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섬들)] [include(틀:한강의 섬)] [[파일:external/www.ecotiger.co.kr/8769_7764_2032.jpg]] [목차] == 개요 == ||<:><-2>[include(틀:지도, 장소=노들섬, 높이=300px, 너비=500)] || [[서울특별시]] [[한강]] 위에 있는 [[하중도|섬]]. [[동작구]]와 [[용산구]] 사이에 있으며 섬 사이로 [[한강대교]]가 지나간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용산구 [[이촌동]]에 속해 있다. 원래 이름은 중지도(中之島)[* [[일본어]]로 읽으면 나카노시마(なかのしま). 일본의 하중도엔 이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오사카]]의 하중도 나카노시마가 있다.]였으나 [[1995년]] [[역사바로세우기]]가 시행되면서 기존의 일본식 지명에 대한 개선사업이 이루어졌는데 이 때 노들섬으로 개명되었다. == 역사 == 지명은 옛부터 용산 맞은편을 노들, 노돌이라 부른데서 유래한다. 일설에 따르면 노들의 사전적 의미는 '백로(鷺)가 노닐던 징검돌(梁)'이란 뜻으로 태종 14년(1414년), 노들에 나루(津)를 만들어 노들나루라는 이름이 퍼지게 되었으니 그것이 오늘날의 노량진(鷺梁津)이다. 노들섬은 원래 용산, 특히 이촌동 쪽에 붙어있는 넓은 백사장이었지만 1917년 일제강점기 [[한강대교|이촌동과 노량진을 연결하는 철제 인도교]]를 놓으면서 모래 언덕에 석축을 쌓아 올려 인공섬을 만들고 중지도(中之島)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광복 이후 6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여름에는 피서지와 낚시터로,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으로 시민들이 애용하는 유원지였다.[* 2000년대에 다시 스케이트장을 부활시켰다. 이용료는 서울광장과 똑같이 1회 1시간당 1000원이다.] 그러다 1968년부터 시작된 한강개발계획으로 유원지의 기능을 상실했는데 오늘날 이촌동 인근에 둑을 쌓아 안쪽을 메우고 그 위에는 도로(강변북로)를 세우는데 필요한 자재로 이 일대의 모래가 쓰인 것이다. 이렇게 해서 동부이촌동과 서부이촌동이 생겨났는데 반대 급부로 사라진 모래밭에 강물이 들어와 섬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발길이 끊어지게 되었다. 한강개발이 한창 이뤄지던 1969년에는 한강개발관광(훗날의 [[진흥기업]])이라는 회사가 2억을 들여 섬이 된 모래밭 주변을 매립하였는데 이후 공유수면매립법에 의거하여 1973년, 건설부의 인가를 받아 노들섬을 소유하게 되었다. 이 매립공사로 섬의 크기가 1만여평에서 4만5천여평으로 확장되었고 시멘트 둔치가 생기면서 현재의 노들섬이 완성됐다. 1986년에는 진흥기업이 [[건영]]에 노들섬을 37억에 매각하여 소유권이 건영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 후 오랫동안 건영의 사유지였던 것을 2005년 서울시가 오페라 하우스 건립을 위해 274억원에 매입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노들섬 개발 == === 한강예술섬 계획 (2005년~2011년) === [[파일:노들섬_오페라하우스.jpg|width=600]] △오페라하우스 조감도 서울시는 노들섬을 매입한 뒤, 계획대로 오페라 하우스를 건설하기 위해 발주를 준비했고 2010년에서야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될 조짐이 보였다.[[https://www.mk.co.kr/news/home/view/2005/02/56999/|#]][[https://www.nocutnews.co.kr/news/4166150|#]] 하지만 서울시의회가 서울시의 부채가 '''25조 원'''이라는 이유로 재단법인 한강예술섬 설립.운영에 관한 조례를 폐지해버리면서 좌초 위기에 놓였고 사실상 재원마련을 위한 길이 막혀버렸다.[[http://news.kbs.co.kr/news/view.do?ncd=2160174|#]][[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006231297k|#]][[http://www.s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8|#]] 그래도 어찌됐든 오페라 하우스 건설을 위해 274억원에 노들섬을 매입했다. 하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있었다. 우선 이곳은 서울의 중심지로 가는 관문 중 한 곳이여서 오페라 하우스가 열리면 바로 교통량 헬게이트가 터질 것이라는 여론이 우세했다. 실제로 여긴 평시에도 출퇴근길이 미어터지는 곳으로 유명하다. 토목적인 면에서도 노들섬에 오페라하우스 같은 거대 건축물을 짓는 것은 무리수인 면이 있다. 노들섬은 원래 지반이 갖추어진 섬이 아니라, 백사장이던 곳에 다리 건설을 위해 석축을 놓은 것에 불과하다.[* 오히려 밤섬이 기반암을 바탕으로 형성된 섬이다. 여의도 개발 과정에서 윗부분을 폭파하긴 했지만] 즉 섬 전체가 모래사장 위에 얹혀 있는 상태. 이런 지역에 대형 건축물을 짓게 되면 안전 문제를 피하기 어렵고, 억지로 짓는다 하더라도 섬의 현재 모양을 다 뒤집어 엎는 수준의 기초작업을 해야 해서 굉장히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이런 비판과는 별개로 [[오세훈]] 시장이 [[무상급식]] 문제로 돌연 자진사퇴하면서 사업 계획 자체가 무산되고 말았다. === 노들섬 텃밭과 노들꿈섬 (2011년~2023년) === [[오세훈]] 시장이 물러나고 [[박원순]] 시장이 새로 취임하게 된다. 박원순 시장은 오페라 하우스 건립 사업을 백지화하였다. 이유로는 전체 6,000억 원이 넘는 공사 비용과 교통 대책 미흡 등을 꼽았다. 대신 2012년부터 노들섬의 2만여㎡ 크기의 옛 테니스장 부지에 농업 공원을 임시로 조성하여 시민에게 1년 단위로 한 두어 평씩 도심 텃밭을 분양했다. 텃밭은 한강대교 기준 서쪽에 있으며, 동쪽에는 출입이 통제된 채 자연 녹지로 되어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499954|#]]. 그러나 텃밭 분양 이후 방문객 감소로 정책의 실효성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2012년 국정감사에서는 이를 지적한 바 있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2101022363353352|#]] 물론 애초 정책 취지가 노들섬을 관광지로 히트시키겠다는 것 보다는 적절한 개발로 흉물이 되지만 않게 유지한다는 차원이었으므로 방문객 숫자에 연연할 부분은 아니다. 이후 베이퍼웨어에 빠진 노들섬의 활용방안을 위해 전문가도 초청하고, 시민 의견도 듣고 수십차례 토론회 등을 열었으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은 나오지 않았고, --개중에는 오페라하우스 다시 지으란 소리도 있었다-- 2015년 6월부터 시민들을 상대로 아이디어 공모전에 나서게 되었다. [[2015년]] [[11월 24일]], 서울시가 ‘노들꿈섬 운영계획, 시설 구상’ 최종 당선작으로 어반트랜스포머팀의 ‘밴드 오브 노들(BAND of NODEUL)’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들섬을 음악을 매개로 한 복합 문화 기지로 재탄생시킬 것이며 201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490억 원 정도로 과거 한강 예술섬 사업비가 최대 1조 원에서 최소 6천억 원인 것보다 훨씬 줄어들었다. [[파일:노들섬_음악공원.jpg|width=600]] △조감도 [[파일:노들마을.jpg|width=600]] △완공 후 모습 [[2019년]] [[9월 28일]] 개장하였다. 하지만 디자인에 대해서 불호가 많았다. 도시 어딘가에 있을 흔한 창고를 때어다 놓은 것 같은 성의없는 디자인에 꿈은 커녕 메마르고 딱딱한 분위기에 공연장이 있는지나 의심이 들 정도로 별볼일 없다는 평이였다. 더 최악의 경우에는 아예 교도소라고 폄하되기도 했다.[[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9607197&memberNo=34429994&vType=VERTICAL|#]] 이 때문에 오페라하우스가 무산된 것 때문에 관광객 유치를 못 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이 지역 교통량을 생각하면 맥을 끊는 오페라하우스 건설 사업은 궤변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정작 바뀐 계획 역시 라이브콘서트 등을 여는 음악복합기지이고 실제로 현재 꽤나 붐비는 현실을 볼 때 오페라하우스는 사람 몰려서 못 짓는다면서 라이브콘서트장을 짓는게 말이 되느냐는 반박도 존재한다. 오페라하우스를 반대할 당시 "노들섬은 주차가 안 되는데 대형시설에 당연히 필요한 주차를 허용했다면 안 그래도 지금도 정체되는 한강대교를 중심으로 남북 모두 교통이 난장판이 될 것은 불보듯 뻔하다." 라는 등의 의견을 들었으나, 오페라하우스보다 더 사람이 몰리는 라이브콘서트장을 지은 시점에서 교통량이 많으니 오페라하우스를 지으면 안 된다는 반대는 반대를 위한 반대였을 뿐이었다는 의견이 있다.[* 시민들의 취향을 생각해봐도 오페라가 취미인 사람이 라이브콘서트 관람이 취미인 사람보다 적은 편인데 사람이 몰린다는 이유로 전자를 폐기했으면서 사람이 더 몰리는 후자를 밀어붙여 완성한건 코미디 수준이다.] === 공공분야 디자인 혁신 시범 사업 (2023년~) === [[파일:노들_예술섬_구상안.png|width=600]] [[2023년]] [[2월 9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방안’을 발표하며, 공공 분야 디자인 혁신 시범 사업을 노들섬에 최초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요약하자면 선(先) 디자인, 후(後) 행정이다.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은 건축물을 짓는 것보다 예술성과 상징성을 갖춘 공공건축물을 조성하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지금까지 서울시의 관례는 사업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수립한 규모에 맞춰서 공사비를 먼저 책정하고, 예산에 맞춘 디자인과 공사를 진행한 탓에 창의성이 부족한 공공건축물을 만들 수밖에 없었다.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은 '기획디자인 공모'를 실시하여 창의적인 디자인과 콘텐츠를 먼저 확정한 후, 이에 맞는 적정 설계비와 공사비를 책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서울시는 이미 세계적으로 검증된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영국), 위르겐 마이어(독일), 김찬중(한국) 등 국내외 건축가를 초청하는 지명 공모 방식으로 노들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명된 건축가들은 노들섬 및 한강 일대 답사를 마치고 디자인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자연과 예술, 색다른 경험이 가득한 한강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목표로 공중에서 한강을 조망하게 하는 ‘스카이 트레일’과 한강을 유람하며 문화 체험을 하도록 하는 ‘아트 브리지’, 한강의 석양을 배경으로 하는 ‘수상 예술 무대’ 등을 신설해 노들섬의 디자인을 개선할 예정이라고 한다.[[https://www.sedaily.com/NewsView/29LOO438ER|#]] [[2023년]] [[4월 20일]], 서울시청 본관에서 ‘노들 글로벌 예술섬 디자인 공모 대시민 포럼’을 개최해 건축가 7명이 각자 자신의 노들섬 개발 구상안을 발표했다. 원래 서류만 제출하던 공모전을 발표회 형식으로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동시에, 지명된 건축가들도 서로의 의견을 한자리에서 들을 수 있는 방식의 포럼이다.[* 초청된 건축가 중 한 명인 토마스 헤더윅도 발표 당시에 밝혔던 소감으로, 공모전에 참석한 건축가들의 얼굴 하나 못보던 기존 관행과 달리 처음으로 서로 대면하고 서로의 다양한 시각과 생각을 알아갈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고 밝혔다.] 사업계획을 수립한 후 디자인이 이뤄지는 기존 관행과는 달리, 기획 단계에서 사전공모를 추진하여 디자인 우선의 행정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앞으로 6월 공개된 디자인안에 대한 전문가 자문과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투자심사, 공유재산관리 계획 등 예산확보를 위한 사전절자 또한 순차적으로 진행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https://m.sedaily.com/NewsView/29ODL5DKSN#cb|기사]] [[https://www.youtube.com/live/QT34MK7LDnY?feature=sha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작품발표영상]] [[2023년]] [[4월 25일]], [[https://www.youtube.com/@seoullive|서울시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총 7개의 노들섬 개발 구상안 소개 영상을 각각 업로드하여 공개했다. 이 중에서 예산 500억원 이하의 사업은 내년까지 기본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내년 말에 착공이 가능하지만, 500억원 이상 사업은 2025년 착공해 2028년 준공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홍선기 미래공간기획관에 의하면 건축가별로 600억원에서 최대 1조원까지 다양한 예상안이 제시되었고[* 이는 기존의 시설물을 철거하는 비용 유무도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개발안 별로 기존 시설물을 그대로 활용하는 개발안과 철거하는 개발안 중에 그대로 사용하는 개발안은 5개이다.] 사업규모가 다양해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우선 추진 가능한 사업은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EB%85%B8%EB%93%A4%EC%84%AC-%EB%AF%B8%EB%9E%98-%ED%95%9C%EB%88%88%EC%97%90-7%EA%B0%9C-%EA%B3%B5%EB%AA%A8-%EB%94%94%EC%9E%90%EC%9D%B8-%EC%9E%91%ED%92%88-%EA%B3%B5%EA%B0%9C/ar-AA1a7u4H|#]] 서울시는 이를 고려해 노들섬을 디자인 혁신 시범사업지로 선정하면서 제시한 6개 기본구상안(아트 브릿지·노을 전망대·바운드리스 쇼어·팝업 월·수상 예술무대·기타 자유제안)을 바탕으로 제안된 안에서 일부 시설을 추려내 먼저 사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 개발 구상안 7 작품 #==== * '''토마스 헤더윅 - Soundscape''' [youtube(iFvxgvj5KUY,width=600)] [[파일:토마스 헤더윅_Soundscape4.jpg|width=600]] 7개의 개발안 소개 영상 중에 가장 많은 지지와 반응을 받은 영상으로, 외국 건축가 그룹들 중에서 유일하게 자체적인 한글자막을 지원한다. 기존 노들꿈섬의 시설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외국에서는 건축가의 전작 중 하나인 리틀 아일랜드와 닮았다고 하여 빅 아일랜드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공모전 설명서의 분량은 103 페이지이다. 산정된 건축비용은 총 1조 5천억원이다. * '''김찬중 - Nodeul (r)ing''' [youtube(P0w1mALbHe4,width=600)] 소개영상들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익살스러운 소개영상이 특징이다. 기존 노들꿈섬의 시설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공모전 설명서의 분량은 55 페이지이다. 산정된 건축비용은 총 2,450억원이다. * '''위르겐 마이어 - Nodeul Art Island''' [youtube(g7oHRsyFO14,width=600)] 발표회와 연동하여 사용된 소개영상으로, 한글자막을 지원하지 않는다. 기존 노들꿈섬의 시설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공모전 설명서의 분량은 37 페이지이나, 유일하게 이미지 없이 텍스트로만 이루어져있다. 산정된 건축비용은 총 7,211억원이다. * '''BIG - The Ripple''' [youtube(zV1hq_JroUY,width=600)] 한글자막을 지원하지 않는다. 기존 노들꿈섬의 시설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공모전 설명서의 분량은 103 페이지이다. 산정된 건축비용은 총 770억원이다. * '''강예린, SoA - Nodeul Aqua Palette palette''' [youtube(xieNi4AMAf4,width=600)] 7개의 영상 중 분량이 가장 많으며 조용한 분위기에 음성을 지원하지 않는 두 개의 소개 영상 중 하나이다. 기존 노들꿈섬의 시설을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공모전 설명서의 분량은 46페이지이다. 산정된 건축비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 '''나은중·유소래 - 산들노들''' [youtube(L8IwXKmQ7zg,width=600)] 기존 노들꿈섬의 시설을 철거하고 새로운 시설을 개발한다. 공모전 설명서의 분량은 35페이지이며 유일하게 총 공사금액이 기재되어있다. 기존 시설의 철거비용을 포함한 총 공사금액은 3,171억 원이다. * '''신승수 - Bridged Archipelago''' [youtube(wMlgfOFY_xE,width=600)] 7개의 영상 중 분량이 가장 짧으며, 음성을 지원하지 않는 두 개의 소개 영상 중 하나이다. 기존 노들꿈섬의 시설을 철거하고 새로운 시설을 개발한다. 공모전 설명서의 분량은 70~80페이지이다. 기존 시설의 철거비용을 포함한 총 공사금액은 3,066억 원이다. 각 디자인 작품들의 모형과 작품설명 영상들은 [[2023년]] [[5월 18일]]부터 서울시내 곳곳에서 작품 전시회를 통해 볼 수 있게 되었다.[[https://www.c3korea.net/nodeul-global-art-island-design-contest-artwork-exhibition/|#]] 전시는 [[5월 31일]]까지 열렸으며, 예외적으로 야외 열린송현녹지광장에서는 [[6월 30일]]까지 판넬을 전시했다. 각각의 장소는 서울시청 본관 1층 로비[* 이곳에서만 토마스 헤더윅과 김찬중, BIG, 강예린/SoA 총 4팀이 제출한 모형이 전시된다.],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지하 2층 멀티비전실, 노들섬 노들서가, 열린송현녹지광장, 동작구청 1층, 용산구청 2층 민원실 등에서 관람할 수 있었다. 6월 23일자 서울시 내부에서는 2개의 유력한 후보작으로 토마스 헤더윅의 소리풍경과 김찬중의 노들링을 검토 중임이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seoul/2023/06/23/4LFILMT7VBAK7HMPZP4YJ3TJBI/%3foutputType=amp|알려졌다.]] 가장 이상적인 안으로는 토마스 헤더윅의 소리풍경이지만 1조 5척억원이라는 거액이 부담스럽다는 내부의견이 있고, 노들링은 관람차의 운영을 민자로 추진할 수 있어 비용측면에선 유리하지만 정작 노들섬이 아닌 이동수단에만 집중한 계획안이라서 궁극적인 방문 목적이 될 수 없다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서울시에선 상기한 대로 두 계획안을 합치는 절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절충안에 대해서 한 가지 계획안을 집중한 것만도 못한 어중간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https://m.dcinside.com/board/dosimigwan/5590|관련 인터넷 커뮤니티 반응]] == 기타 == 섬 중앙에 1966년 고공 강하 훈련을 하다가 동료 대원의 고장난 낙하산을 펴 주고 추락사한 [[특전사]] 이원등 [[상사]](1계급 특진)의 [[동상]]이 있다. 본래 섬의 서쪽에 있었으나, 라이브 하우스 조성으로 인해 다른 곳으로 이전해 보관하고 있다. 라이브 하우스가 완공됨과 동시에 섬의 동쪽으로 옮겨 설치되었다. 섬 남단에는 한강 결빙 관측장소 표지석이 있다. 1906년 이래 한강의 결빙상태를 확인하는 장소이다. [[무한도전]]이 한때 야외 촬영지로 사용했던 곳 중 하나였다. 2007년 11월 지구특공대 편에서 [[노홍철]]이 "방송국보다 (노들섬에) 더 온다"라 불평했을 정도. 그리고 10여년 뒤, 2016년에 무한도전 퍼펙트 센스에서 헬기 몰카를 촬영하고 [[유재석]]한테 몰카로 '''진짜 헬기'''를 태운 곳이 바로 이곳이다. 원래는 버스가 그냥 지나갔지만 어째선지 오페라 하우스나 다른 계획이 없었던 2009년 9월부터 노들섬에 자체 버스정류장이 생겼다. 아마도 한강대교 [[용산구]] 쪽에 있는 전망대 때문으로 추정되지만, 전망대는 용산구 쪽에 있기 때문에 노들섬 정류장보다는 한강대교 북단[* [[중앙버스전용차로]] 초기에는 한강대교북단이었고 약 1년 후 LG데이콤, 이후 [[LG U+|LG유플러스]]이었지만 2012년 들어 LG U+의 건물 재건축으로 인해 도로 바뀌었다.] 정류장이 훨씬 가깝다. 이 정류장이 생긴 이후로 [[한강대교]] 건너다가 상도터널(노량진동)이나 [[노들역]] 정류장에 내리려는 승객들이 실수로 [[하차벨]]을 눌러서 정차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아니, 오히려 승객이 타고 내릴 때는 없고 이 이유로 정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강대교 상에 이 섬을 지날 때 유턴 구간이 있다. 그래서인지 2006년 12월 [[한강대로]]와 2009년 5월에는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었고, 2011년 3월에는 노량진[[고가차도]]가 철거되었음에도 한강대교 구간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결절구간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01&aid=0009984008|노들섬 개발 완료 시점에 맞춰 이 다리에도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놓기로 했다]]. 한강대교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면 [[서울역]] 앞에서부터 [[대방역]] 앞까지 버스를 탈 경우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이동하게 된다. 개방 이전에는 출입금지라서 섬으로 내려가는 문이 막혀 있었는데, 개구멍을 통해 몰래 들어가서 [[낚시]]를 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조용한 분위기 때문인지 가끔 사물놀이패도 와서 연습을 했다.[* 개방 이전에만 볼 수 있었던 진풍경으로, 개량한복을 갖춰 입은 사물놀이 단원들이 우루루 달려와 [[북]]과 [[꽹과리]]를 들고 담장을 단체로 타 넘는 모습을 지켜 볼수 있었다.] [[서울세계불꽃축제|여의도 불꽃놀이]]를 비교적 한적하게 구경할 수 있는 명소(?)이었기도 하다.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편이었고, 개발이 완료된 지금은 불꽃놀이와 상관 없이 늘 관광객이 많다. 이세계아이돌의 3집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의 뮤직 비디오의 배경 중 하나로 채택되었다. === 둘러보기 === *[[백년다리]] [include(틀:박원순)] [[분류:하중도]][[분류:서울특별시의 공원]][[분류:용산구]][[분류:서울특별시의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