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f> '''{{{+1 노이즈 음악}}}[br]Noise music''' || ||<|2> '''기원''' ||^^'''장르'''^^ [[모더니즘]], [[일렉트로닉]], [[미래파]], [[다다이즘]] || ||^^'''지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이탈리아]] || || '''등장 시기''' ||[[1910년대]] || || '''파생 장르''' ||[[다크 앰비언트]], [[인더스트리얼]], [[노 웨이브]], [[아웃사이더 하우스]], [[위치 하우스]], [[데인저 뮤직]] || || '''하위 장르''' ||[[파워 일렉트로닉스]], [[하시 노이즈 월]] || || '''퓨전 장르''' ||[[노이즈 팝]], [[노이즈 록]], [[파워 노이즈]], [[글리치]] || || '''관련 장르''' ||[[앰비언트 뮤직]], [[아방가르드 음악]], [[일렉트로어쿠스틱 음악]], [[익스페리멘탈 음악]], [[Lo-Fi]], [[초현실주의]] || [목차][clearfix] == 개요 == 실험 음악의 일종으로, 말 그대로 각종 [[노이즈]]로 구성된 음악이다. 현대적인 노이즈는 주로 전자장비를 활용해 만드는 경향이 강하나, 다양한 악기나 사물을 사용한 사운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노이즈 뮤지션으로는 [[메르츠보우]] 등이 있다. 전통을 거부하고 기계에서 추출된 소리에 주목해 이를 소개한 [[미래주의]]와 그 이후 [[초현실주의]], 전위음악 운동인 [[플럭서스]]가 노이즈 음악 미학 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노이즈 계열 음악의 시초는 자연 소음, 생활 소음, 공사장 소음, 비행기 엔진 소음 등을 조합해 재구성한 음악인 '뮤지크 콘크레토 (Musique concrète, 구체음악)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런 시도들은 오랜 시간동안 실험적인 [[아방가르드]] 서클에서만 사용되었다. 세계적인 그룹 [[비틀즈]]의 [[The Beatles|화이트 앨범]]에 수록된 [[Revolution 9]]도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967년 결성된 일본의 노이즈록 밴드 [[하다카노 라리즈]], [[1975년]] [[루 리드]]의 'Metal Machine Music', 글렌 브랑카와 같은 [[노 웨이브]] 계열 아티스트들, 그리고 일련의 [[인더스트리얼]] 밴드들 등 그나마 대중성을 확보한 이들의 작업물이 노이즈의 전조를 보여줬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이 [[야마츠카 아이]], [[메르츠보우]], [[히조카이단]] 등의 언더그라운드 아티스트들을 배출하며 매우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련의 일본 노이즈 음악가들을 "[[일본 음악#s-3.15|재패노이즈]]" 라는 이름으로 묶어 부르기도 한다. 일반인들이 즐기기는 쉽지 않은 장르. 처음 듣는 이라면 소음이라 여길 가능성이 높고, 되레 기이한 분위기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다. 만약 노이즈 장르에 입문하려면 비트가 있어 접근성이 높은 'Merzbeat'나 록의 구성을 가져 더 높은 접근성을 갖는 [[노이즈 록]]을 먼저 접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 관련 문서 == * [[인더스트리얼]] * [[파워 일렉트로닉스]] * [[재패노이즈]] * [[노이즈 록]] == 뮤지션 == * [[메르츠보우]] * [[짐 오루크]] * 히조카이단 * 케이지 하이노 * 더 리타 * Masonna * K2 * Pedestrian Deposit [[분류:노이즈(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