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키스트 던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노상강도(다키스트 던전))] [include(틀:다키스트 던전)] [include(틀:다키스트 던전/도살자의 서커스 영웅들)] ||
[[파일:highwayman.jpg|width=100%]] || || {{{+1 {{{#red '''Highwayman''' }}}}}} || [목차] == 개요 == 본 문서는 [[노상강도(다키스트 던전)|노상강도]]의 도살자의 서커스 버전 성능을 적었다. 기존 캠페인의 노상강도를 원한다면 [[노상강도(다키스트 던전)|이쪽]]을 참고. == 능력치 == ||<-9> '''{{{#white 기본 능력치}}}''' || || 체력 || 회피 || 방어력 || 명중률 보정 || 치명타 확률 || 공격력 || || 36 || 15 || 0% || 0 || 9% || 7 - 14 || 적절한 능력치와 높은 치명타율을 가지고 있다. 치명타 적중 시 버프는 명중 +10. ||<-9> '''{{{#white 저항력}}}''' || || '''{{{#white [[파일:stun.png]]기절}}}''' || '''{{{#white [[파일:move.png]]이동}}}''' || '''{{{#white [[파일:poison.png]]중독}}}''' || '''{{{#white [[파일:bleed.png]]출혈}}}''' || '''{{{#white [[파일:debuff.png]]약화}}}''' || '''{{{#white [[파일:Deathsdoor.png]]죽음의 일격}}}'''|| || 20% || 25% || 30% || 30% || 30% ||<|7> 75% || 저항은 대체적으로 모두 평범한 편. 상대방이 보정이 없다면 이따금씩 저항을 하는 정도다. 이동 가능 범위는 앞 2칸, 뒤 2칸이다. == 스킬 == || [[파일:u2F8p2F.png]][br]'''{{{#e19b50 ○ ● ● ●}}}''' '''{{{#red,#ff0000 ● ● ○ ○}}}'''[br]'''{{{#white 사악한 칼질[br](Wicked Slice)}}}'''[br]{{{#CCA63D 근접}}}[br]{{{#white '''기본 명중: 90 / 피해 보정: +15% / 치명타 보정: +9.0%[br]{{{#red 죽음의 일격}}}을 가할 확률 +20%'''}}} || 무난한 근접 딜링기. 죽음의 일격 추가 확률을 가지고 있어서 전열, 특히 2열에 있는 대상에게 마무리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보통 이것 아니면 정맥 절개 둘 중 하나를 택하는 편. || [[파일:K6QOtSb.png]][br]'''{{{#e19b50 ● ● ● ○}}}''' '''{{{#red,#ff0000 ○ ● ● ●}}}'''[br]'''{{{#white 권총 사격 [br] (Pistol Shot)}}}'''[br]{{{#CCA63D 원거리}}}[br]{{{#white '''기본 명중: 90 / 피해 보정: -15% / 치명타 보정: +11.5%[br]피해 +70% ("{{{#red 표식 찍힘}}}" 대상)'''}}} || 노상강도의 원거리 공격기. 메리트가 적어서 보통은 채용율이 낮은 편이다. 주로 표식 파티에 노상강도를 집어넣을 때 가끔 사용하는 정도. || [[파일:BlgurYr.png]][br]'''{{{#e19b50 ○ ○ ○ ●}}}''' '''{{{#red,#ff0000 ● ○ ○ ○}}}'''[br]'''{{{#white 영거리 사격 [br] (Point Blank Shot)}}}'''[br]{{{#CCA63D 원거리}}}[br]{{{#white '''기본 명중: 110 / 피해 보정: +50% / 치명타 보정: +9.0%[br]자신: {{{#skyblue 뒤}}}로 1열 이동[br]대상: {{{#skyblue 뒤}}}로 1 (기본 100%), {{{#red 죽음의 일격}}}을 가할 확률 +30%'''}}} || 본편과 비슷하게 결투가의 진격을 사용한 후 앞으로 나왔을때 다시 후퇴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피해량도 높고 높은 죽음의 일격 추가 확률이 붙어있는 덕에 상대방에게 큰 압박을 심어줄 수 있다. || [[파일:OzUfTGu.png]][br]'''{{{#e19b50 ○ ● ● ○}}}''' '''{{{#red,#ff0000 ●-●-● ○}}}'''[br]'''{{{#white 포도탄 사격 [br] (Grapeshot Shot)}}}'''[br]{{{#CCA63D 원거리}}}[br]{{{#white '''기본 명중: 80 / 피해 보정: -50% / 치명타 보정: -5.0%[br]스트레스 공격 +15'''}}} || 중간 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상강도의 유일한 광역기. 본편과는 다르게 적에게 적지않은 스트레스 피해를 입힌다. 보통 스트레스 조합에서 짤딜과 스트레스를 같이 넣을때 쓴다. 단점은 위력, 명중, 치명타율 모두 시원찮은 편이라 보정이 없으면 어렵잖게 회피하거나 딜이 잘 안 들어간다. 반드시 중보병의 지휘와 같이 쓸 것. || [[파일:r6eUl76.png]][br]'''{{{#gold 전투당 1회 사용 가능}}}[br]{{{#e19b50 ● ● ● ●}}}''' '''{{{#red,#ff0000 ● ● ● ●}}}'''[br]'''{{{#white 복수 [br] (Vendetta)}}}'''[br]{{{#CCA63D 원거리}}}[br]{{{#white '''기본 명중: 125 / 피해 보정: -80% / 치명타 보정: +1.0%[br]{{{#7F4ED3 은신}}} 무시 / 해제[br]대상 {{{#orange 약화}}}: 회피 -20 (기본 130%, 1회 전투간 지속)[br]자신 {{{#deepskyblue 강화}}}: 피해 +30%, 명중 +10, 치명타 +8% (1회 전투간 지속)'''}}} || 본편에서의 추적탄이 서커스에서 변경되었다. 특이 사항만 봐도 알다시피 효과가 무시무시하다. 퓨어 딜러인 노상강도 특성상 반드시 채용하게 되는 스킬. 은신 무시는 전투가 끝날 때까지 지속되지만 은신을 제거하지는 않는다. 거기에 데미지도 얼마 안 되기 때문에 굳이 은신하는 적 노리겠답시고 아끼지 말고 첫 턴 버프를 바르고 시작하자. || [[파일:rdCteCr.png]][br]'''{{{#e19b50 ● ● ● ○}}}''' '''{{{#red,#ff0000 ● ● ● ○}}}'''[br]'''{{{#white 결투가의 진격[br](Duelist's Advance)}}}'''[br]{{{#CCA63D 근접}}}[br]{{{#white '''기본 명중: 100 / 피해 보정: -20% / 치명타 보정: +9.0%[br]자신: {{{#skyblue 앞}}}으로 1열 이동[br]{{{#orange 반격}}} 활성화 (3차례) / {{{#orange 반격}}}: 피해 -15%, 치명타 +5%'''}}} || 서커스에서 가장 강력한 반격을 키는 스킬. 서커스에서는 주로 조련사의 사냥개의 습격과 유물수집상의 부패의 연막같은 광격기를 억제하는 용도로 반격이 사용된다. || [[파일:gwREasR.png]][br]'''{{{#e19b50 ○ ● ● ●}}}''' '''{{{#red,#ff0000 ● ● ○ ○}}}'''[br]'''{{{#white 정맥 절개[br](Open Vein)}}}'''[br]{{{#CCA63D 근접}}}[br]{{{#white '''기본 명중: 90 / 피해 보정: -15% / 치명타 보정: +4.0%[br]{{{#red 출혈}}} (기본 100%)[br]턴당 4 피해, 3턴 지속'''}}} || 심플한 출혈 기술이다. 원정과는 달리 약화 효과가 없다. 사악한 칼질과 차이점은 죽음의 일격 추가 확률이 없고 기본 대미지가 낮지만 방어력이 높은 나병환자, 중보병 상대로는 출혈을 이용해서 적지 않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스킬은 취향에 맞게 가져가면 된다. == 전용 장신구 == || [[파일:trinket_grim_bandana.png]] || '''{{{#E19B50 음침한 반다나[br](Grim Bandana) }}}''' ||{{{#red 단장}}}||노상강도||피해 +10%[br]치명타 +3%[br]가하는 스트레스 +20%[br]받는 스트레스 +10%[br][br]위신 단계 28에 해금|| 피해, 치명타 확률과 함께 유일한 노상 전용 스트레스 피해 증가 장신구. 이 장신구만 착용했을 때 기본 피해가 8-16으로 증가하고 치명타 확률도 12%로 증가하며, 포도탄의 스트레스 피해량이 18로 증가한다. 포도탄을 안 쓸거면 반쯤 봉인. || [[파일:Inv_trinket_parrying_dagger.png]] || '''{{{#E19B50 튕겨내는 비도[br](Parrying Dagger) }}}''' ||{{{#red 단장}}}||노상강도||{{{#tan 근접}}} 기술 피해 +10%[br]{{{#tan 근접}}} 기술 명중 +5[br]{{{#red 출혈}}} 기술 확률 +30%[br]{{{#orange 반격}}}: 피해 +10%, 치명타 +3%[br][br]위신 단계 33에 해금|| 반격 한정으로 피해량을 10% 올려주는 장신구. 이걸 들고 복수까지 받은 반격은 노상강도를 공격하는 것 자체를 고민하게 만들어준다. 덤으로 높은 출혈 확률 증가와 소소한 명중 증가도 붙어있다. || [[파일:Inv_trinket_powder_flask.png]] || '''{{{#E19B50 분진 플라스크[br](Powder Flask) }}}''' ||{{{#red 단장}}}||노상강도||{{{#tan 원거리}}} 기술 피해 +20%[br]{{{#tan 원거리}}} 기술 명중률 +15[br]{{{#gold 기절/멍해짐}}} 저항 -20%[br][br]위신 단계 42에 해금|| 원거리 공격의 피해량과 명중률을 보조해주는 장신구. 단점은 기절/멍해짐 저항이 0%가 되므로 상대가 보정을 조금만 해도 무한 스턴의 지옥에 빠질 수 있다. || [[파일:Inv_trinket_sturdy_buckle.png]] || '''{{{#E19B50 튼튼한 죔쇠[br](Sturdy Buckle) }}}''' ||{{{#red 단장}}}||노상강도||회피 +4[br]최대 체력 +15%[br]받는 스트레스 -10%[br]{{{#gold 기절/멍해짐}}} 저항 +30%[br][br]위신 단계 64에 해금|| 이국의 코담배를 대신할 수 있는 노상 전용 수비형 장신구. 이 장신구만을 착용했을 때 체력이 42로 증가한다. 회피도 19로 증가시킴과 더불어 노상강도의 약점인 기절/멍해짐 저항도 상승하지만, 상승된 수치인 50%도 썩 높은 편은 아니니 주의. || [[파일:Inv_trinket_duelist_pistol.png]] || '''{{{#E19B50 결투가의 권총[br](Duelist's Pistol) }}}''' ||{{{#red 단장}}}||노상강도||{{{#tan 원거리}}} 기술 피해 +10%[br]치명타 +5%[br]{{{#deepskyblue 이동}}} 기술 확률 +30%[br]명중 +10 (1열에 있을 때)[br][br]위신 단계 68에 해금|| 치명 보정을 제외한 다른 능력치가 많이 부실한 장신구. 치명타율이 14%로 증가하는 건 좋지만 열섞음은 1열 붙박이인 야만인을 밀어내거나 2열 괴인을 1열로 끌어올 수 있다는 가능성 말고는 크게 쓸모 있지 않다. == 운용법 == 노상강도는 상대의 광역 공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만한 높은 피해량의 반격 공격을 혼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스킬셋에 따라 유연한 열섞음을 보여줄 수 있는 영웅이다. 스트레스를 주는 요소는 적기에 스트레스 조합보다 순수 딜링 조합에 채용된다. '결투가의 전진'과 '영거리 사격'의 조합은 캠페인에서도 사용된 유서깊은 스킬셋으로 자신은 반격으로 공격을 차단하고, 적의 1열에 높은 피해량을 박아넣음으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 특히 조련사나 유물수집상처럼 그렇게까지 튼튼하지 않은 영웅들의 광역기를 원천차단할 수 있다는게 장점. '포도탄 발사'를 이용한 스트레스 광역 딜은 노상강도 본인이 끌어오기에 당하면 사용이 좀 어려워질 수 있지만, 그런 때에도 이동+공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스킬을 2가지나 가지고 있다는 점을 살려 큰 피해의 단일 공격과 광역 공격을 병행할 수도 있다. 노상강도의 카운터는 기절 스킬. 기절은 어떤 영웅에게든 껄끄럽지만, 기절 중에는 특히 반격을 할 수 없다는 점이 상당히 뼈아프게 다가온다. 다만 서커스에 익숙하지 않은 가주들은 기절이 걸렸다고 해서 그 이후 턴의 제일 마지막을 잡아 그제서야 기절을 푸는 실수를 종종 하는데, 일단 턴을 일찍 잡아 기절을 풀기만 하면 그 직전에 '결투가의 진격'을 사용했을 경우 기절을 푼 뒤에도 반격은 1턴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상대가 광역 공격을 주로 사용하고 노상강도가 기절해있는 틈을 노리려는 눈치라면 차례를 한번 넘기더라도 기절을 일단 풀고 최대한 반격이 발동되어 있는 시간을 늘려주는 것이 중요. [[분류:다키스트 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