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에서 노브 위주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곡을 칭하는 말이다. == 상세 == [[비트매니아]] 계열 게임의 [[스크래치곡]]과 성질이 비슷하나 이보다 개인차가 심한 편이다. 처리방식이 같은 노트인 스크래치와는 달리 아예 일반 노트와 별개의 평면 상에서 좌우 방향을 가리며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 자체가 훨씬 복잡하기 때문이다. 고레벨로 갈수록 모양이 상당히 복잡해져서 어디로 돌려야 하는지 쉽게 알아채기가 힘들며 롱노트 틱이 적용되기 때문에 탈선이 나면 점수와 게이지에서 크게 손해를 보는 데다 비비는 꼼수도 사용할 수 없다. 보통 건반 리듬게임을 하고 온 유저들이 노브를 생소하게 여겨서 노브곡 처리를 힘들어하는 편이지만, 사운드 볼텍스로 건반 리듬게임을 입문한 유저들은 노브에 익숙한 편이라 이에 대해 개인차가 갈리는 편이다. 대신 스코어링 단계에선 대다수의 노트곡보다 쉽다고 평가 받는 경우가 많다. 니어 판정이 존재하지 않고 롱노트처럼 체인이 계속 늘어나는 판정 상 체인 수도 많기 때문. 또한 니어 판정이 존재하지 않는 노브 특성상 UC 난이도와 PUC 난이도가 비슷하다는 것도 특징. [[Sharkbait]] NOV와 같이 노브만 나오거나 [[\#Endroll]] NOV와 같이 노브와 롱노트만 나오는 곡은 아예 UC가 곧 PUC가 된다. S-CRITICAL이 추가된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에서는 S-PUC를 하기 가장 쉬운 것이 노브곡이기도 하다. 실제로 19레벨에서 S-PUC가 최초로 뚫린 곡은 노브곡인 [[Daisycutter]]이다.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기에 스크래치에 비하면 굉장히 다양한 패턴이 나오며, 그 경향도 시리즈 초기에는 자주 바뀌었다. 부스 시기에는 단순히 노브를 많이 넣는 수준이면 노브곡이었으며, 더 나아가 후카세 트랩 같은 간단한 대칭형 낚시패턴이 주를 이뤘다. 인피니트 인펙션부터 [[\#Fairy_dancing_in_lake|물수제비]]나 [[HYENA|16비트 왕복 직각노브]]과 같이 본격적으로 까다로운 노브패턴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그래비티 워즈부터 [[\#Endroll|여러 번의 빠른 손교차]], DNA나 사다리 노브 같이 [[Firestorm|직각과 사선을 마구 섞은 패턴]], 그리고 노브 시작점 부정화를 이용한 낚시가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4볼 이후의 노브곡은 이쪽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보스급 노브곡 일부가 18레벨을 배정받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17레벨에 추가되는 편이다. 그래도 노브 조작 방법은 매우 단순하고 뭉개기 쉽기 때문에 노브곡은 일정 수준 이상 어렵게 짜기 힘들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으나, 19레벨로 등장한 [[Daisycutter]]로 인해 손을 묶어둘 용도의 최소한의 노트만 곁들이면 최고난이도급의 노브곡이 충분히 등장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처럼 노브곡은 점점 참신하면서도 어려운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신곡이나 신패턴이 추가될 때 노브곡이 등장하면 대부분 평범한 지력곡, 노트곡보다 관심을 많이 받는 경우가 많다. 다른 곡에서 보기 힘든 특이한 노브패턴을 보여주는 경우가 잦기 때문. 이러한 특성 때문에 노브곡들은 대체로 [[초견살]]이 강한 편이다. 실제로도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cFltguBvPplBem-x1STHnG3k4TZzFfyNEZ-RwsQszoo/edit?usp=sharing|사운드 볼텍스 비공식 난이도표]]에서도 노브 카테고리에 분류된 곡은 초견살 표시가 붙은 곡이 많다. 노브곡을 주로 제작하는 이펙터에는 [[Hirayasu Matsudo]]를 비롯해 [[레드 핫 스크류즈]]의 다른 명의인 ブルーコールドハリケーンズ(블루 콜드 허리케인즈), [[HYENA]], [[灼熱Beach Side Bunny]]의 이펙터로 유명한 ねちっこく堂(네칫코쿠도), Hermit♣club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노트의 비중이 적은 순수 노브곡 중 보스곡은 [[Daisycutter]]가 꼽히며 그 밑에 [[灼熱Beach Side Bunny]], [[Firestorm]], [[\#Endroll]], [[BEAST BASS BOMB]]을 노브 사천왕으로 친다. 그보다 밑에는 [[Pet Peeve]], [[SHARK ATTACK]], [[Hexennacht]], [[Opium and Purple haze]], [[緋色月下、狂咲ノ絶]] 정도가 순수 노브곡 중에선 고난이도로 평가받는 편. 그 외에도 노브발광이 강력한 노브 위주의 곡은 19~20레벨에도 여럿 존재하나 대체로 [[Chronomia|노브 자체보단 원핸드 처리능력 쪽에 중점]]을 두거나 [[I(BEMANI 시리즈)#s-2|그냥 노트도 같이 어려운 곡]]인 경우가 많다.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에서 게임 엔진 변경으로 노브들의 보정이 대부분 사라짐에 따라 자연스레 노브곡들의 난이도 특히 얼체 이상 난이도가 상승하였다. 보컬곡 중 16레벨 이상의 중~고레벨 이상의 패턴은 대부분 노브곡의 비중이 높은데, 사람이 불러야 하는 특성상 BPM도 낮은 편이고 멜로디에 세세한 비트를 넣는 것이 어려운 편이기 때문에, 난이도를 높이려면 노브 발광이나 낚시로 끌어올리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 노트 위주의 곡도 일부 있긴 하나, 이 경우 애초에 보컬이 아닌 드럼비트나 신스에 패턴을 맞춰 나오는 것이거나, 비트 쪼개기를 위해 이펙트가 지저분하게 느껴질 정도로 다량 들어가있는 곡이다. 하드스타일도 마찬가지. == 목록 == 노브곡 목록. * 노브패턴으로 주목을 받거나 패턴이 특이한 곡은 ★표시 * 처음부터 끝까지 노브곡인 경우 '''굵은 글씨''' === [[사운드 볼텍스 부스]] === * [[香港功夫大旋風]] (06,11,16,17-GRV) ★ : EXH와 GRV 패턴 모두 노브곡 경향이지만 GRV 패턴이 훨씬 심하다. * '''[[GAMBOL]] (dfk SLC rmx)''' (03,09,13,16-INF) ★ : 숫자 노브 패턴이 인상적이다. --판정이 짜지는 않다-- * '''[[니시닛포리의 춤|西日暮里の踊り]]''' (04,07,12,16-INF) * [[세계는 고양이의 것|世界はネコのもの]] (02,06,12) * [[pandora(BEMANI 시리즈)|pandora]] Maozon Remix (02,08,13) * '''[[용골귀전 테마곡|「月風魔伝」龍骨鬼戦 yks Remix]]''' (05,08,13,16-INF) ★ : INF 패턴 * [[Onigo]] (06,11,16,18-HVN) : HVN 패턴 ===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 * '''[[\#Fairy_dancing_in_lake]]''' (03,11,16,18-VVD) ★ * '''[[Profession]]''' (03,12,16) ★ : NOV --노브-- 패턴은 오브젝트가 노브밖에 없다(!) * '''[[\#FairyJoke]]''' #SDVX_Edit (03,11,17) ★ * [[HYENA]] (05,11,17,19-XCD) ★ * '''[[Attack on Dwarf]]''' (04,10,14) ★ * '''[[こちら、幸福安心委員会です。]]''' (02,12,15,18-VVD) : 5볼에서 번외패턴이 추가되었다. * '''[[텐구가 떨어트린 수첩|天狗の落とし文]]''' (02,09,13) * [[赤より紅い夢-Aya2g Tech Dance Remix-]] (04,09,14) * [[ミライプリズム]] (04,08,11,15-INF) : 이 쪽은 [[#Fairy_dancing_in_lake|페어리]] [[#FairyJoke|시리즈]] 친척쯤 되는 채보이다. * [[WAVE]] (03,11,15) * [[患部で止まってすぐ溶ける~狂気の優曇華院]] (05,10,15,17-INF) * [[INSECTICIDE]] (06,12,18,19-HVN) : HVN 패턴 * [[放課後ストライド]] (04,10,16,17-HVN) : HVN 패턴 * [[Booths of Fighters]] (05,11,17,19-HVN) : HVN 패턴 * [[EOS(BMS)|EOS]] (03,11,13,16-GRV) : GRV 패턴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 * '''[[灼熱Beach Side Bunny]]''' (06,12,18) ★ : 투덱의 스크래치곡 명성을 이어 사볼에서도 고난이도 노브곡으로 등장했다. * '''[[Pet Peeve]]''' (04,12,17) ★ * '''[[Firestorm]]''' (06,12,18) ★ * '''[[TU-MA-MI△ALL-NIGHTER]]''' (02,10,16) ★ * '''[[Opium and Purple haze]]''' (05,10,17,18-GRV) ★ : GRV 패턴 일명 아편중력. EXH 패턴은 노트위주의 곡이다. * '''[[\#Endroll]]''' (05,11,18) ★ : 사볼3 엔딩곡--인 주제에 노브곡-- * [[Invitation from Mr.C]] (06,12,18,19-XCD) ★ : 2022년 6월 30일 XCD패턴 추가. 다른 곡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낚시 노브가 특징이다. * [[The Sampling Paradise|The Sampling Paradise (P*Light Remix)]] (05,11,17) : HYENA의 친척쯤 되는 채보 --마침 두 곡의 레벨이 전부 똑같다-- * [[滅亡天使 † にこきゅっぴん]] (04,10,16) * '''[[Lo-Fi-M#s-3|Lo-Fi-M]]''' (05,12,16) * '''[[The setting sun]]''' (06,11,17) * [[DIABLOSIS::Nāga]] (07,13,17,19-GRV) * '''[[AYAKASHI]]''' (05,12,17) * [[Discloze]] (05,10,17) * [[幸せになれる隠しコマンドがあるらしい]] (06,12,16) * [[Blacksphere]] (05,12,16) * '''[[FAKE STYLE II]]''' (04,10,15) * '''[[Issen]]''' (04,09,15) * [[S1CK_F41RY]] (05,11,15) * [[星の器 feat. らっぷびと]] (04,09,16) * [[Fox4-Raize-]] (06,12,18) * [[↓↓↓]] (06,12,18) * [[アナーキーインザ夕景]] (05,12,16) * [[ポメグラネイト]] (04,09,16,17-GRV) * [[ホメ猫☆センセーション]] (04,09,16) * [[バイナリスター]] (03,08,13,17-VVD) : VVD 패턴 * [[常夏!! クリスタライズ・シャーベット]] (05,11,17) * [[Princessどうかお願い!!]] (04,09,15) * [[B.B.K.K.B.K.K.]] (05,11,17,18-XCD) : EXH 패턴. XCD 패턴은 노트 위주이다.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 * [[Juggler's Maddness]] (06,13,16,18-MXM) ★ * [[BEAST BASS BOMB]] (06,11,15,18-MXM) ★ * [[SUPER SUMMER SALE]] (05,11,15,18-MXM) ★ : EXH는 평범한 노브곡이지만 MXM이... 슈퍼 낚시 세일이라 불리는 곡, 문서 참조 * [[JUGGLE]] (04,11,14,17-MXM) * [[TRICKL4SH 220]] (06,10,16,18-MXM) * '''[[永遠に幸せになる方法、見つけました。]]''' (04,10,13,18-MXM) * [[I(BEMANI 시리즈)#s-2|I]] (08,15,18,20-MXM) : 노브곡은 아니지만 암전 이후에 20레벨로서는 전례없는 노브 발광을 선보인 바 있다. * [[OPEN MY GATE]] (05,12,14,18-MXM) * [[Touch My Body(BEMANI 시리즈)|Touch My Body]] (05,12,15,18-MXM) * '''[[https://m.youtube.com/watch?v=-CHPpmD7jm8|Secret Traveler -MeniRemix-]]''' (05,10,14,17-MXM) * [[DropZ-Line-]] (06,12,16,18-MXM) * [[Venomous Firefly]] (06,13,16,18-MXM) * [[ルミナスデイズ]] (04,08,12,16-MXM) * [[Theme of Ricerca]] (06,11,15,18-MXM) * [[デュアルメモリ]] (03,07,13,17-MXM) * [[LastΩmegA]] (06,13,16,18-MXM) : MXM 패턴 * [[Musha Vibration]] (06,12,15,17-MXM) * プレインエイジア(MRM REMIX) (06,12,14,17-MXM) * [[https://m.youtube.com/watch?v=Ja_eRseUPUM|KIRAMEKI OVERDRIVE]] (03,08,13,16-MXM) * [[SACRIFICE feat.ayame]] (05,11,14,18-MXM) * Two of Us (04,08,12,15-MXM) * [[それは花火のような恋]] (06,12,14,17-MXM) : MXM 패턴 * [[All Clear!!]] (05,11,14,17-MXM) * [[\#SpeedyCats]] (06,13,16,18-MXM) * [[Doppelganger]] (06,12,16,18-MXM) * [[怒槌]] (06,12,15,18-MXM) * [[Wings of Glory]] (06,12,15,18-MXM)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 * '''[[Sharkbait]]''' (05,12,15,17-MXM) ★ : 등장하자마자 그 [[Pet Peeve]]의 친구라는 반응이 나올 만큼 센 노브곡이다. 하지만 펫피브와는 노브의 방향성이 약간 다르다. * '''[[Ghost Family Living In Graveyard]]''' (07,14,17,19-MXM) ★ : 러프스케치 곡식 난해한 겹계단에 마츠도의 노브를 끼얹어 엄청난 난이도가 된 곡이다. 게다가 EXH패턴이 펫피브, 부오파, 블오화를 섞은 탈 17레벨급 난이도로 충격을 주었다. * '''[[Daisycutter]]''' (07,14,17,19-MXM) ★ : 마츠도 단독 이펙팅으로는 현재 유일한 19렙 노브곡. * [[ARROW RAIN]] (06,13,16,18-MXM) : 곡의 전개나 보컬, 채보 등등의 이유로 [[SACRIFICE feat.ayame]] 시즌 2로 불린다. * [[On take SUN]] (06,13,16,18-MXM) * [[Into The Madness]] (05,12,14,17-MXM) * [[rE:Voltagers]] (06,13,16,18-GRV) * [[PIZZATIME]] (06,12,15,17-MXM) * '''[[最小三倍完全数]]''' (06,13,16,18-MXM) * '''[[太陽曰く燃えよカオス|太陽曰く燃えよカオス (Sol oscuro ¡Nya! Mix)]]''' (03,11,14,17-MXM) * [[MilK]] (05,11,15,17-MXM) * [[ULTRA B+K]] (05,11,14,17-MXM) * [[She is my wife|She is my wife すーぱーアイドル☆ミツル子Remixちゃん]] (04,10,15,18-VVD) : VVD 패턴 * [[Bioslaves]] (05,12,14,17-MXM) : EXH 패턴. MXM은 축연타 위주의 패턴이다. * [[Our Love]] * [[Circulator]] * [[LubedeR]] * [[Innocent]] * [[Hexennacht]] * [[DO-IT-AMA-SITE!!!]] * [[iberis]] ===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 * [[\#Namescapes]] * [[緋色月下、狂咲ノ絶]] * [[FAR GONE]] * [[SHARK ATTACK]] - [[Sharkbait]] 후속곡. * [[インドア系ならトラックメイカー]] * [[MURASAME]] - [[AYAKASHI]] 후속곡. * [[Scat Jazz Dance]] * [[SHARK IMPACT]] == 아크곡 == 아크 노트가 사운드 볼텍스의 노브와 비슷해 모바일 사볼이라고도 불리는 모바일 리듬 게임 Arcaea에도 노브곡과 비슷한 개념인 아크곡이 있다. 자주 쓰이는 말은 아니다. * 주요 아크곡 목록 (따로 언급 안하면 Future난이도에 해당) * [[qualia -ideaesthesia-]] * Present - 무려 98%의 노트가 아크다. * Beyond - 극단적인 손 꼬기, 홀드 노트의 성질을 이용한 아크 장난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 [[Red and Blue]] - 왼손은 파란색, 오른손은 붉은색 아크를 처리하라고 채보 제작자 명의에서부터 안내하고 있다. * Beyond - 위의 아크 처리 법칙에다 극악한 손 꼬기가 더해졌다. * [[Suomi]] - 입체 물수제비와 숫자 아크 패턴이 나온다. * [[Nhelv]] - 초반에 압도적인 속도의 아크가 나와서 난이도가 확 올라간 곡이다. * [[dropdead]] Present - Present 난이도 보스곡으로 대놓고 손 꼬이라고 낸 아크가 특징이다. * [[STAGER]] * [[Rugie]] - 하나의 아크에서 두 개의 아크로 갈라지는 아크 패턴이 많이 나온다. * [[Heavenly caress]] - 보정이 걸린 틱이 높은 아크가 많이 나온다. * [[Corruption(Arcaea)|Corruption]] - 배배 꼬인 아크 노트로 인해 개인차가 굉장히 심하다. [[분류:리듬 게임 특수 채보]][[분류:사운드 볼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