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br][[파일:노무현재단 로고.svg|width=100%]][br]  || ||<-2> {{{#ffffff '''노무현리더십학교''' }}} || || '''설립일''' ||[[2017년]] [[7월 19일]] ,,('''노무현리더십학교'''),, || || '''소속''' ||재단법인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2009년~),,|| || '''이사장''' ||[[정세균]] ,,/ 전 국회의장, 6선 (15-20대),,|| || '''학교장''' ||[[천호선]] ,,/ 참여정부 대변인,,||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73(원서동 106-1))]}}}[[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73|| || '''SNS''' ||[[https://www.facebook.com/rmoohyu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rohmoohyunfoundation/?igshid=14vrs2v6uu9w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무현리더십학교는 노무현재단에서 정치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의 가치와 철학, 업적을 선양하고 유지 계승 발전시켜 그 뜻이 국가의 발전과 민주주의 발전의 중요한 토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부분 친노/친문 계열의 정치인들이 포진되어 있으며, 2017년부터 청년과 고위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역대 이사장으로는 [[문재인]], [[이해찬]], [[한명숙]], [[유시민]], [[정세균]] 등이다. == 역사 ==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을 기점으로 유시민 이사장이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되면서 차세대 정치인을 키워야 한다는 내부적 목소리가 나왔다. 초대 교장으로 노무현 정부 배기찬 전 비서관이 선임되었고, 유시민 작가, 정세균 전 국회의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박원순 전 서울시장,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이 강사진으로 합류했다. == 역대 이사장 == [include(틀:역대 노무현재단 이사장)] ---- * 이사장 * 초대: [[한명숙]] (2009년 ~ 2010년)[* 참여정부 당시 [[국무총리]] 등 역임. 2015년 뇌물 수수 혐의로 피선거권을 박탈 당한 이후에는 야인으로 지내고 있다.] * 2대: [[문재인]] (2010년 ~2012년)[* 전임자 한명숙의 서울특별시장 선거 출마로 취임. 참여정부 당시 [[대통령비서실장]] 등 역임. 노 전 대통령의 사망 3년 후인 2012년부터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고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돼 [[대한민국 대통령]] 자리까지 올랐다.] * 3대: [[이병완]] (2012년 ~ 2014년)[* 전임자 문재인의 총선 출마로 취임. [[참여정부]] 당시 [[대통령비서실장]] 등 역임.] * 4대: [[이해찬]] (2014년 ~ 2018년)[* 전임자 이병완의 [[광주시장]] 선거 출마로 취임. 참여정부 당시 [[국무총리]] 역임. [[더불어민주당]] 전 당 대표.] * 5대: [[유시민]] (2018년 ~ 2021년)[* 전임자 이해찬의 민주당 당 대표 당선으로 취임. 참여정부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 역임. 2013년 2월 정계 은퇴 후 작가로서, 또 방송인이자 평론가로 살고 있다.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맡으며 정계 복귀의 밑밥을 까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지만 본인이 기자회견과 알릴레오 방송에서 재차 부인했다. 2021년 10월 14일 3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다.] * 6대: [[정세균]] (2022년 ~ 현재) == 비전 == ‘사람사는 세상’을 만드는 인재 양성 == 목표 == 1. 노무현 대통령 리더십의 가치와 정신을 체득한 리더 양성 2. 깨어있는 시민들의 조직적 힘을 형성할 리더 육성 3. 바람직한 가치와 지혜, 실질적인 역량을 갖춘 리더십 배양 == 특징 == 1.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리더십 역량 - 노무현 대통령 리더십의 핵심요체를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 노무현 대통령을 직접 경험한 국내 최고의 강사진 2. 토론중심 교육프로그램 - 단순 강의수업이 아닌 토론과 참여방식의 수업진행 - 토론을 통해 진보/보수 프레임에 갇히지 않는 실질적인 리더십 역량 강화 3. 실무중심 교육프로그램 - 리더십의 실질적인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프로그램 - 실무중심의 교육을 통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역량 체득 4. 진로코칭 및 졸업 후 지속적 교류 - 심층면담 및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진로코칭 - 졸업 이후 학교 네트워크를 통한 지속적인 교류 및 역량강화 == 교육프로그램 == 교육과정은 정책역량, 복지국가, 역사, 협상, 글쓰기, 스피치, 비전과 전략 등 폭넓게 운영된다. 강사는 전현직 진보 성향 정치인들이 대거 참여했다. [[유시민]], [[김부겸]], [[이정우]], [[이종석(정치인)|이종석]], [[천호선]], [[강원국]], [[성경륭]], [[조기숙]], [[문정인]], [[배기찬]]과 같은 인사들이 주요 강사진으로 참여했다. == 출신인물 == [[김진옥(1974)|김진옥]] : 전 경남도의원[[https://newsis.com/view/?id=NISX20200611_0001056674&cID=10812&pID=10800|#]] 김창희 : 변호사, 전 부산시 북구의원 김태훈 : 시대전환 최고위원[[https://www.yna.co.kr/view/PYH20221016092100013?input=1196m|#]] [[백재호(1982)|백재호]] : 영화감독[[https://www.yna.co.kr/view/AKR20220922042700051?input=1195m|#]] 이진혁 : 영화감독 이종학 : 시대전환 최고위원[[https://www.yna.co.kr/view/PYH20221016092200013?input=1196m|#]] 장민수 : 경기도의회 도의원[[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1102010000307|#]] 전은수 : 변호사, 한국에너지공단 상임감사[[https://www.news1.kr/articles/?4519515|#]] 조경일 : 작가[[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43560.html|#]] [[최병현(1982)|최병현]] : 시대전환 대표 비서실장,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정무보좌관[[https://www.woman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283|#]] [[한유진(정치인)|한유진]] : 노무현 정부 행정관[[https://www.news1.kr/articles/?3785233|#]] [[황희두]] : 유튜버, 노무현재단 이사[[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209280196|#]] == 기수 회장단 == 통합1기 : 문정훈 청년2기 : 이종학 고위1기 : 전승재 청년3기 : 이연실 고위2기 : 청년4기 : 고위3기 : 김무태 청년5기 : 고위4기 : 고위5기 : 김수한 == 기수 수석 == 통합1기 : 이구현 청년2기 : 최병현 고위1기 : 청년3기 : 고위2기 : 함지윤 청년4기 : 김종경 고위3기 : 이선영 청년5기 : 고위4기 : 편국자 고위5기 : == 여담 == * 진보 유튜버로 활동 중인 황희두는 청년3기 수료생이다. 이례적으로 청년이 노무현재단의 이사직을 맡게되면 이슈가 되었다. 차세대 김어준으로 불리고 있다. * 통합1기 수료생인 백재호 감독은 다큐멘터리 영화 ‘시민 노무현’을 감독하고 제작했다. * 노무현 정부의 ‘비전 2030’을 기획한 [[김동연]] 현 경기도지사(전 경제부총리)가 대선출마를 했을 때 노무현리더십학교 출신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정치리더를 양성한다는 학교의 취지와 맞게 수료생 출신 중 다수가 21대 국회 보좌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https://www.knowhow.or.kr/web/board/boardView.php?pri_no=999444174&meta_id=rmh_leadership&menuId=03040300|#]] [[분류:노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