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盧旦}}} [목차] == 개요 == 고려의 문신. == 생애 == [[문종(고려)|문종]] 2년(1065) 6월 왕이 문덕전에서 직접 복시를 보는데 시어사 노단이 왕에게 일을 아뢰다 심기를 거스른다. 왕이 노단을 끌어내고 관복을 벗겨 포박하려 하니 평장사 [[최유선]]이 신하의 죄를 묻는 것은 헌사([[사헌부]])에 맡겨야 한다고 만류한다. 왕은 화가 풀렸지만 그날 과거는 중단됐고 노단은 다음날 시어사(종5품)에서 도관원외랑(정6품)으로 [[강등]]된다. 문종 27년(1073) 중서사인으로 태복경 [[김양감]]과 [[북송]]에 사은사로 다녀온다. 문종 28년(1074) 상서예부시랑 우간의대부를 시작으로 한림학사, 직문하성 등을 역임한다. 문종 32년(1078) 병부상서로 있을 때 북송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서교정(西郊亭)에 머무른다. 문종 35년(1081) [[여진족|서여진]]의 만두(漫豆) 등이 가족을 데리고 고려에 투항한다. 예빈성에서는 옛 제도에 따라 고려인이나 송인을 제외한 여진인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아뢴다. 그러나 노단이 > 만두 등은 비록 무지한 속인일지라도 의(義)를 사모해 왔으니, 막을 수는 없습니다. 마땅히 산남의 주현에 살게 하며 호적에 편입시키소서. >(漫豆等雖無知之俗, 慕義而來, 不可拒也. 宜處之山南州縣, 以爲編戶.) 라며 여진족을 포용해야 한다고 아뢰니 왕은 노단의 청을 따른다. 같은 해 우복야 한림학사승지에 오른다. 지공거로 문종 34년(1080) 김상제(金尙磾) 등을, 선종 2년(1085) 김준(金晙) 등을 급제시킨다. [[선종(고려)|선종]] 3년(1086) 상서좌복야 참지정사에 오르고 곧 은퇴하는데, 이 시기에 [[사학 12도]]의 하나인 광헌공도(匡憲公徒)를 창립한 것으로 보인다. 선종 8년(1091년) 죽고 광헌(匡獻)의 시호를 받는다. [[분류:고려의 인물]][[분류:장연 노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