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헤이세이 라이더/1호 라이더)] ||<-2>
{{{#ffffff '''{{{+1 노가미 료타로}}}'''[br][ruby(野上, ruby=のがみ)] [ruby(良太郎, ruby=りょうたろう)]|Ryotaro Nogam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료타로(덴오).jpg|width=100%]]}}} || || '''성별''' || 남성 || || '''생년월일''' || [[1988년]] [[12월 26일]] || || '''연령''' || 18세 → 19세 || || '''주요 출연작''' || [[가면라이더 덴오]] || || '''변신체'''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덴오]]''', [[가면라이더 유우키#s-2.2|유우키 스컬 폼]][* [[극장판 안녕히 가면라이더 덴오 파이널 카운트다운]] 한정. [[고스트 이매진]]에게 강제로 빙의당하여 변신.] || || '''변신 타입''' || [[가면라이더]] || || '''첫 등장''' || 이 몸, 등장! [br](가면라이더 덴오 에피소드 1) || || '''마지막 등장''' ||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OREVER]] || ||<|2> '''배우''' || [[사토 타케루]] || || [[미조구치 타쿠야]][* [[노가미 료타로#s-1.1|아역]] 및 [[노가미 료타로#s-1.2|소년 료타로]] 한정.] || || '''성우''' || [[카스야 유우타]] ([[가면라이더 배틀라이드 워|BRW]]) || ||<|2> '''한국판 성우''' || [[이상헌(성우)|이상헌]][* [[가면라이더 위자드]] 스페셜에서 [[모모타로스|영혼의 파트너]]를 맡았다. 그 후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에서 [[이가라시 겐타|주인공의 아버지]] 역을 맡게 된다.] || || [[김명준(성우)|김명준]][* 훗날 [[가면라이더 지오]]의 [[토키와 소고|오지호]]를 맡게된다.]([[가면라이더 덴오+신오|애니메이션]]) || || '''가족 관계''' || [[노가미 아이리]] (누나)[br][[사쿠라이 유토]] (매형)[br][[노가미 코타로]] (손자) || [clearfix] >'''운이 나쁘다든가, 몸이 약하다든가, 뭐 하나 할 줄 아는 것도 없다든가...''' >'''하지만 그건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의 변명이 될 수 없어.''' > '''"언젠가 다시 보자, 미래에서.."'''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면라이더 덴오]]의 [[주인공]]. 현 시간의 [[특이점(가면라이더 덴오)|특이점]]이며,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덴오]]로 변신이 가능하다. 덴오의 세계관상 가장 중요한 인물로[* 스토리상 가장 중요한 인물은 2호 라이더인 [[사쿠라이 유토]].], 료타로를 현재의 시간에서 죽이지 않는 이상 시간은 언제든지 료타로의 기억을 바탕으로 다시 재생하게 된다. 즉, 시간의 수리공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오프닝과 본편의 갭이 큰데, 쿨하고 진지해 보이는 오프닝에서의 모습[* 오프닝에서 료타로의 모습만 집중해서 보자. 본작의 모습과 차원이 다른 차갑고 간지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폐허에서 불타오르며 떨어지는 달력들 밑에 홀로 서서 카메라를 응시하는 모습이나 변신하기 직전에 라이더패스를 쭉 내민 자세는 폭풍간지 그 자체.]과 달리 본편에서는 순 [[허당]]이다. 때문에 당시 '사상 최악, 최약의 가면라이더'라는 평을 받았다. 첫 등장부터 자전거[* 다른 작품의 주인공들은 오토바이를 교통 수단으로 이용한다.]로 하늘을 날고 동네 양아치들에게 얻어맞으며 돈까지 뜯기는, 말 그대로 사상 최악으로 운이 없는 주인공. 이 불운은 TV판 본편이 끝나도 여전하다.[* 인기 덕분에 유독 극장판이 많고 크로스오버된 작품까지 있어 그만큼 감당해야 할 사건 사고가 늘어난다. 물론 [[가면라이더 아기토]]의 [[아시하라 료]]와 비교하면 귀여운 수준이지만. 예시로 가면라이더 덴오+신오에서는 노하라 신노스케가 똥을 누려고 문을 열었는데 그 엉덩이가 얼굴에 닿았다.] 단, 갑작스러운 싸움에 곧바로 싸운 다른 라이더들과 다르게 겁을 먹고 피한 모습은 굉장히 현실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아무리 용감해도 비현실적인 상황+목숨의 위협이 닥쳐오면 혼란하거나 공황에 빠지기 마련인데, 료타로는 잠시 기절하는 모습까지 보여준 유일한 라이더이다. 거기에 더해 처음 변신할 때 다른 라이더들은 싸워야 한다, 살고 싶다, 구하고 싶다, 어떻게든 해야 한다 등의 의지를 가지고 변신을 했지만, 이쪽은 완전히 강제로 변신[* 엑스트라였다면 그냥 도망치게 해줬을 것을, 특이점이라 덴오로 변신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싸우게 된 것. 변신하고나서 뭔가 용기가 생기고 큰 힘을 낼 수 있게 된 것도 아닌지라 [[모모타로스]]가 없었으면 높은 확률로 죽었다.]하고 싸웠다. 몸만 약한 것 뿐만 아니라 센스도 부족하다. 료타로의 이미지에서 태어난 모모타로스, 우라타로스는 유난히 디자인이 난해하다. 게다가 모두가 경악했던 클라이맥스 폼이나 필살기를 매우 좋아하고,[* 사실 료타로의 성격을 보면 클라이맥스 폼은 디자인이 취향이라기보다는 '''네 이매진 모두와 함께 싸운다'''는 점을 마음에 들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네이밍 센스도 매우 엉망이다. 직접 붙여 준 모모타로스와 손자 코타로의 이름[* 두 사람 다 자기 이름을 안 좋아한다]이나 라이너 폼의 필살기인 전차베기[* 총 5개의 필살기가 있지만 료타로는 몽땅 전차베기라고 부른다. 정작 료타로는 [[모모타로스]]의 '''이 몸의 필살기 Part 뭐시기'''보단 낫다고 항변했다.]가 그 예. === 코타로(小太郎)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노가미 료타로의 손자 코타로, rd1=노가미 코타로)] ||<-2>
'''프로필''' || || '''이름''' || 小太郎 || || '''연령''' || 10세 || || '''등장 작품''' ||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탄생!|이 몸, 탄생!]] || || '''변신체'''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덴오]] || || '''변신 타입''' || [[가면라이더]] || || '''배우''' || [[미조구치 타쿠야]] || 과거의 노가미 료타로로, 현재의 료타로와 구분하기 위해 작은 료타로란 의미로 코타로라고 불린다. 료타로인 만큼 [[이매진(가면라이더 덴오)|이매진]]이 빙의가 가능하지만, 처음 [[모모타로스]]가 빙의되었을 때는 놀라서 기절을 했다.[* 이때 료타로는 기억을 잃은 상황이었기에 [[지크(가면라이더 덴오)|지크]]가 빙의된 뒤 코타로와 함께 기절해버렸다.] 어쩌다보니 [[시간의 열차|제로라이너]]에 동행, [[가오(가면라이더 덴오)|가오]]를 쓰러뜨리기 위한 여행에 동행하는데, 에도시대에서 닌자들에게 습격당할 때 모모타로스가 다시 코타로에 빙의해 덴오로 변신하여 닌자들을 다 [[개박살]]내버렸다. 이때 모모타로스가 말하길 "이 몸은 이 사이즈로도 클라이막스라고!"...역시 료타로는 작아도 료타로다. === 소년 모습의 료타로 === ||<-3>
'''프로필''' || ||<-3> [[파일:95af0c06-543f-4e19-9921-bf9158de85cf.jpg|width=300]] || || '''연령''' ||<-2> 19세 || || '''등장 작품''' || [[극장판 초·가면라이더 덴오 & 디케이드 NEO 제네레이션즈 도깨비섬의 전함|도깨비섬의 전함]] || [[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THE MOVIE 초·덴오 트릴로지|초•덴오 트릴로지]] || || '''변신체''' ||<-2>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덴오]] || || '''변신 타입''' ||<-2> [[가면라이더]] || || '''배우''' ||<-2> [[미조구치 타쿠야]][* 이후 [[가면라이더 고스트]]에서 [[시부야(가면라이더 고스트)|시부야]] 역으로 등장하게 된다.] || || '''한국판 성우''' ||<-2> [[이상헌(성우)|이상헌]][*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한정] || 이후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덴오의 세계]], [[극장판 초·가면라이더 덴오 & 디케이드 NEO 제네레이션즈 도깨비섬의 전함]], [[가면라이더X3 THE MOVIE - 초덴오 트릴로지]]에서 [[사토 타케루]] 대신 [[노가미 료타로]]로 출연했다. [[파견 이매진은 NEW트럴]]편과 [[보물DE엔드 파이리츠]]편의 주역은 각각 [[노가미 코타로]]와 [[테디(가면라이더 덴오)|테디]], [[카이토 다이키]]와 [[쿠로사키 레이지]]이기 때문에 비중은 약화 됐지만 연기에는 큰 부담이 없었다. 그리고 이후 덴오가 나오는 작품에선 미등장. 사실 그도 그럴것이 1995년생인 미조구치 타쿠야의 나이가 2013년을 기준으로 18세가 된다. 이는 1989년생인 [[사토 타케루]]가 2007년 덴오를 찍었을 때의 나이와 같아지게 되므로, 어렸을 때라면 모를까 촬영 당시 사토 타케루의 나이와 같아지게 성장하면서 올 이질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 [[/작중 행적|행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노가미 료타로/작중 행적)] == 빙의시의 모습 == [[파일:attachment/ryotaro_6.png]] 왼쪽부터 D료타로 K료타로, M료타로, 료타로(빙의전), U료타로, R료타로, W료타로 || [[파일:attachment/ryotaro_momo.jpg]] ||[[파일:attachment/ryotaro_ura.jpg]] || [[파일:attachment/ryotaro_kin.jpg]] || || M료타로([[모모타로스]]) || U료타로([[우라타로스]]) || K료타로([[킨타로스]]) || || [[파일:attachment/ryotaro_ryu.jpg]] || [[파일:attachment/ryotaro_sig.jpg]]||[[파일:attachment/노가미 료타로/ryotaro_de.jpg]] || || R료타로([[류타로스]]) || W료타로([[지크(가면라이더 덴오)|지크]]) || D료타로([[데네브(가면라이더 덴오)|데네브]]) || || [[파일:attachment/ryotaro_ghost.jpg|width=200]] || || A료타로([[고스트 이매진]])[* 극장판 3기에서 등장.] || == 명대사 == >(4화에서 모모타로스를 조용히 협박할때) "미안합니다는?" > ( 한국판 ) "그럼, 어서 사과해!" [* 참고로 이 상황, '''이매진과 전투중이었다. 심지어 플랫 폼 상태로.''' 초반에 모모타로스가 자신이 잠든 새 제멋대로 빙의하다 사고친 일들을 알고 분노해서 사과를 받아내기 전까진 혼자 싸우겠다고 한 탓에 일어난 것. 물론 료타로의 싸움 실력을 잘 아는 모모타로스는 곧 자길 부를 거라며 콧방귀를 꼈으나, 료타로는 진짜로 플랫 폼만으로 싸우고 대책없이 쳐발리는 중에도 모모타로스를 부를 기색이 '''전혀 없었다!''' 이렇게 되자 그 모모타로스도 료타로가 죽으면 자기도 죽는지라 점점 당황하기 시작하고, 결국 '''다시는''' 도둑의 파트너 따위 하지 않겠다며 '''기어코 항복 선언을 치게 만들었다.''' 그 직후에 료타로가 친 대사가 바로 저것.][* 더빙판은 '''그럼 어서 사과해!''' 원판은 우회적으로 협박하는데 더빙판은 직설적인 협박이 되어버렸다. ] >"운이 나쁘다든가, 몸이 약하다든가, 뭐 하나 아는 것도 없다든가... '''하지만 그건,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의 변명이 될 수 없어.'''"[* 처음 등장하고 나서 틈만 나면 어그로를 끄는 유토에게 한 말. 이 말을 들은 시점으로 료타로에 대한 유토의 평가가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한다.] >'''"미안하지만 시간은 지울 수 없어."'''[* 극장판 이몸탄생에서 시간을 지우겠다는 가오에게 한 말] >"이제부터 하면 돼. 아직 끝난 게 아냐."[* 킨타로스, 우라타로스가 [[여긴 내게 맡기고 앞으로]] 클리셰를 따라 이탈하고 모모타로스도 카이가 보낸 이매진 군단을 상대하느라 바쁜 판에 자기는 겁먹고 열차에 박혀있느라 아무것도 못했다며 자책하는 류타로스에게 한 대사.] > '''언젠가 다시 보자. 미래에서...'''[* 본편 최종화의 마지막 대사이자 본편을 마무리한 명대사. 이때 항상 마지막에 반시계 방향으로 돌던 시계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데 여기엔 많은 의미가 담겨 있을 것이다.] == 기타 == 역대 [[가면라이더 시리즈]] 주인공 중에서 [[필립(가면라이더 W)|필립]] 역의 [[스다 마사키]], [[키사라기 겐타로]] 역의 [[후쿠시 소타]], [[텐쿠지 타케루]] 역의 [[니시메 슌]] 등장 전까지는 주인공 라이더의 역할을 맡은 배우로서는 가장 최연소였으며, 그런 탓인지 [[카즈라바 코우타]] 역의 [[사노 가쿠]]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키가 가장 왜소했다. 또한 최초의 [[헤이세이]] 연도 출생의 헤이세이 라이더이기도 하다. 더불어 [[1호 라이더]] 중 최초로 1인칭이 [[보쿠]]인 캐릭터이다. 이는 이후 [[쿠레나이 와타루]], [[필립]], [[호죠 에무]]로 이어진다. 료타로 역의 사토 타케루는 극중에서 노가미 료타로, [[모모타로스]], [[우라타로스]], [[킨타로스]], [[류타로스]], [[지크(가면라이더 덴오)|지크]]에 [[데네브(가면라이더 덴오)|데네브]](딱 1화뿐이지만) 까지 포함하여 1인 7역을 모두 소화해내는 굉장한 연기력을 선보였다. 목소리는 전부 성우 보정이지만(사실 극 초반부(3화)에서는 모모타로스 빙의 시 목소리까지 연기했었다.), 브레이크 댄스가 특기라 류타로스가 빙의했을 때 추는 춤도 본인이 직접 연기한 것. 참고로 감독은 브레이크 댄스가 특기라는 사실을 모르고 캐스팅했다고 한다. 대신 슈트 액터인 [[타카이와 세이지]]는 춤을 못 춰서 덴오 5폼 중 건 폼이 제일 연기하기 힘들어 죽을 맛이었다고.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1.1 및 1.2 문단, title=코타로, version=80, paragraph=1.2.1)] [[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 등장인물/덴오]][[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 등장인물/키바]][[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 등장인물/디케이드]][[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 등장인물/빌드]][[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 등장인물/지오]][[분류:가면라이더 변신 인물/헤이세이 라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