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caodong_logo.png|width=25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odong_profile.png|width=100%]]}}} || || '''{{{#fff 활동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 '''{{{#fff 멤버}}}''' ||우두^^(보컬, 기타)^^[br]주주^^(보컬, 기타)^^[br]스시웬^^(보컬, 베이스)^^[br]황신웨이^^(드럼)^^|| || '''{{{#fff 활동 기간}}}''' ||[[2012년]] ~, 본격적 활동은 [[2015년]] ~ || || '''{{{#fff 데뷔}}}''' ||[[2016년]] 앨범 '醜奴兒'[br]|| || '''{{{#fff 장르}}}''' ||[[인디 밴드]], [[록 음악]], [[포스트 록]], [[사이키델릭 록]], [[얼터너티브 록]], [[그런지]]|| ||<|2> '''{{{#fff 링크}}}''' ||[[https://www.nopartyforcaodong.com/en|[[파일:npcdwebsite.jpg|width=40]]]] [[https://youtube.com/@nopartyforcaodo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opartyforcd, 크기=20)] [[https://www.facebook.com/nopartyforcaodo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No Party for Cao Dong(草東沒有派對, 초동몰유파대). 2012년에 [[대만]] [[양밍산]] 차오동 출신의 우두(본명 林耕佑, 임경우)와 주주(본명 楊世暄, 양새훤)를 초기 멤버로 결성된 대만의 인기 인디밴드이다. == 멤버 == [[파일:caodong_profile.png ]] 왼쪽부터 스시웬(베이스, 보컬)[* 본명은 楊世暄, 양세훤], 판판(드러머, 2016 ~ 2021)[* 본명은 蔡憶凡, 채억범. 판판은 안타깝게도 2021년 사망했다.], 우두(리드기타, 보컬)[* 본명은 林耕佑, 임경우], 주주(리듬기타, 보컬)[* 본명은 詹為筑, 잠위축]이다. 안타깝게도 밴드의 드러머 판판이 2021년 타이베이 코로나 격리 호텔에서 사망했다. 이에 2023년 다른 인디 밴드 출신 황신웨이(黃士瑋)가 새로운 드러머가 되었다. == 특징 == || [youtube(HqmpIQ9l-uA)] || [youtube(j2311FZWoFQ)] || || 大風吹 - Simon says || 山海 - Wayfarer || 차오동의 분위기를 가장 잘 표현하는 곡이자, 둘 다 유튜브 조회수 '''1000만'''회를 찍은 히트곡. '대만을 보호해야할 이유'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대만]] 뿐만 아니라 [[대만]][[양안관계|이라면 치를 떠는]]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노 파티 포 차오동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부정'''이라는 소리가 있을 정도로 차오동은 강렬하고 사이키델릭한 리듬과 염세적이고 딥다크한 가사를 주로 쓴다. 딱히 한 주제를 집중적으로 파지는 않지만 차오동은 가식이 없고 직설적인 현실을 표현하는 것으로 우울에 빠진 [[두머]] 세대와 Z세대에게 큰 각광을 받게 되었다.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醜奴兒 (2016) === ||<-3>[[파일:theservilealbum.jpg |width=100%]]|| ||<-3> {{{#fff '''醜奴兒 The servile'''}}} || ||<-3> '''2016년 2월 발매'''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비고'''}}} || || 1 || Intro || [[https://www.youtube.com/watch?v=yfjUrLOWpXc|#]] || || 2 || 醜(Grisly Me) || [[https://www.youtube.com/watch?v=we9IbnUSBu4|#]] || || 3 || 爛泥(Wimpish) || [[https://www.youtube.com/watch?v=2fQ5es-qLaY|#]] || || 4 || 勇敢的人(The Reluctant) || [[https://www.youtube.com/watch?v=ruZjcOwBwV0|#]] || || 5 || 大風吹(Simon Says) || [[https://www.youtube.com/watch?v=HqmpIQ9l-uA|#]] || || 6 || 艾瑪(Emma) || [[https://www.youtube.com/watch?v=uUc_05zlRkQ|#]][* [[엠마(소설) | 동명의 소설]]이 모티브인 것으로 추정된다. 가사 중에 "붙은 꼬리표와 같이 변해보자", "뚜렷한 위선과 함께 변해보자"와 같이 변화와 성장에 관한 가사들이 작중 엠마가 본인의 자만심과 허영심으로 크게 좌절한뒤 성장하고 변하는 모습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소설에서 감명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 || 7 || 等(Await) || [[https://www.youtube.com/watch?v=AA_nWNrkWv8|#]] || || 8 || 鬼(The Specter) || [[https://www.youtube.com/watch?v=RzDdTWLiXw0|#]] || || 9 || 在(Am for You) || [[https://www.youtube.com/watch?v=yKdnQSqBIq4Z2A|#]] || || 10 || 山海(Wayfarer) || [[https://www.youtube.com/watch?v=j2311FZWoFQ|#]] || || 11 || 我們(Us) || [[https://www.youtube.com/watch?v=X8BK7Dq7PG4|#]] || || 12 || 情歌(Mottos, Bygones) || [[https://www.youtube.com/watch?v=Du2xHII1_Gs|#]][*환원 앨범 미수록곡 頂樓(rooftop)과 함께 [[환원 -Devotion-]]의 트레일러에 사용되었다.] || 현재의 차오동을 있게 해준 앨범이자, 차오동에게 대만의 그래미 상인 제 28회 금곡장(GMA)을 가지게 해준 명반이다. 그 당시 인기를 끌던 '''[[오월천]]'''을 제치고 총 6개 부분(올해의 앨범, 올해의 노래, 최우수 밴드, 최우수 신인, 최우수 작곡자, 최우수 작사가)에 이름을 올려 큰 관심을 끌게 되었다. === 瓦合 (2023) === ||<-3>[[파일:theclodalbum.jpg|width=100%]]|| ||<-3> {{{#fff '''瓦合 The Clod'''}}} || ||<-3> '''2023년 5월 발매'''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비고'''}}} || || 1 || 苦難精算師(Intro) || [[https://www.youtube.com/watch?v=zcO_OVJLimQ|#]] || || 2 || 缸(Pool) || [[https://www.youtube.com/watch?v=SB3_m1jU-BU|#]] || || 3 || 空(Space) || [[https://www.youtube.com/watch?v=I9Go2E7hXMQ|#]] || || 4 || 人洞山(The Human, the Hole and the Mountain)|| [[https://www.youtube.com/watch?v=n0rfigDrc3k|#]] || || 5 || 孑(Interlude) || [[https://www.youtube.com/watch?v=zf39qwyOR1g|#]] || || 6 || 白日夢(Daydream) || [[https://www.youtube.com/watch?v=uV2ex9L1j9I|#]] || || 7 || 床(lie) || [[https://www.youtube.com/watch?v=yq5KovCxq8o|#]] || || 8 || 八(B) || [[https://www.youtube.com/watch?v=WltRNBs0vC8|#]] || || 9 || 老張(Chang) || [[https://www.youtube.com/watch?v=g6Oq9-vLfzc|#]] || || 11 || 芽(Shoot) || [[https://www.youtube.com/watch?v=fdECKPdhA_s|#]][* 2021년 사망한 밴드 드러머 판판을 추모하기 위한 곡으로, 차오동의 곡들 중에서 유일하게 일렉 기타와 '''드럼'''이 없는 걸 보면 참 오묘하다. 메인 보컬이던 우두 대신 서브 보컬 주주가 불렀다.]|| || 12 || 但(Damn) || [[https://www.youtube.com/watch?v=ovTiSA9T-RU|#]] || 밴드 드러머 판판이 사망하고 난 뒤 공백을 깨고 2023년 5월에 낸 앨범이다. 지난 앨범의 확고했던 딥다크한 분위기와 부정적인 분위기만을 고집하지 않고 밝고 격정적인 곡들도 수록했다. 공백을 깨고 나온 앨범이라 인기가 매우 크며 특히 床(lie)는 대만 부총통 [[라이칭더]]가 사용했을 정도로 히트를 쳤다. 床(lie), 白日夢(daydream),但(Damn)은 본 앨범 출시 1개월 전에 선공개되었으며 뮤비가 제작되었다. == 싱글 == === [[환원 -Devotion- |還願]] (2019) === ||<-3>[[파일:devotionalbum.jpg|width=100%]]|| ||<-3> {{{#fff '''還願 -Devotion- original soundtrack'''}}} || ||<-3> '''2019년 발매'''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비고'''}}} || || 1 || 還願 || [[https://www.youtube.com/watch?v=sSQKl7rBTWQ&list=OLAK5uy_mx7VsCHtOi2PmlAeEsI5BnIzF1vQg5m0s|#]] || 醜奴兒가 대만 내 차오동의 입지를 굳힌 명반이었다면 還願은 세계에 차오동을 알린 명반. 레드 캔들 게임즈가 제작한 [[환원 -Devotion-]]이 좋은 게임성으로 유명해지자 음악 담당이었던 차오동도 동시에 인기를 얻게 되었다 === 如常 (2020) === ||<-3>[[파일:thesameoldsameold.jpg |width=100%]]|| ||<-3> {{{#fff '''如常 Same Old, Same Old'''}}} || ||<-3> '''2020년 발매'''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비고'''}}} || || 1 || 如常 || [[https://www.youtube.com/watch?v=2uYFx6WHukc|#]] || = 여담 = * 원래 밴드 명은 '차오동 거리의 파티'(초동가파대, 草東街派對)였지만 멤버 교체가 잦아 밴드가 고초를 겪자 '차오동 거리에는 파티가 없다(초동몰유파대, 草東沒有派對)'로 밴드명을 바꿨다. *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없는 수준이었지만, 2019년 대만 공포게임 [[환원 -Devotion-]]이 큰 인기를 끌자 환원의 음악 담당이었던 차오동도 덩달아 유명해졌다. 특히 차오동이 작업한 주제가인 '還願'은 언어를 초월한 명곡이라고 평가받으며 게이머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 [[내한]]을 두 번 했었다. [[DMZ 피스트레인 뮤직 페스티벌 | 2018년 DMZ 피스트레인 뮤직 페스티벌]]에서 한번, 2019년 아시안 팝 스테이지에서 한번 공연을 뛰었다. 차오동은 상당히 투어를 많이 다니는 편인데, 2023년 복귀 이후 대만과 일본에서 투어를 재개하는 것으로 보아 한국 투어도 다시금 기대해 볼만 하다. * 앨범 '醜奴兒'의 큰 인기로 차오동이 금곡장을 수상하게 되자, 금곡장의 규칙에 따라 수상 밴드는 공연을 꼭 뛰어야 했다. 하지만 남성 멤버 전원이 군복무 중이었기에 공연은 불가피하게 취소되었고 우두와 스시웬이 휴가를 내 수상만 하고 군복무를 재개했다. [[분류:사이키델릭 록 밴드]][[분류: 인디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