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tube(XPWcB4Jx5_c)] || || [[맥스웰(가수)|맥스웰]]의 Sumthin' Sumthin'. || [목차] == 개요 == 네오 소울(Neo soul)은 블랙 뮤직의 한 장르이다. 1990년대 후반 [[소울 음악|소울]]과 [[컨템퍼러리 R&B]]에서 생겨난 음악 양식을 홍보 및 설명하고자 만들어진 용어이다. 이전까지의 [[컨템퍼러리 R&B]] 음악보다 좀 더 개성적이면서도 '소울적인' 진행을 추구하는 곡들이 주로 네오 소울로 분류된다. 새로운 형식의 '''소울'''이라는 의미에 맞게, 직전까지 인기를 끌던 힙합[* 지금 시점에서는 올드 스쿨이 되어버린 것이다.] 곡들에 비해 그루브가 강조되어있는 것이 주된 특징. [[맥스웰]], [[디안젤로]], [[로린 힐]], [[에리카 바두]] 등이 네오 소울 무브먼트의 시초로 꼽힌다. == 역사 == 용어 자체는 디안젤로의 Brown Sugar의 홍보를 위해 제시된 수식어에서 출발했으나, 이와 같은 시도 자체는 이미 소울의 효시 [[프린스]]의 곡에서 원류를 찾을 수 있다. [[2Pac]]과 [[노토리어스 B.I.G.]]로 대표되는 90년대 힙합 음악과 그에 영향을 받은 알앤비 음악들이 음반 시장을 석권하는 사이, 뮤지션들 사이에서는 서서히 '원류 소울' 노선을 다시 걷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고, 이 즈음 미국에 소개된 영국의 재즈 펑크, 곧 [[애시드 재즈]]는 종전 흑인 음악의 그루브를 유지하면서도 참신한 사운드를 들려주며 미국의 소울 아티스트들을 자극했다. 곧 이어 미 음반 시장에도 [[재즈 힙합]]을 비롯해 그루브, 훵크 사운드가 복귀하기 시작했고, 본격적으로 신예 아티스트들이 대거 등장하며 이른 바 90년대 후반의 네오 소울 무브먼트가 시작된다. 이후 이러한 흐름에 영향을 받아 2010년대의 [[프랭크 오션]], [[더 위켄드]] 등의 [[얼터너티브 R&B]], [[호주]]에서는 [[Hiatus Kaiyote]] 등의 퓨처 소울이 등장한다. ==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 == * [[앨리샤 키스]] * [[에이미 와인하우스]][* 많은 사람들이 그를 빈티지 소울 아티스트로 인식하지만, 2집 발표 이전까지 에이미의 음악적 노선은 빈티지보다는 네오 소울에 더욱 가까웠으며, 1집 Frank의 You Sent Me Flying 에서는 에리카 바두를 언급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은 [[https://youtu.be/YuEoy4zaWg0|Trilby]]를 비롯한 미수록곡/데모 곡들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 [[디안젤로]] * [[맥스웰]] * 메이사 릭 (Maysa Leak)[* [[인코그니토(밴드)|인코그니토]]의 보컬로 유명하다. [[애시드 재즈|애시드]]한 사운드에 집중하는 편.] * [[Me’Shell Ndegeocello|미셸 은데게오첼로]] * [[로린 힐]] * [[로버트 글래스퍼]] (Robert Glasper)[* 협동 프로젝트 앨범 Black Radio 시리즈로 유명하다. 여러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네오 소울 자체를 집약한 명반 시리즈.] * 리앤 라 하바스 (Lianne La Havas) * 레디시 (Ledisi) * [[에리카 바두]] * [[조자 스미스]] * [[Hiatus Kaiyote]][* 본인들 스스로 정의한 장르는 퓨처 소울. [[어보리진]] 문화와 결합한 특유의 음악관이 특징이다.] * [[지나]][* [[G.NA]]가 아니라 [[지나|Gina]]. 1집 Ginagram Vol.1이 전형적인 네오 소울/재즈 힙합에 턴테이블리즘이 얹힌 곡들로 짜여져있다. 다만 후에 발표한 2집과 3집은 팝적인 성향이 강해졌다. 음반의 완성도에 비해 인지도가 없다시피 한 아티스트이다.] * KUMAPARK[* 이 쪽은 좀 더 [[재즈 힙합]] 쪽에 가깝다.] * 도니 해서웨이[* 네오소울의 선구자이자 젊은 나이에 요절한 비운의 천재이다.] * [[솔란지 놀스]] *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 * [[SZA]] * [[호시노 겐]][* 기존의 어두운 포크 성향 음악에서, [[디안젤로]]의 영향을 받아 4집부터는 본격적으로 일본인스러운 네오소울이 두드러진다.] [[분류:네오 소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