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테러콘_로고_주황.png|width=50]] }}} || ||<-2> [[파일:ROTB 노바케인.jpg|width=100%]] || ||||<#FF7F00><:>'''{{{#000 {{{+1 노바케인}}} [br]Novakane}}}''' || ||<#FF7F00> '''{{{#000 알트 모드}}}''' ||<(> 총, 포탑[* 영화에서는 단 한 개체도 변신하지 않는다.] || ||<#FF7F00> '''{{{#000 소속}}}''' ||<(> [[테러콘(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테러콘]]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에서 등장하는 테러콘 소속의 [[트랜스포머(트랜스포머)|트랜스포머]]로, [[스커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커지]]의 [[스위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위프]]이다. 테러콘 진영의 양산형 병사로 등장하며 [[프리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프리저]]와 달리 얼굴 한쪽이 파손되어 있다. == 행적 == ===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 [[유니크론(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유니크론]]을 수도성 내지는 모성처럼 여기며 거주하는 생명체로 차량 형태로 변신할 수 없는 대신 리부트 이전 [[블랙아웃(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블랙아웃]]과 [[스콜포녹(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콜포녹]] 등과 비슷하게 [[스커지(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스커지]]의 등을 통해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출동한다. 그 작은 크기 덕분에 인간인 [[노아 디아즈|노아]]와 [[엘레나 월리스|엘레나]]를 추격하는 역할을 하며, 작중의 호러틱한 장면 대부분이 이 스위프들의 지분이 크다.[* 크리처 공포영화를 방불케 하는 추격 씬을 '''겨우 두 마리가 완벽하게 연출했다. 그것도 두 번 씩이나.'''] 후반부의 전투 장면에서는 스커지의 명령을 받고 엘레나를 추적하지만 얼굴에 파이프가 꽂혀 무력화된 상태로 마그마에 빠진다. == 완구 == === [[스튜디오 시리즈]] === * '''코어 클래스 테러콘 노바케인''' [[파일:스튜디오 시리즈 코어 클래스 ROTB 노바케인.jpg|width=700]] 코어 클래스 테러콘 프리저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 == 기타 == * 중국에서 발매한 트레이딩 카드에는 이름이 '노보케인'(Novocaine)으로 쓰여져 있다. 이는 프로카인 마취제의 다른 이름이라 상표권 침해를 받지 않기 위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한 것이다. [[분류: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테러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