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수상함)] ||
[[파일:проекта 41.jpg|width=100%]] || || {{{#d81e05,#fa4027 '''Эскадренные миноносцы проекта 41'''}}} || [목차] == 개요 == || 러시아어 || '''Эскадренные миноносцы проекта 41(типа «Неустрашимый»)'''[* "겁 없는, 용맹한, 주저하지 않는" 등의 뜻을 가진 형용사이다.] || || 영어 || '''Neustrashimy(나토명: Tallinn)-class destroyer''' || || 한국어 || 네우스트라시미급 구축함 (프로젝트 41) || [[소련]]의 네우스트라시미급 구축함은 110척이 계획 되었지만, 실용상 문제와 전술교리의 변화로 인해 다른 함급을 설계, 건조하기로 하여 실험함 1척만 1950년 3월 15일 기공, 1950년 7월 5일 진수, 1955년 1월 31일 취역했다. 진정한 [[소련]] 최초의 전후 [[구축함]]이며 [[스멜리급 구축함]]을 계승하였다. == 제원 == ||
<-2> '''이전급''' ||[[스코리급 구축함|스코리급]] || ||<-2> '''다음급''' ||[[코틀린급 구축함|코틀린급]] || ||<-2> '''진수''' ||1951년 1월 29일 || ||<-2> '''취역''' ||1955년 1월 31일 || ||<-2> '''퇴역''' ||1974년 2월 ?일 || ||<-2> '''표준배수량''' ||3,100t || ||<-2> '''만재배수량''' ||3,830t || ||<-2> '''전장''' ||133.83m || ||<-2> '''전폭''' ||13.57m || ||<-2> '''흘수''' ||4.42m || ||<-2> '''출력''' ||66,000HP || ||<-2> '''최고 속력''' ||36kn (약 67km/h) || ||<-2> '''승조원''' ||305명 || ||<|2> '''추진 장치''' || '''증기 터빈''' ||2축 [[프로펠러]] 결합식 || || '''보일러''' ||4기 || ||<|3> '''전자 장비''' || '''대공 레이더''' ||후트-N[* Fut-N] || || '''대함 레이더''' ||리프[* Ryf] || || '''소나''' ||페가스[* Pegas] || ||<|3> '''무장''' || '''주포''' ||2연장 130mm [[양용포]] 2문 || || '''부포''' ||4연장 45mm [[대공포]] 2문 || || '''대잠''' ||5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2문[br][[박격포]]식 [[폭뢰]] 발사대 2문[br]폭뢰 투사대 6문[br]폭뢰 105발[br][[기뢰]] 50발 || == 상세 == [[프로젝트 40형 구축함|프로젝트 40N]]에서 파생된 설계로, 본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사령관은 프로젝트 40의 채택을 주장했으나 당시까지 살아 있던 [[이오시프 스탈린]]은 [[프로젝트 30형 구축함]]을 선택했다. 대신 쿠즈네초프의 의견을 완전히 묵살하지는 않고 프로젝트 40을 저렴하게 개량해 선행건조해 보는 것으로 어느 정도 합의를 보았고, 그에 의해 프로젝트 41은 언니인 프로젝트 40과 함체 크기와 형태는 거의 동일한 대신 가격 절감을 위해 선두 갑판의 구조물을 상당 부분 제거했다. 그러나 시험 항해부터 삐걱대기 시작하면서 프로젝트는 완성되기 전에 취소되었다. 설계속도만큼 빠르게 달리지도 못했거니와, 저속전진이나 후진 중에는 함미가 떨리는 문제도 있었고, 선두의 대공포들은 물이 빠지지 않는 갑판에서 파도를 직접 맞아 가며 운용해야 했기 때문에 거의 쓸모가 없었다. 고질병 많은 네우스트라시미는 딱 1척만이 건조되어 대외행사에 동원되며 군사용으로는 거의 운용되지 않았고, 해군은 대신 네우스트라시미와 동일한 주포와 현두 형태를 도입한 [[코틀린급 구축함]]을 대량 건조하였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현대화 개수를 거치는 등 전력으로서의 대접은 받았으나, 1974년 노후화로 결국 퇴역 절차를 밟기 시작한다. 승조원들은 그래도 애정이 있었는지 소련 최초의 전후 설계 구축함인 만큼 역사적인 가치가 있으니 박물관함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으나, 그런 여유가 없던 해군은 구축함을 무장 해제시켰다. 스크랩을 앞둔 상황에서 소련 국방부의 교육영화 촬영에 동원되었는데, 내용이 [[보수(직별)|대미지 컨트롤]] 이어서 실제로 갑판에 불을 붙였다고 한다. 이 일로 선두부 구조물이 상당 부분 손상되었고, 영화 촬영이 끝나자마자 고철로 스크랩 처리되었다. 안타깝게도 이 영화는 러시아 쪽에서도 아직 찾지 못했을 정도로 인터넷에서 그 종적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어딘가의 문서고나 수장고 등에 필름이 남아 있을 법도 하지만 지금까지 그 누구도 이렇다할 소식을 가져오지 못했다.[* 전후까지도 이런 군내 교육용 영상은 관리가 소홀한 경우가 세계적으로 흔했다. 영국군조차도 수많은 교육영상을 찍어냈지만 지금 인터넷으로 만나볼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 참고: [[https://ru.wikipedia.org/wiki/Эскадренные_миноносцы_проекта_41|노어]], [[https://en.wikipedia.org/wiki/Soviet_destroyer_Neustrashimy|영어]] == 매체에서 == [[파일:46514449_2228590304133971_378061829055709184_n.jpg]] * [[월드 오브 워쉽/소련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 9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파일:Naval Creed 피어리스.png|width=500&hight=500]] * [[Naval Creed:Warships]]에서 [[Naval Creed:Warships/소련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프리미엄 4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선공개 이후로부터 이름이 세차레나 바뀌었는데, 피어리스라는 이름이었다가 갑자기 돈틀리스라는 이름을 한동안 쓰다가, 이후 다시 원래이름인 네우스트라시미로 변경되었다. 러시아어 이름을 굳이 있는 뜻 그대로 직역하려다 보니 생긴 참사.[* 개발사가 중국에 있다 보니 중국어마냥 영어도 죄다 직역하려 했을 공산이 크다.] [[분류:구축함]][[분류:소련군/장비]][[분류:195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