곳곳에 골고루 배치해야한다. ||<|6>[[파일:hospital_2.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병원|| ||비용||400|| ||면적||3x3|| ||작업자||의사(귀족 10)|| ||슬롯||4|| ||환경 오염||없음|| >치유사와 달리 귀족 의사들은 이동속도가 빠르고 오염이 없으므로 읍민 이상의 거주지에서는 귀족이 입주하면 치유사를 병원으로 전환해줘야 더 높은 티어로 올리기 수월해진다. ||<|6>[[파일:police_station_4.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도시 감시대|| ||비용||350|| ||면적||2x3|| ||작업자||도시 감시대(읍민 25)|| ||슬롯||4|| ||환경 오염||2|| === 거주지 === '''{{{#1E90FF 서비스}}}''' * 집(20) * 거주자: 농민 * 면적 - 2x2 ||단계||명칭||거주 인구 한계||세금||요구 조건||오염도 제한||매력도 요구|| ||1||판잣집||33||0[* 정확히는 0.825]||-||-||-|| ||2||낡은 집||70||4||빵과 우유||-||-|| ||3||평범한 집||107||13||도기와 '''{{{#1E90FF 물}}}'''||-||-|| ||4||넓은 집||149||37||맥주와 '''{{{#1E90FF 행정(점토판)}}}'''||-||3|| >판잣집은 일정 시간동안 아무런 공급없이 방치될 경우 재난 발생 확률이 최고치로 급증한다. 따라서 재난 이벤트가 활성화된 이후에 대량의 판잣집으로 노동력을 확보하려면 적어도 우유정도는 공급해줘야한다. * 주택(50) * 거주자: 읍민 * 면적 - 2x3 ||단계||명칭||거주 인구 한계||세금||요구 조건||오염도 제한||매력도 요구|| ||1||미완성된 주택||0||-||-||-||-|| ||2||평범한 주택||20||10||대추야자와 생선||-||6|| ||3||넓은 주택||52||39||동 장식구와 '''{{{#1E90FF 성직자}}}'''||9||9|| ||4||호화로운 주택||94||94||의례용품과 '''{{{#1E90FF 도서관(파피루스)}}}'''||8||13|| ||5||화려한 주택||119||154||올리브기름과 의류||7||16|| * 대저택(100) * 거주자: 귀족 * 면적 - 3x3 ||단계||명칭||거주 인구 한계||세금||요구 조건||오염도 제한||매력도 요구|| ||1||미완성된 대저택||0||-||-||-||-|| ||2||아름다운 대저택||62||130||고기와 가구||6||16|| ||3||호화로운 대저택||109||327||금 장신구와 '''{{{#1E90FF 법률가(인장)}}}'''||4||18|| ||4||화려한 대저택||146||569||고급 도기와 '''{{{#1E90FF 점성가}}}'''||2||20|| ||5||사치스러운 대저택||178||854||고급 의류와 포도주||0||23|| >대저택은 집/주택에 비해 물자의 소모 속도가 2배 빠르며, 비축량은 3개이다. 공급을 원활하게 해주지 않으면 금방 퇴화해버린다. === 식량 생산 === ==== 노동자(농민) ==== ||<|6>[[파일:farm_plant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작물 농장|| ||비용||100|| ||면적||3x3(농장)[br]9x9(농경지)|| ||작업자||농부(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5|| ||환경 오염||2|| ||<:>'''작물'''||'''파종철(월)'''||'''수확철(월)'''|| ||밀||1-3||7-9|| ||대추야자||1-3||7-9|| ||보리||2-4||8-10|| ||린넨||12-2||5-7|| ||포도||3-5||9-11|| 대추야자의 경우는 추가적인 생산건물 없이 바로 거주지에서 이용가능하나 밀, 보리, 린넨, 포도는 제빵소, 양조장, 직공 작업장, 포도원에서 작물을 재료로 빵, 맥주, 직물, 포도주를 생산해야 거주지에서 이용가능하다. ||<|6>[[파일:farm_animal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축산 농가|| ||비용||150|| ||면적||3x3(농가)[br]9x9(목초지)|| ||작업자||목자(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5|| ||환경 오염||2|| ||<:>'''동물'''|| ||염소(우유)|| ||양(양과 양털)|| 작물 농장과 마찬가지로 우유는 추가적인 생산건물 없이 바로 거주지에서 이용가능하나 양, 양털은 푸줏간, 양모 직공 작업장에서 고기, 고급 직물을 생산해야 거주지에서 이용가능하다. 미션 13과 샌드박스 플레이에서는 양을 목축 시 양과 양털이 동시에 생산된다. 양이나 양털 중 하나의 생산물이 꽉 차더라도 나머지 생산물의 생산에는 지장이 없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생산물이 2배이므로 창고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거나 운반자를 늘려 생산품이 남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6>[[파일:bakery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제빵소|| ||비용||6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농민 2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밀을 재료로 빵을 생산한다. ||<|6>[[파일:fish_pier_NE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낚시 잔교|| ||비용||20|| ||면적||1x3|| ||작업자||생산자(농민 2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전체 면적이 물에 있어야 건설 가능하다. ==== 노동자(읍민) ==== ||<|6>[[파일:brewery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양조장|| ||비용||8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2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보리를 재료로 맥주를 생산한다. ||<|6>[[파일:butcher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푸줏간|| ||비용||25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양을 재료로 고기를 생산한다. ==== 노동자(귀족) ==== ||<|6>[[파일:winery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포도원|| ||비용||32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귀족 2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포도를 재료로 포도주를 생산한다. === 산업 === ==== 노동자(농민) ==== ||<|6>[[파일:clay_mine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점토 채굴갱|| ||비용||100|| ||면적||3x3|| ||작업자||생산자(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3x3 면적이 모두 평평한 땅에 있어야 건설 가능하다. 점토 채굴갱과 점토를 재료로 하는 생산 건물(도자기 공방, 벽돌 공장, 점토판 작업장) 사이를 최대한 가까이 짓고 채굴갱에 운반자를 빼고 생산자로 채우면 한정된 평평한 땅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6>[[파일:ceramic_shop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도자기 공방|| ||비용||6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점토를 재료로 도자기를 만든다. ||<|6>[[파일:copper_mine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구리 광산|| ||비용||120|| ||면적||3x3|| ||작업자||생산자(농민 45)[br]운반자(농민 20)|| ||슬롯||3|| ||환경 오염||2|| 3x3 면적이 모두 구리 광물 위에 존재해야 한다. 커스텀 맵이 아닌 캠페인에서는 중간 중간 빈 땅이 있어 건설 가능한 영역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점토 채굴갱과 마찬가지로 운반자를 빼고 생산자로 도배해야 생산량을 최대로 늘릴 수 있다. ||<|6>[[파일:brick_shop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벽돌 공장|| ||비용||65|| ||면적||2x2|| ||작업자||생산자(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6>[[파일:gold_mine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금 광산|| ||비용||400|| ||면적||3x3|| ||작업자||생산자(농민 45)[br]운반자(농민 20)|| ||슬롯||3|| ||환경 오염||2|| 구리 광산과 동일 ||<|6>[[파일:stone_mine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채석장|| ||비용||400|| ||면적||3x3|| ||작업자||생산자(농민 45)[br]운반자(농민 20)|| ||슬롯||3|| ||환경 오염||2|| 구리 광산과 동일 ==== 노동자(읍민) ==== ||<|6>[[파일:jewelry_copper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구리 작업장|| ||비용||12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2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6>[[파일:tablet_shop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점토판 작업장|| ||비용||10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6>[[파일:carvery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조각 작업실|| ||비용||17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6>[[파일:joinery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점토판 작업장|| ||비용||25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3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6>[[파일:loom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직공 작업장|| ||비용||15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3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6>[[파일:loom_wool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양모 직공 작업장|| ||비용||22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읍민 2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 노동자(귀족) ==== ||<|6>[[파일:jewelry_gold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보석 세공소|| ||비용||30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귀족 2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6>[[파일:seal_shop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인장 공방|| ||비용||30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귀족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6>[[파일:tailor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재봉 작업장|| ||비용||23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귀족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6>[[파일:ceramic_luxery_shop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고급 도자기 공방|| ||비용||20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귀족 2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2|| ||<|6>[[파일:tailor_luxury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고급 재봉 작업장|| ||비용||350|| ||면적||2x2|| ||작업자||생산자(귀족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환경 오염||1|| === 서비스 === 서비스 건물의 경우 각 거주지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순으로 나열되어있다. 서비스 건물은 건물의 경계에서 22칸 까지가 공급범위로 동선을 잘 설계하면 하나의 슬롯으로 넓은 범위의 거주지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집(농민) ==== ||<|6>[[파일:market_basic_empty.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허름한 시장|| ||비용||40|| ||면적||2x2|| ||작업자||판매자(농민 40)[br]운반자(농민 20)|| ||슬롯||5|| ||서비스 품목||빵, 우유, 도기, 맥주|| ||<|6>[[파일:well_no_work.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우물|| ||비용||150|| ||면적||2x2|| ||작업자||판매자(농민 30)|| ||슬롯||2|| ||서비스 품목||물|| 2x2 영역 모두 평평한 땅에 위치해야 한다. 오염도와 매력도를 신경쓸 필요가 없는 농민 거주지에서 위치선정에 가장 중요한 건물 ||<|6>[[파일:administration.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행정가의 집|| ||비용||200|| ||면적||2x2|| ||작업자||판매자(읍민 3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서비스 품목||행정|| 점토판을 소모하여 행정을 제공하는 건물. 읍민이 필요하므로 4티어 집은 저택을 지어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 저택(읍민) ==== ||<|6>[[파일:market_mid_empty.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평범한 시장|| ||비용||120|| ||면적||2x2|| ||작업자||판매자(농민 40)[br]운반자(농민 20)|| ||슬롯||5|| ||서비스 품목||생선, 대추야자, 동 장신구, 의례용품, 의류, 올리브 기름|| ||<|6>[[파일:priest_3.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성직자의 집|| ||비용||200|| ||면적||2x3|| ||작업자||판매자(읍민 35)|| ||슬롯||2|| ||서비스 품목||성직자|| ||<|6>[[파일:library_2.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도서관|| ||비용||300|| ||면적||2x3|| ||작업자||판매자(읍민 30)[br]운반자(농민 20)|| ||슬롯||4|| ||서비스 품목||도서관|| 파피루스를 소모하여 도서관을 제공하는 건물. ==== 대저택(귀족) ==== ||<|6>[[파일:market_luxery_empty.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고급스러운 시장|| ||비용||350|| ||면적||3x3|| ||작업자||판매자(읍민 40)[br]운반자(농민 20)|| ||슬롯||5|| ||서비스 품목||고기, 가구, 금 장신구, 고급 도기, 고급의류, 포도주|| ||<|6>[[파일:lawyer_1.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법률가의 사무소|| ||비용||250|| ||면적||3x3|| ||작업자||판매자(귀족 35)[br]운반자(농민 20)|| ||슬롯||4|| ||서비스 품목||법률가|| 인장을 소모하여 법률가를 제공하는 건물. ||<|6>[[파일:astrology_1.png|width=200%|height=200%|align=center|align=middle]]||이름||천문대|| ||비용||400|| ||면적||3x3|| ||작업자||판매자(귀족 30)|| ||슬롯||2|| ||서비스 품목||점성가|| === 종교 === * 신전 * 축제의 광장 === 장식 === === 기념물 === [[분류:게임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