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노선경}}}'''[br]'''盧善敬'''}}}}}} || ||<-2> [[파일:노선경.jpg|width=100%]] || || '''본관''' ||[[노(성씨)|풍천 노씨]] || ||<|2> '''출생''' ||[[1895년]] [[10월 5일]] || ||[[해주시|해주부]] [[송화군]] 풍해면 성상동[br](현 [[황해남도]] [[과일군]] 세교리) || ||<|2> '''사망''' ||[[1993년]] [[11월 13일]] (향년 98세)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시영아파트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455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1895년 10월 5일 해주부 송화군 풍해면 성상동(현 황해남도 과일군 세교리)에서 [[노백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18년 평양 출신 [[장일환(1886)|장일환]]이 하와이에 들러 [[박용만(1881)|박용만]]의 지도를 받고 귀국 후 조직한 '조선국민회'에 [[숭실학교]] 학생으로서 가담했다가 그해 2월 평양경찰서에 장일환 등 11명과 함께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 후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19년에는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한편 유하현(柳河縣) 대석탄학교(大石灘學校)에서 군사강습소를 운영했다. 1920년에는 동지 백은선(白銀鮮)과 학생모집 및 군자금조달 등을 위하여 국내로 들어오던 중 [[봉천성]] [[단둥시|안동현]]에서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어 신의주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이후 중국으로 망명해 동생 [[노태준]]과 함께 독립운동에 가담했다가 [[8.15 광복]]을 맞았다. 광복 후 귀국하여 서울에서 조용히 지내다 1993년 11월 13일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시영아파트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https://news.joins.com/article/2841976|#]]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노선경에게 대통령표창을 수여했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그리고 1993년 11월 17일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안장했다. [[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풍천 노씨]][[분류:송화군 출신 인물]][[분류:1895년 출생]][[분류:1993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독립유공자 후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