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IT 관련 기업]][[분류:2003년 기업]] ||||<:> [[파일:nable-logo.png|width=200]]|| ||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정식명칭 ||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 || 영문명칭 || Nable communications Co.,Ltd || || 설립일 || [[2003년]] [[1월 29일]] || || 업종명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 대표이사 || 양건열, 조종화 || || 상장유무 || 상장기업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 상장시장 || [[코스닥]]시장([[2012년]] ~ 현재) || || 종목코드 || 153460 || |||| [[http://www.nablecomm.com|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 요 ==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는 2003년 설립된 유무선 융합 [[통신]]솔루션 및 통신보안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 상 세 == 네이블은 국내 최초로 Push To Talk 솔루션을 자체 개발한 이래국제 표준 기반의 IP PBX, SBC, IP Centrex 시스템들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제품과 기술력으로 통신사업자와 기업 고객을 위한 차세대 통신 솔루션들을 제공하고 있다. 5G 및 PS LTE 무선 통신망 기반의 다양한 네트워크 솔루션들을 개발 공급하고 있으며, SKT LoRa Network Network구축을 시작으로 이동통신 및 저전력 광역 통신 기반의 트래킹, AMI 및 Facility Monitoring 등 공공안전을 위한 [[IoT]]솔루션을 개발하여 서비스중이다. 중소기업 최초 이음[[5G]] 기간통신 사업자로, 다양한 분야에서 5G특화망을 이용한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인프라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며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생성형[[AI]]와 기존 솔루션의 융합, AI기반 특허관리 플랫폼 Smart Patent 출시 등 AI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 연 혁 == 2024 SKT 에이닷전화 서비스를 위한 NAG용량 증설 2024 조달청 해외조달시장 진출유망(G-PASS)기업 선정 2023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IoT맨홀뚜껑)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급·확산 지원 사업 수주(지능형 IoT맨홀 관제시스템) 2023 ChatGPT 활용 AI통화 솔루션 'HiGPT(AI Call)' 출시 2023 보안 사물인터넷(IoT)망 탑재 폭발물 방호차량 개발(w 코비코) 2022 호반혁신기술공모전-특별상 (스마트 양생 및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2022 IoT기반 건설현장 환경관제 시스템 출시 2022 한국전력연구원 통합 배전계획 플랫폼 및 계통평가시스템 개발 수주 2022 NIA 5G B2B서비스 활성화 국책 과제(민간의료) 수주 2022 스마트 양생관리 솔루션 공급 – 현대건설, 롯데건설, SK건설 등 2021 KT 기업통화 Voice 플랫폼 구축 2021 IoT(사물인터넷) 맨홀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 2021 미국사업자향 Recording Server 공급계약 (삼성전자) 2021 인공지능과 CCTV 영상을 이용한 지능형 역학시스템 구축 2021 nXer-Security Gateway 2.4 제품 국정원 CC EAL3 인증 획득 2021 삼성전자 MCPTT Client SW 검증 수주 2020 mKOLON 3.0 시설 구축 (mPBX) 2020 KT C-Centrex 기업통화 인프라 용량 증설 (2차) 2020 SKT AOM 클라이언트 5G 신규 기능 고도화 2020 WebRTC 기반 스마트워크 서버 개발 (영상/음성/판서 회의) 2020 캐나다 사업자향 PS/MPGW/WebAPI 공급사업 수주 ※2020년 이전 내용은 홈페이지 참조 == 사업내용 == [[파일:nablebiz.jpg]] === Smart Network === * Smart Push - Push Notification 전달의 신뢰성을 높여 사용자의 배터리 소모를 최적화할 수 있는 시스템 * NAG & NEF - Telco 내부망과 외부 OTT와의 연동을 위한 G/W 역할을 수행하고 Telco Infra간 허브 플랫폼 역할 수행하는 장비로 5G NEF로 진화하고 있음 * WebRTC -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음성 통화, 화상 채팅, P2P 파일 공유 등의 어플리케이션들을 Web에서 Web으로 실행이 가능하도록 World Wide Web 컨소시엄(W3C)에 의해 만들어진 API 정의 * 5G 특화망 - 전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5G 망을 특정 공간(건물, 토지 등)에 설치하여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의료, 건설, 스마트 공장 등 분야 별 다양한 서비스 제공 === MCPTT === * MCPTT - 서비스를 위한 NFV 기반의 보안, 녹취, 상태 관리 시스템들을 공급 * MPGW - MCPTT 단말을 수용하고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장비 * PS/XDMS - MCPTT 단말의 Service Capability 정보 제공 * Recording - MCPTT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음성/영상 통화 내용 녹취 및 재생 기능 제공 * [[SDK]] - MCPTT, MCVideo, MC data 기능을 제공하는 SDK * WebAPI - API 인터페이스를 통해 MCPTT 코어장비들과 연동하는 WebAPI Plugin Library === Enterprise === * SBC & SG - Session Border Controller & Security Gateway * IP-Centrex - 60만 상용 고객을 수용하고 있는 대용량 IP 교환기 시스템 * 기업전용Talk - 하나의 앱으로 기업전화, UC, 관리 기능을 편리하게 제공 * IP-PBX & FMC - 기업 및 행정기관을 위한 전화 솔루션 * 스마트오피스 기업통화 - VoLTE HD 음성 통화 기반의 기업통화 서비스 제공 === AI / IoT === * [[철도]]시설물 관제 시스템 - 철도 중요 시설물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솔루션 * 스마트 [[양생]]관리 솔루션 -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측정하여 추정 강도를 제공하는 시스템 * 스마트 IoT [[맨홀]]관제 솔루션 - 맨홀 개폐 상태 및 맨홀 내부 환경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솔루션 * Smart Patent(스마트페이턴트) - AI와 [[특허]]업무 자동화 기술 기반의 올인원 특허 관리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