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IT 관련 기업]][[분류:인터넷 공유기 제조사]][[분류:1996년 기업]][[분류:Wi-Fi]][[분류:하드웨어]][[분류:나스닥 상장 법인]] ||<-2> '''{{{+2 넷기어}}}'''[br]Netgear Inc. || ||<-2> [[파일:netgear_logo.png|width=70%]] || || '''기업명''' ||넷기어[br]NETGEAR Inc. || ||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다국적 기업]])^^ || || '''설립일''' ||[[1996년]] [[1월 8일]] || || '''본사'''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미국)|산 호세]] || || '''사업분야''' ||네트워크 장비 제조 || || '''상장여부''' ||상장기업 || || '''상장시장''' ||[[NASDAQ|나스닥 시장]]^^([[2003년]])^^ || || '''창립자''' ||패트릭 로 (Patrick Lo), 마크 G. 메릴 (Mark G. Merrill) || || '''대표자''' ||패트릭 로 (Patrick Lo) || || '''시가총액''' ||'''7천 2백만 달러''' [* 2022년 6월 16일 기준] || || '''수익''' ||2.11억 달러^^(2022)^^ [*s 2022년 4월 기준 [[https://investor.netgear.com/releases/press-release-details/2022/NETGEAR-Reports-First-Quarter-2022-Results/default.aspx|#]]] || || '''순이익''' ||-5721만 달러^^(2022)^^[*s] || || '''영업이익''' ||-1410.6만 달러^^(2022)^^[*s] || || '''링크''' ||[[http://www.netgear.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Netgear'''는 미국에 위치한 네트워크 장비 전문 기업으로 NTGR이라는 심볼로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다. 와이파이 공유기 [[라우터]], 게이트웨이, 무선 AP, 프로AV스위치, 디지털캔버스 Meural등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공유기]]는 '''Nighthawk'''이라는 브랜드로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Mesh망 전용 공유기는 '''Orbi'''라는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 스위칭허브는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비디오/오디오에 최적화된 '''ProAV'''스위칭허브를 판매하고 있다. [[NAS(저장장치)|NAS]]는 '''ReadyNAS'''이라는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디지털액자로 알려진 디지털캔버스모델은 '''Meural'''이라는 브랜드로 판매중이다. 미국 외에 25개 국가에 현지 법인이 위치[* 한국 역시 포함이다. 넷기어 인터내셔날 인크, 한국 지점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주)넷기어스토어는 유통판매로 등록되어 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한국어를 지원한다. [[https://www.netgear.com/kr/|넷기어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이다. 넷기어의 가장 큰 시장은 북미,유럽 및 호주이며 전체적인 사업 자체는 미국에 상당히 집중하고 있으며, 그 결과 2016년 기준 넷기어는 미국에서 하이엔드 공유기의 51%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메이저 플레이어로 자리잡고 있다.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798920/united-states-wifi-router-vendor-share/|#]] 넷기어는 와이파이공유기 시장에서 굉장히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중저가 브랜드 이미지보다는 프리미엄 공유기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 제품 == 라우터 * Netgear Orbi Series [* [[ASUS]] 라우터의 AiMesh 같은 느낌의 Mesh 네트워크 전용 상품으로 나온 제품으로, 보통 2개를 한 팩에 파는 경우가 많다.] * Netgear Nighthawk RAX Series [* 고성능 WIFI 6 제품] * Netgear Nighthawk RD Series [* 엔트리급 WIFI 5 제품] * Netgear Nighthawk XR Series [* 게이밍용 제품] == 문제점 == === 잦은 [[잠수함 패치]] === [[ASUS]]나 [[ipTIME]] 등의 타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외부 접속을 통한 공유기 설정 부분이 '''없다.''' 단순 인터넷 사용자라면 불편이 없을 수 있으나, [[홈 네트워크]]나 [[IoT]] 서버를 구축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한 부분이다. 허나 이 부분이 더욱 문제인 점은, 기존에 '''Web Service Management'''라는 이름으로 해당 기능이 있었으나, 보안 상의 이유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기능을 통보 없이 [[https://dongknows.com/netgear-kills-web-based-remote-management/|제거]] 했다는 점이다. [* 허나 웃긴 점은, Netgear를 제외하고 나머지 브랜드들은 대부분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칠 수 없으니 없애버리겠다는 마인드가 돋보인다.] 물론 펌웨어 롤백이 가능하긴 하지만, 신규 펌웨어가 존재하면 자동으로 신규 펌웨어를 설치하기 때문에 의미 없는 수준. 따라서 [[홈 네트워크]] 구축이나 [[NAS(저장장치)|NAS]]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비추한다. 이는 펌웨어 부분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잦은 끊김 이슈가 있었던 Netgear Nighthawk AX4 (RAX40, RAX38) 모델은 기존 [[인텔]] 무선 칩을 사용했는데, 아무런 통보 없이 [[브로드컴]] 칩으로 바꿔 리비전된 RAX38v2를 내놓고 기존 RAX38v1 역시 그대로 판매하고 있어, 구매 시 혼란을 야기한다. 펌웨어 단에서 [[잠수함 패치]]와 공유기 자체도 [[잠수함 패치]]를 하는 경우가 있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브랜드이다. === 구린 공유기 설정 화면 === Nighthawk 앱은 잘 만들었고 빠르나 고급 설정을 요하는 유저들에게는 충분치 않은 기능을 제공하고[* 엔트리급 WIFI 6 제품인 RAX40의 경우에는 [[WOL]] 기능 조차 제공하지 않는다. 물론 이 기능은 웹 상에도 없는 등 아예 공유기 자체 기능에서 빠져있다.], 웹 상에서 설정할 수 있는 Web Service는 Nighthawk 보다는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만, 경쟁사인 [[ASUS]] 혹은 한국의 [[ipTIME]] 등의 브랜드에 비해 상당히 느리고, 경쟁사들에 비해 제공하는 기능도 많지 않다.[* DDNS는 등록할 수 있는 등 적당한 수준의 유저에게는 충분하다. 다만 파워 유저들에게는 [[ASUS]] 공유기의 기능에 비해 상당히 적다고 느껴질 수 있다.] [[ipTIME]]의 빠릿빠릿한 설정 화면을 보다가 넷기어의 화면을 보면 속 터진다. === NAS 연결 시 불편함 === DMZ 기능을 제공하나, DMZ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NAS 사용 시 NAS에서 사용 중인 포트를 전부 일일이 포트포워딩 해줘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DMZ 기능 사용 시 Web Service Management 기능과 충돌이 있는지 기본적으로 무조건 공유기 설정 화면 (routerlogin.net)으로 리다이렉트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