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쫑아는 사춘기)] ||<-2>
'''{{{+2 노야마 다이즈[br]野山だいず}}}'''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野山_だいず.jpg|width=100%]]}}} || || '''이름''' ||노야마 다이즈 ([ruby(野山, ruby=のやま)]だいず)[* '다이즈'는 한자로 대두(大豆), 그러니까 [[콩]]이란 뜻이다. 작가가 누나의 별명인 '아즈키'(팥)를 의식하고 지은 이름.][br]한국명:나장군/전가람 || || '''가족''' ||父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6|노야마 타다시]], 母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6|노야마 케이코]], 姉 [[노야마 아즈사]], 祖父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6|노야마 고조]] || || '''성우''' ||[[코자쿠라 에츠코]][br][[서선주]](구판 1기), [[김필진]](구판 2기), [[박경혜(성우)|박경혜]](구판 3기), [[김율]](투니버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쫑아는 사춘기]]의 등장인물. --[[노야마 아즈사|전가람!!!]]-- 초등학교 1학년생[* 일본에서 애니가 방영된 시점인 1995년 기준으로 1988년생이다.] 활발하고 호기심 많은 아이로 [[노야마 아즈사]]의 4살 [[터울]] 동생이다. 원작에서는 [[병풍]]이지만 애니메이션에서 비중이 급상승했는데, 주로 중간중간에 잠깐씩 등장하는 수준이지만 간혹 2기 19화, 3기 12화, 3기 15화처럼 주요 인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도 있다. 가장 친한 것은 [[타카야나기 켄|켄]]. 단순히 아는 형이 아니라 '''사부로 모시는 중.''' 켄도 그런 다이즈를 친동생처럼 챙겨주고 비밀을 털어놓는다. 그리고 전직 경찰관이었던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6|할아버지]]를 매우 따른다. 가정방문의 날이나 수업 참관일에 오시는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6|할아버지]]를 반갑게 반기는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 [[노야마 아즈사|아즈키]]나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6|엄마]]는 엄한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6|할아버지]]의 성격을 아셔서 피하려고 하는 편. == 작중 내역 == [[사카키바라 요코|요코]]를 지나가다 우연히 보게 된 후로 좋아하지만 '''단지 얼굴이 예뻐서''' 좋아하는 것일 뿐이다. --에라이-- 애니에서는 애니 오리지널 캐릭터인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5|사이토 마도카]][* 대교어린이TV판은 윤세란(2기)→윤미란(3기), 투니버스판은 김수정.]라는 같은 반 여자친구가 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5|마도카]]가 바람이 나서 차인다든가,[* 그래도 본인은 여자아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으로 말하면서 마도카에 차였음에도 [[사카키바라 요코|요코]](장미/유라)를 비롯한 대안이 많이 있다면서 전혀 신경쓰이지 않은 듯. --여담으로, 대안이라고 나온 여자 아이가 [[서신애|신애]], [[김새론|새론]]이다-- 나중에 마도카(세란→미란/수정)가 바람을 피운 것이 [[사카키바라 요코|요코]]에 들통난 후, 다시 사귀자고 말하자 본인은 기꺼이 좋다고 말하는 대인배의 기질도 있다. 아직 어려서 커플 개념이 아닌 여사친 정도로 인식하는 걸 수도 있고.] [[쫑아는 사춘기/기타 등장인물#s-2.5|마도카]]가 자기 누나처럼 말이 많다고 안 만나겠다고 하다가 아즈키를 열받게 하는 등 좀 삐걱대는 사이지만 그래도 둘이 붙어다니는 걸 보면 사이가 상당히 좋은 모습으로 나온다. [[오가사와라 유노스케|유노스케]]에 대해서는 꽤나 흥미를 갖고 지켜보는 듯하다. 뿐만 아니라 툭하면 아즈키의 전화통화라든가 다른 친구들과의 대화 내용이나 중요한 장면을 몰래 엿보거나, 아즈키의 신경을 건드리는 말을 하는 바람에 평소에는 화를 잘 안 내는 아즈키가 버럭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물론 아즈키도 동생에게만 화를 내고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식으로 보고 들은 정보들을 생각없이 애매하게 흘리면서 [[떡밥]]을 만들거나 부추기는 역할을 많이 한다. 중학생 에피소드는 애초에 원작 비중이 적어서 그런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 여담 == 유노스케를 이름 그대로 부르는데 대교판, 투니버스 재더빙판 모두 동찬이, 기하와 다르게 이한누리는 그냥 이름인 '''한누리'''라고 부른다. 연상의 상대에게 누나, 형 등의 호칭으로부르는 한국 정서를 생각하면 이례적인 로컬라이징이다. [[분류:쫑아는 사춘기/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