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만총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1a17, #3c2723 20%, #3c2723 80%, #261a17)" {{{#d1ca26 '''제3대 대만총독''' [br] {{{+1 '''노기 마레스케''' }}} '''乃木希典 | Nogi Maresuke'''}}}}}}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91b5ae7c0b28a637f1e3eb983ee0f0049932745.jpg|width=100%]]}}} || ||<|2> '''출생''' ||[[1849년]] [[12월 25일]] || ||[[무사시|무사시국]] 도지마군 [[에도]] 조후 모리[* 長府藩. [[조슈번]]의 지번(支藩)으로 초대 번주는 [[모리 히데모토]]다.] 저택[br](현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롯폰기]]) || ||<|2> '''사망''' ||[[1912년]] [[9월 13일]] (향년 62세) || ||[[도쿄부]] [[도쿄시]] [[아카사카|아카사카구]] 신사카초[br](현 [[도쿄도]] [[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아카사카]] 8초메) || ||<|4> '''재임기간''' ||제3대 대만총독 || ||[[1896년]] [[10월 14일]] ~ [[1898년]] [[2월 6일]] || ||제10대 가쿠슈인 원장 || ||[[1907년]] [[1월 31일]] ~ [[1912년]] [[9월 1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노기 시즈코 (1859~1912)[* 결혼 전의 이름은 유지 시즈코. 노기를 따라 [[동반자살]].] || || '''자녀''' ||장남 노기 가쓰스케 (1879~1904)[*A [[러일전쟁]] 도중 전사.][br]차남 노기 야스스케 (1881~1904)[*A][br]장녀 노기 츠네코 (1885~1886)[br]삼남 노기 나오스케 (1889~1889) || || '''작위''' ||[[남작]] (1895~1907)[br][[백작]] (1907~1912) || || '''약력''' ||제3대 [[대만총독부|대만총독]] [br] [[가쿠슈인]] 원장 || || '''서훈''' ||서보장[ruby(瑞宝章, ruby=ずいほうしょう)][*훈일등 서보대수장(瑞宝大綬章)] [br] 금치훈장[ruby(金鵄勲章, ruby=きんしくんしょう)] [br] 욱일장[ruby(旭日章, ruby=きょくじつしょう)][*훈삼등 욱일중수장(旭日中綬章)] [br] 푸르 르 메리트([[독일제국]]) [br] [[레지옹 도뇌르 훈장]]([[프랑스]]) [br] 메리트 훈장([[칠레]]) [br] 루마니아의 별 대십자 훈장 ([[루마니아 왕국]]) [br] 로열 빅토리아 명예 대십자 훈장 ([[영국]]) [br] 바스 기사단 명예 대십자 훈장 ([[영국]]) || ||<-2> '''군사 경력''' || ||<|2> '''복무''' ||[[일본제국 육군]] || ||[[1871년]] ~ [[1908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 '''주요 보직''' ||보병제14연대장 [br] 제5연대장 [br] 제1연대장 [br] 제2사단장 [br] 제11사단장 [br] 제3군사령관 || || '''참전''' ||[[보신 전쟁]][br][[세이난 전쟁]][br][[청일전쟁]][br][[러일전쟁]] ||}}}}}}}}} || [목차][clearfix] == 개요 ==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활동한 [[일본 제국]]의 군인. [[러일전쟁]] 당시 활약으로 [[도고 헤이하치로]]와 함께 '해군의 도고, 육군의 노기'라고 불렸다. == 생애 == === 어린 시절 === [[1849년]] [[조슈 번]]의 지번(支番)인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D%9B%84_%EB%B2%88|조후 번]] 출신. 하급 무사 [[https://ja.wikipedia.org/wiki/%E4%B9%83%E6%9C%A8%E5%B8%8C%E6%AC%A1|노기 마레쓰구]]의 3남으로 태어났다. 그 위로 배다른 형 2명이 있었지만 모두 어린 나이에 숨을 거두어 마레스케가 장남 역할을 하였다. 아명은 나키토(無人)였지만 유소년기에 이름을 여러 번 바꾸었다. 1864년(15세) 4월, [[요시다 쇼인]]이 사망한 후에 송하촌숙를 이어받아 운영하던 [[https://ko.wikipedia.org/wiki/%EB%8B%A4%EB%A7%88%ED%82%A4_%EB%B6%84%EB%85%B8%EC%8B%A0|다마키 분노신]]의 문하생으로 입학했는데 노기는 다마키와 친척 관계였다. 이때 [[타카스기 신사쿠]]와 [[기도 다카요시]], [[이토 히로부미]] 등 메이지유신을 이룬 유신지사들이 [[요시다 쇼인]]의 제자이자 송하촌숙의 선배였으므로 인맥을 쌓았다. 그해 10월부터는 [[조슈 번]]의 번교 명륜관에 통학했다. [[1865년]](16세) 쵸후 번 출신이 조직한 보국대(保國隊)라는 [[민병대]]에 들어가, [[타카스기 신사쿠]]가 창설한 기헤이타이(奇兵隊)의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지휘하는 부대와 합류해서 제1차 [[조슈 정벌]]에 참가했다. === 일본군 경력 === [[메이지 유신|메이지유신]]을 거쳐 신정부군이 창설되자 [[일본 육군|육군]]에 소속, [[1871년]](23세)에 육군 [[소좌]]([[소령]])로 임관, 이후 평생 사용할 이름 '마레스케'로 개명했다. 1865년에 쿠데타로 조슈번의 정치상 실권을 잡은 [[타카스기 신사쿠]]나 [[이토 히로부미]] 등이 송하숙촌의 선배였으므로, 그 인맥에 많이 도움받아 빨리 출세할 수 있었다. [[1877년]](28세), [[세이난 전쟁]]에 참전. 군기를 [[사이고 다카모리]]군에게 빼았겼다. 이때의 패배는 노기의 자존심에 씻을수 없는 상처를 남겼으며, 죽을때까지 괴로워했다고 한다.[* 그가 남긴 유서에는 자신의 경력 중 수치스러운 부분에 대해 사죄하는 내용이 있는데, 제일 먼저 언급한게 이 사건이다. 두번째는 후술할 러일전쟁 때 수많은 젊은이들을 죽게 만든 것.] [[1887년]](38세), 승려 [[https://ja.wikipedia.org/wiki/%E4%B8%AD%E5%8E%9F%E3%83%88%E3%82%A6%E5%B7%9E|나카하라 도주]][* 임제종 승려로 도주(鄧州)는 [[법명]]이다. 난텐보(南天棒)라는 별호로 저작을 집필했기에 '난텐보'란 이름으로도 유명하다. 실은 난텐보는 도주가 들고 다니던 방망이의 이름인데 이것이 도주의 필명 겸 존칭이 된 것.]와 [[도쿄]]의 도린사(道林寺)에서 처음으로 만났다. 이때 도주는 욕설하는 등 영 승려답지 않아서 노기가 만나 본 뒤 실망했다는데 나중에 다시 만나 "칼의 평정심을 알려주십시오."라고 청하자 도주가 "그렇다면 내 앞에서 칼을 써 봐라."라고 했다고 한다. 노기가 머뭇거리자 도주는 "너 같은 놈이 여단장이랍시고 군인 정신을 운운하다니 사이비 무사다!" 하면서 들고 있던 방망이(난텐보)로 때렸다고... 노기는 그 후 도주 밑에서 칼 수행을 하고 도주는 노기를 인정하여 석초거사(石樵居士)란 호를 주었다고 한다.[* 석초(石樵)란 말은 '돌 장작'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돌이 장작이 될 리가 없으니 선승다운 역설적인 작명이다.] 노기는 이후 도주에게서 정신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았다. [[1894년]](45세), [[청일전쟁]]에서 [[메이지 덴노]]에게 신임받았다. [[청일전쟁]] 이후 소장에서 중장으로 승진하고 1896년부터 98년까지 [[대만일치시기|대만총독을 지냈으나,]] 대만 내 한족들의 봉기를 제대로 진압하지 못하고 사임했다. [[1904년]](55세), 육군 대장으로 승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참전하여 [[203고지]], [[뤼순 공방전]]을 지휘했다. [[러일전쟁]]의 승리에 공헌했지만 [[반자이 돌격]] 같은 무모한 공격을 하여 [[일본군]]의 희생이 너무 컸기에 경질론이 대두되기도 했을 정도였다.[* 1차 공세에서만 제3군의 당시 전체 병력 5만 9백 명 중 사상자가 1만 5천 명, 3차 공세 때에는 5만 9천여 명이었다. (전사 1만 5390명, 부상 4만 3814명.)][* [[일본 해군]]은 원래 203고지만 점령하고 그곳에서 함대에 포격을 가해 달라고 부탁했다. 그런데 만주군 총사령관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95%BC%EB%A7%88_%EC%9D%B4%EC%99%80%EC%98%A4|오야마 이와오]]와 참모장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B%8B%A4%EB%A7%88_%EA%B2%90%ED%83%80%EB%A1%9C|고다마 겐타로]], 제3군 사령관 노기 마레스케 모두 뤼순항 전체를 점령해야 한다고 했고 상부에서도 빨리 점령하라고 계속 닦달하는 등 피해를 키웠으니 굳이 노기만 무능하다고 할 수는 없었다.] [[봉천 전투]]에서, 러시아군 지휘부도 무능하긴 했지만, 뤼순을 점령한 후 엄청나게 소모된 3군 소속 병력 3만 8천을 이끌고 거의 단독으로 3배가 넘는 러시아군과 4일간 격전을 치르며 전진하여 결국 [[봉천]]에 다다르기도 했으므로 아예 무능하다고 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그리고 두 아들이 전사하는 개인으로서 슬픔을 겪었다. 당시 전사자들의 유족들이 노기를 죽일 기세로 몰려 들었으나 노기도 아들 2명이 전사했기에 넘어간 일도 있다. 당시 항구에 몰려있던 유가족들이 배에서 내리는 노기에게 달려들었으나, 노기의 양 손에는 두 아들의 뼛가루가 담긴 병이 들려있었다 한다. 노기는 자기 지휘 아래에서 젊은이 수만 명이 목숨을 잃었음에 관해 평생 죄책감을 느꼈다. 유가족들에게 눈물을 흘리며 사과하거나 전사자들을 배려해 많이 기부하고 많이 문병하기도 했고 팔다리를 잃은 군인들을 배려해 의수를 만드는 데 참가하기도 했다. 뤼순 공방전에서 다수의 불필요한 전사자가 발생했음에 책임지고 [[자살|자결]]하려 했으나 [[메이지 덴노]]가 "내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허락할 수 없다."라고 하면서 만류했다. 1907년(58세)에는 [[일본 황실|황족]]과 [[화족]] 전용의 관립학교 [[가쿠슈인]][* 패전 후 [[사립학교]]로 전환되었고 평민에게도 개방되었다. 단 말이 평민이지 여전히 상류층, 부유층들이 많이 다닌다.]의 원장이 되었다. 이것은 [[메이지 덴노]]의 뜻이기도 했다. 메이지 덴노는 미래의 덴노가 될 황태손 [[히로히토]]가 노기에게 교육받기를 원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1912년에 죽을 때까지 원장직을 맡았다. 노기 원장 시절에 히로히토 황태자, 훗날 히로히토 황태자의 비가 된 [[구니노미야 나가코]], 나가코의 사촌언니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이방자]]) 등이 가쿠슈인에 다녔다. [[이방자]] 여사는 1984년 [[경향신문]]에 연재한 회고록 <세월이여 왕조여>에서 "가쿠슈인은 교칙이 까다로워 화려한 옷이나 [[리본]] 등을 허용하지 않았다.", "노기 장군은 매우 엄격하고 완고해서 여학생도 남학생처럼 취급했다." 하고 학창시절을 회고했다. [[히로히토]] 황태손(미래의 [[쇼와 덴노]])에게도 매우 엄격히 교육했다. 아프거나 비가 오지 않는 이상 걸어서 등교하게 하고 [[히로히토]]에게 자신을 보면 언제나 경례하라고 지시했다. 이때 활력 없는 히로히토에게 체육을 많이 교육할 것도 지시하였다. === 죽음 === [[1912년]] [[7월 30일]] [[메이지 덴노]]가 죽었다. 노기는 [[9월 10일]] 히로히토를 알현하여 자신은 히로히토를 교육하고자 새로 조직한 어학문소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고 면학하시라고 전하며 [[https://ko.wikipedia.org/wiki/%EC%95%BC%EB%A7%88%EA%B0%80_%EC%86%8C%EC%BD%94|야마가 소코]]와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C%95%BC%EC%BC%80_%EA%B0%84%EB%9E%80|미야케 간란]]의 역사책을 각각 1권을 선물했다. 이때 히로히토는 노기의 태도에서 뭔가 심상치 않음을 느꼈는지 "각하께서는 어디로 가시려 합니까?"라고 물었다고 한다. [[9월 13일]] [[메이지 덴노]]의 장례식이 진행되는 중에 노기는 자택에서 군복을 벗고 소복으로, 아내 [[https://ja.wikipedia.org/wiki/%E4%B9%83%E6%9C%A8%E9%9D%99%E5%AD%90|노기 시즈코]]는 검은 상복으로 갈아입었다. 노기 부부는 2층 거실에 들어가 메이지 천황의 어진과 러일전쟁에서 전사한 두 아들의 초상 앞에 절을 올린 다음, 장례식 종이 울리는 때를 맞춰 자결했다. 시즈코가 먼저 노기에게 도움받아 목을 단도로 찔렀고 노기는 유서 10통과 <사세의 노래>라는 [[와카]] 1수를 남기고 [[할복]]했다. (이때의 행적은 노기 사후에 도쿄 [[경시청]]이 조사하여 알려졌다.) 노기가 쓴 유서에 '내가 유서에서 언급하지 않은 것은 아내 시즈코의 판단에 맡긴다.'는 구절이 있으므로, 노기가 처음 유서를 쓸 때만 해도 시즈코가 함께 순사할 계획은 없었던 듯하다. 노기는 유서에서 다음과 같은 뜻을 밝혔다. '1877년 [[사이고 다카모리]]에게 연대기를 빼앗긴 후부터 자결을 고려해 왔다. 나는 늙었고 자식들도 잃었다.[* 노기는 3남 1녀를 두었으나 장남과 차남은 전사했고 3남과 딸은 요절했다.] 내 시신을 의학 연구용으로 기증한다.' 노기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A%B0%80%EC%82%AC%EC%99%80%EB%9D%BC_%EB%82%98%EA%B0%80%EB%82%98%EB%A6%AC|오가사와라 나가나리]] 해군 대령과 [[다나카 기이치]] 육군 소장에게도 각각 유서를 남겼다. 사세의 노래에는 자신의 죽음이 군주의 죽음을 따르는 [[순사#s-2]]라고 알리는 내용이 있었는데 순사는 이미 [[에도 막부]]에서 1663년에 금지한 것이었다. 노기의 순사가 알려지자 [[니토베 이나조]], 미야케 세스레이 같은 인물들은 "무사가 지킬 충성의 모범으로 국민과 군대에게 큰 교훈을 주는 행동"이라고 극찬했고 노기에게 큰 영향을 준 승려 나카하라 도주(난텐보)는 노기의 장례식에 "만세! 만세! 만세!" 세 마디를 조전으로 보냈다. 하지만 당시 리버럴 언론은 노기의 자살을 야만스러운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아사히 신문]]은 "아무런 교훈을 주지 못하는 해로운 행위"라고 비판했으며 [[마이니치 신문]]은 "어리석고 무의미하며 죽는 것만을 충의인 줄 아는 행동이고 국제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일대 죄악을 장려한다." 평했다. 한편 스승의 죽음을 전해 들은 [[히로히토]]는 눈물을 쏟아 내면서 아무것도 말하지 못했고 [[이방자]] 여사도 이때 크게 충격받았다고 한다. 노기의 집은 [[시모노세키시]] 조후라는 곳에 아직 남아서 현재까지도 매년 [[9월 13일]]에 제사를 지낸다. 명장으로 우상화하는 것을 계기로 노기의 이름을 따 일본 내 각 지역에 여러 노기 [[신사(신토)|신사]]가 생겼다. [[일제강점기]] 현재의 [[서울특별시|서울]] [[남산(서울)|남산]] 자락 남산원 자리에 [[경성신사]]의 부속시설로서 노기신사가 있었다.[* 당시 [[경성신사]]는 식민지 조선 전역에서 8곳밖에 없는 국폐소사이기도 했다.] 도쿄도 미나토구에 그의 이름을 딴 언덕인 노기자카가 있다. [[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노기자카역]]과 인접지이고, 노기신사도 근처에 있다. 결과적으로 보면 [[노기자카46]]의 이름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 노기 마레스케가 등장하는 작품 == * [[시바 료타로]] - 소설 [[언덕 위의 구름]], [[순사]](殉死) * 드라마 [[언덕 위의 구름(드라마)|언덕 위의 구름]] - [[에모토 아키라]]가 연기했다. * [[나츠메 소세키]] - 소설 [[마음(소설)|마음]] * 영화 <[[203고지(영화)|203고지]]> [[분류:에도 시대/인물]][[분류:일본 제국의 군인]][[분류:대만총독]][[분류:1849년 출생]][[분류:1912년 사망]][[분류:미나토구(도쿄) 출신 인물]][[분류:할복한 인물]][[분류:인물신]][[분류:정2위]][[분류:모리 가문 가신]][[분류:일본의 백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