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노르웨이 관련 문서)] ||<-2> '''{{{+1 노르웨이 의회}}}[br]Stortinget[br]Parliament of Norway''' || ||<-2> [[파일:노르웨이 스토르팅에트 로고.svg|width=100%]] || || '''노르웨이어 명칭''' ||Stortinget || || '''영어 명칭''' ||Storting || || '''구성''' ||[[단원제]], [[다당제]] || || '''개회''' ||[[1814년]] || || '''의장''' ||마수드 가라하니 ,,([[노동당(노르웨이)|노동당]]),, || || '''의석''' ||정원 169석 중 재적 169석 || || '''임기''' ||4년 || || '''최근 선거''' ||[[제65회 노르웨이 총선]] || || '''차기 선거''' ||[[제66회 노르웨이 총선]] || || '''의사당''' ||오슬로 국회의사당 || || '''홈페이지''' ||[[https://stortinget.n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르웨이]]의 [[입법]]을 맡고 있는 입법기구이다. [[단원제]]로 전체 의석은 169석이며, '''스트로팅에트(Strotinget)'''라고 한다. == 원내 구성 == [include(틀:노르웨이 의회의 원내 구성)] 2021년 [[제65회 노르웨이 총선]]이 실시되었다. == 임기 및 선출 == 노르웨이는 4년마다 한번씩 이루어지는 총선을 통해 의원을 선출한다. 선거방식은 정당명부식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노르웨이 전역의 19개 주를 선거구로 하여 총 150석 중 각 선거구마다 4석에서 19석까지를 배분받는다. 선거구 의원 배정에 인구뿐만 아니라 면적도 고려되는데, 인구 1명당 1점이고 면적 1km^^2^^당 1.8점이 배분되며 각 선거구는 둘의 합에 비례해 의석을 배분받는다. 이 계산은 매 8년마다 한번씩 한다.(헌법 제57조) 나머지 19석은 전국단위 보정의석으로, 전국에서 4%이상 득표하거나 선거구에서 최소 1석 이상 당선될 경우 전국 지지율에 따라 의석을 배정받을 수 있다. [[의회 해산]]이 없고 완전 [[비례대표제]]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재보궐선거]]는 물론 의회 해산에 따른 조기 선거도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의원이 회기 도중 자의나 타의로 인해 더 이상 직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될 경우에도, 보궐선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리를 소속 정당의 다른 인원이 승계한다. 의석은 생러그 방식으로 분배되며, [[봉쇄조항]]은 전국 득표율 4%이다. [[노르웨이 국왕]]과 [[노르웨이 총리]] 모두 의회해산권이 없기 때문에 의회해산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의원의 임기는 그 의원에게 문제가 없는 한 4년의 임기가 보장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르웨이/정치, version=47, paragraph=3)][[분류:노르웨이의 정치]][[분류:나라별 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