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노진혁/선수 경력)] [목차] == 시즌 전 == 스프링캠프 출국 직전 가졌던 인터뷰에서 올해는 유격수로만 뛰고 싶은 욕심이 있다고 밝혔다. 유격수로 1000이닝을 뛰는 것과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하는 것이 목표. 또 마음가짐을 다잡기 위해 룸메이트를 [[김찬형]]으로 바꿨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44&aid=0000653740&redirect=true|[스경X인터뷰] NC 노진혁 “주전 유격수 욕심…수비 1000이닝 채워보고파"]] 캠프 때부터 [[손시헌]] 코치의 조언에 따라 러닝스로우를 줄이고 스텝스로우 위주로 바꿔 송구 정확도를 높이는 데 치중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09960015|#]] 3월 말 구단 자체 청백전에 계속 결장해 팬들의 우려를 샀는데, 구단 관계자피셜 오른쪽 옆구리 부위 통증으로 재활조로 내려갔다고 한다.[[https://gall.dcinside.com/ncdinos/3517258|#]] 자체중계를 하던 염종석 해설이 직접 구단 관계자에게 물어본 바로는 심각한 부상은 아니라고 했으며, 다행히도 개막전 엔트리에 정상적으로 이름을 올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노진혁, version=231, paragraph=3.1.8)] == [[페넌트레이스]] == === 5월 === 5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개막전에서는 4타수 무안타 2삼진에 그쳤으나 6일 경기에서는 2회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58638&gameId=20200506NCSS02020&listType=game&date=20200506|투런포를 터뜨리며]] 시즌 첫 안타를 홈런으로 장식했다. 이후 볼넷과 내야 안타로 두 차례 더 출루에 성공하면서 3타수 2안타 1볼넷 2타점 1득점을 기록했다. 팀은 두 경기 모두 승리. 7일 경기에서는 6번 유격수로 선발 출전해 [[데이비드 뷰캐넌]]을 상대로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58941&gameId=20200507NCSS02020&listType=game&date=20200507|솔로 홈런을 쳐내며]] 연이틀 홈런포를 가동했다. 총 3타수 1안타 1볼넷 1타점 1득점을 기록했고, 팀은 8-2로 승리하며 창단 첫 삼성 상대 시리즈 스윕을 가져왔다. 8일 [[LG 트윈스]]전에서는 4타수 2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하며 매서운 타격감을 뽐냈다. 팀은 5-13으로 승리. 12일 [[kt wiz]]전에서는 4타수 3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팀은 연장 10회 [[박석민]]의 끝내기 홈런이 터지며 6-7로 승리했다. 15일 [[SK 와이번스]]전에서는 5타수 1안타 1득점을 기록했는데, 팀이 연장으로 가면서 [[이상호(1989)|이상호]] 자리에 [[양의지]]의 대타로 내보내면서 1루수 자원이 모두 소모되자 10회말 수비에 '''1루수로 출전했다.'''[* 10회말 1사때 유격수 땅볼이 나오자 유격수공을 유격수가 받았다는 말도 나왔다(...)] 팀은 10회초 맹공을 휘두르며 6-2로 승리. 19일 [[두산 베어스]]전에서는 5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 5월 중순 들어 갑자기 타격감이 떨어졌는데 일주일 만에 멀티 히트를 쳐냈다. 팀은 5-4로 승리. 21일 경기에서는 4-4 동점이던 9회 1사 만루에서 터진 역전 2타점 2루타를 포함해 4타수 2안타 1볼넷 2타점 2득점을 기록했다. 팀은 12-6으로 승리. 22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5번 유격수로 나서 4타수 2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팀은 5-3으로 패배. 28일 [[키움 히어로즈]]전에서는 8회에 쳐낸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65416&gameId=20200528WONC02020&listType=game&date=20200528|쐐기 투런포]]를 포함해 4타수 2안타 2타점 1득점으로 활약했다. 특히 홈런은 [[삼성 라이온즈]]의 개막 시리즈 이후 오랜만에 나왔다. 팀은 6-9로 승리. 29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4타수 3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하며 활약했으나 팀은 끝내기 안타를 얻어맞으면서 4-5로 패배했다. 5월 기록은 76타수 23안타 3홈런 13타점 9볼넷 19삼진 타출장 .303/.377/.461. 이제 노진혁의 장타력은 상수가 되었고, 하위 타선의 중심 역할을 맡으며 팀의 상승세에 기여했다. === 6월 === 3일 [[SK 와이번스]]전에서는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67509&gameId=20200603SKNC02020&listType=game&date=20200603|1회부터 투런포를 터뜨렸고]] 총 4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 2득점으로 활약했다. 팀은 6-8로 승리. 5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2타수 1안타 2볼넷을 기록했다. 팀은 13-2로 승리. 6일 경기에서는 [[채드 벨]]을 상대로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68412&gameId=20200606NCHH02020&listType=game&date=20200606|투런 홈런]]을 쳐내는 등 5타수 2안타 3타점 1득점으로 활약했다. 팀은 14-2로 승리했다. 이후 타격감이 크게 떨어지면서 .319에 달했던 타율이 .286까지 떨어지더니 부상까지 겹치며 14일자로 10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6월 21일 다시 1군에 등록. 23일 [[kt wiz]]전에서는 7번 유격수로 나섰고 두 차례 적시타를 쳐내며 4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팀은 4-3으로 승리. 25일 KT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2루타 하나를 포함해 4타수 2안타를 쳐내더니 2차전에서는 대타로 나와 안타를 쳐냈고, 그 다음 타석에서는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76227&gameId=20200625NCKT22020&listType=game&date=20200625|솔로 홈런까지 터뜨렸다]]. 시즌 6호 홈런. 하지만 팀은 더블헤더에서 1승 1패를 기록했다. 6월 성적은 56타수 14안타 3홈런 8타점 5볼넷 15삼진 타출장 .250/.312/.482. === 7월 === 2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는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했다. 팀은 7-9로 승리. 8일 [[SK 와이번스]]전에서는 4타수 2안타 1득점을 기록했으나 팀은 2-3으로 패배했다. 9일 경기에서는 3-2로 앞선 7회 1사 만루에서 초구를 노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82402&gameId=20200709NCSK02020&listType=game&date=20200709|데뷔 첫 만루포를 터뜨렸다]]'''. 이 홈런 덕에 크게 리드를 잡은 팀은 8-2로 승리했다. 14일 [[키움 히어로즈]]전에서는 [[제이크 브리검]]을 상대로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84586&gameId=20200714NCWO02020&listType=game&date=20200714|선취 솔로포를 날렸다]]. 시즌 8호 홈런. 그러나 이후 [[이재학]]이 내리 5실점을 하면서 팀은 1-5로 패배했다. 15일 경기에서는 5회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85068&gameId=20200715NCWO02020&listType=game&date=20200715|쓰리런 홈런을 때려내며]] 이틀 연속 팀에게 선취점을 안겨다 주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불펜진이 7회에만 5실점을 하는 등 팀은 또다시 4-7로 패배했다. 16일 경기에서도 또다시 펜스를 넘기면서 3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하는 듯 싶었으나 비디오 판독 끝에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685665&gameId=20200716NCWO02020&listType=game&date=20200716|2루타로 정정되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2타수 2안타 2볼넷 2득점의 좋은 활약을 펼쳤고, 팀은 9-1로 승리했다. 28일 [[롯데 자이언츠]]전에는 8:4로 뒤지고 있던 7회초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690455&redirect=true|통산 2번째이자 7월에만 2번째인 만루홈런]]'''(시즌 10호, 3시즌 연속 두 자릿수 홈런)으로 경기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그리고 9회초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690491&redirect=true|연타석 홈런]](시즌 11호 홈런)으로 9:8 역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하지만 팀은 원종현이 2아웃을 잡아놓고 [[정훈]]에게 끝내기 쓰리런 홈런을 허용하며 패배했다. === 8월 === 8월 6일 한화전에서 역전 3점 홈런을 기록했다. 8월 25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투런홈런을 터뜨렸다. 8월 29일 [[SK 와이번스]] 전에서 7회 조영우에게 날린 2점 홈런(시즌 15호)을 포함하여 3타수 2안타 1홈런 4타점 1득점으로 맹활약 했다. === 9월 === 9월 3일 LG전 8회말 2아웃 주자 1루에서 내야플라이 볼을 어처구니 없는 [[히 드랍 더 볼]][* 왜 어처구니 없냐면 그야말로 플라이볼의 기본 중의 기본인 공을 놓친 것이었기 때문이다. 라이트에 들어갔다면 이해해도 노진혁은 그 공을 빛 때문에 놓친게 아니다.]로 놓친 후 [[박용택]]에게 역전 쓰리런을 내주는 원인을 제공하고, 이후 9회초 타석에서는 삼진으로 물러난다. 팀도 재역전에 실패하며 패배를 기록 3안타가 무색해졌다. 다만 같은 날 실책을 허용한 김형준이 인스타로 일을 거하게 터트리는 바람에, 패배 주범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비난을 덜 받았다.--어찌됐든 저찌됐든 문경찬을 패전투수로 만들고 홀드기록도 앗아간 장본인-- 그러나 이 날을 기점으로 팀이 내리 3연패를 하며 NC 다이노스가 시한부 판정 받은 날이다, NC가 우승을 못하면 이 실책 때문이다 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비난을 받고 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ncdinos&no=4236092&_rk=CFQ&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이후 롯데와의 2경기에서 1안타씩을 때려내며 겨우 살아나는 줄 알았으나 kt전에서 무안타로 침묵하며 타격 침체는 도통 고쳐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고, 9월 12일 [[KIA 타이거즈]]전에는 7회초 기어이 기본적인 송구를 1루수 앞에 패대기치는 실책으로 [[김태진(1995)|김태진]]에게 1실점을 더하는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8회초에는 바로 [[박준영(1997)|박준영]]으로 교체되었다. 1위 수성을 걱정해야할 수준을 넘어서서, 갑작스럽게 주전 유격수가 [[입스]]를 의심해봐야할 정도로 타격도 수비도 안되는 상황이 온 것이다. 9월 3일 이후 23타수 3안타 3타점 7삼진 4볼넷 1할 3푼대 타율의 충격적인 부진을 보였으나 9월 16일 [[두산 베어스]]전에 승부를 결정짓는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714402&redirect=true|시즌 16호 솔로 홈런]]을 뽑아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의 승투도 챙겨주고 그 동안의 부진을 중요한 경기에서 만회했다. === 10월 === 10월 15일 KIA 타이거즈 전에서 홍상삼을 상대로 11:6에서 경기를 1점차로 추격하는 만루포를 작렬시켰다. 무엇보다 이 홈런은 데뷔 후 처음으로 '''한 시즌 20홈런'''을 달성한 것이다.--그러나 팀은 9회초 원종현의 방화로 또 졌다...-- == 한국시리즈 == 3차전에서 발도 느린 페르난데스의 평범한 유격수 땅볼 타구를 처리하지 못하고 알을 까면서 동점을 허용했다. 팀은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역전을 허용하면서 6:7로 패배.[* 몇몇 키움팬들은 14코시 때 [[강정호|이 분]]인 줄 알았다고 한다.] 5차전에서 6번 유격수로 선발 출전해 안타를 기록하지 못했지만 5회말에서 선두타자로 나와 스트레이트 볼넷으로 출루하였고, 1사 2루 상황에서 애런 알테어의 적시타로 홈을 밟았다. 이 점수가 5차전의 선취점이자 결승득점이 되었고, 팀은 5:0으로 승. 두산과의 시리즈 스코어를 뒤집는데 성공하였다. 6차전에서도 안타와 인연을 맺지 못했지만, 6회말 2:0으로 앞선 상황에서 볼넷으로 출루하고 후속타자의 2타점 적시타로 추가득점에 성공하였다. 팀은 끝내 리드를 지켰고, 창단 첫 우승을 통합우승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 시즌 후 == == 총평 == 손시헌의 은퇴로 주전 유격수를 맡게 된 첫 해였다. 커리어 첫 20홈런을 달성하며 거포 유격수로서의 자질을 증명했으며, 수비이닝도 데뷔후 처음으로 1000이닝을 돌파하며 공수겸장 유격수로서 시즌 전 개인 목표를 모두 달성한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비록 한국시리즈에서는 3차전의 치명적인 실책을 비롯해서 커리어 하이 시즌에 걸맞지 않은 경기력을 보여줬지만, 손시헌의 뒤를 이어 주전 유격수로서 팀의 창단 첫 우승 달성에 기여하며 커리어 하이와 동시에 생애 첫 우승반지까지 획득한 최고의 시즌이 되었다.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NC 다이노스/2020년]][[분류:노진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