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네임 || '''野橋 太郎''' [br] '''のはし たろう''' [br] かめっしー[* 카메시] [br] 野橋 真実[* 노하시 신지츠] [br] 新井 小一[* 아라이 코이치로] [br] Arakencito || || 본명 || 野橋 太郎 || || 생년월일 || [[1982년]] [[8월 10일]] || || 출신지 || [[일본]] [[효고현]] [[고베시]] || || 신장 || 159cm || || 체중 || 82kg || || 별명 || '''陸奥継承'''[* 육안계승]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주요 커리어 || 미치노쿠 프로 토호쿠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미치노쿠 프로 태그팀 챔피언 2회 [br] 미치노쿠 프로 오오가매니아 컵 우승 (2008년) [br] U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규슈 프로레슬링 태그팀 챔피언 1회 [br] 규슈 프로 글로벌 태그 토너먼트 우승 (2021년) [br] PWLL 챔피언 3회 || || [[피니쉬 무브]] || '''다이빙 헤드 벗''' [br] '''진실일로''' [br] 동림사드라이버[* LSD III와 동형] [br] 역타격 [br] 사신이타케 || || 테마곡 || '''みちのく一人旅(ロックバージョン)'''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 == 커리어 == 미치노쿠 프로레슬링 소속. 고등학교에 다닐 무렵에 우연히 본 토류몬 전단지를 통해 프로레슬러 모집을 보며 프로레슬러로써의 꿈을 키우기 시작했고,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대학교 진학을 포기한 채 멕시코로 건너가 토류묜 9기생으로 들어간다. 2002년에 토류몬에서 '''아라이 코이치로'''라는 링네임으로 데뷔전을 가지며 타루시토, 울티모 드라콘시토를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를 갖지만 타루시토가 승리를 거두며너 패하고, 그후로는 [[아라이 켄이치로]]와 함께 팀으로 다녔다. 2003년에는 미국의 CHIKARA에서도 첫 경기를 가지며 '''아라켄시토'''라는 링네임으로 등장해 스카이데와 팀을 이뤄 [[크리스 히어로]] & 마이크 퀘큰부시를 상대로 패하고, 토류몬 재팬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첫 일본무대에서 아라이 켄이치로와 같이 미시마 라이무 & 아와사 타카미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일본과 멕시코롤 오가며 경기를 갖다가 2004년에 토류몬 해산 후 미치노쿠 프로레슬링에 들어가 활동하며 링네임을 '''노하시 신지츠'''로 바꿔 활동한다. 미치노쿠 프로에 첫 입성때는 [[신자키 진세이]]와 잠시 팀으로 다니다가 2006년에 다시 미국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CHIKARA에서 열린 태그 월드 그랜드 프릭스에 스즈키 아미고와 팀을 이뤄 참가해 드래곤 드래곤 & 리테일 드래곤을 꺾지만 [[밀라노 컬렉션 A.T.]] & 스카이데를 상대로 패하며 탈락되고, 미야와키 & 스즈키 아미고와 같이 셰인 스톰 & 지그소 & 이쿼녹스를 상대로 패한다. 토류몬 멕시코에 잠시 출연하다가 일본으로 돌아간 후로도 미치노크 프로에서 활동을 이어나갔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첫 출연해 신자키 진세이와 같이 [[자도&게도]]를 상대로 패한다. 2007년에는 카이엔타이-도조에도 첫 출연하며 [[히비스커스 미|애플 미유키]]와 팀을 이뤄 싸이코 & [[야마가타 유우]]를 상대로 혼성 태그팀 매치에서 패하고, 이후로도 카이엔타이-도조와도 병행하며 활동하다가 [[대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해 크레이그와 팀을 이뤄 이노우에 카츠마사 & 콘도 히로유키를 상대로 패하고, ZERO1에선 제스트와 경기를 가져 WWA 월드 주니어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를 갖지만 패하며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2008년에도 미치노쿠 프로와 카이엔타이-도조를 오가며 경기를 가졌고, [[DDT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해 [[타카나시 마사히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드래곤 게이트]]에선 미나미노 타케시 & 엘 블레이저와 팀을 이뤄 [[Kzy|mcKZ]] & [[타니자키 나오키]] & 수퍼 센롱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프로레슬링 NOAH]] & 켄스케 오피스의 합동흥행에서는 스즈키 아미고와 팀을 이뤄 [[이시모리 타이지]] & 오타 잇페이를 상대로 패하고, 2009년에는 오키나와 프로레슬링과 병행하며 활동하다가 2010년에 변화하며 링네임을 '''노하시 타로'''로 변경해 전과 다른 기믹으로 활동한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도 오랜만에 경기를 갖다가 2011년에는 규슈 프로레슬링 3주년 기념쇼에도 참전하고, [[전일본 프로레슬링]] & 신일본 프로레슬링 & 프로레슬링 NOAH의 합동흥행에도 출전해 자도 & 게도 & [[권왕(프로레슬러)|권왕]]과 팀을 이뤄 [[타구치 류스케]] & 이시모리 타이지 & [[그레이트 사스케]] & [[타이거 마스크(프로레슬러)|타이거 마스크]]를 상대로 패한다. 2013년에는 NOAH 본무대에서도 처음 경기를 가지며 히나타지 루와 팀을 이뤄 [[쿠마노 히토시]] & 이시모리 타이지를 상대로 2차례 승리를 거두고, 이시모리 타이지의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자리에도 도전했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미치노쿠 프로레슬링에서 데스매치로 가져보며 [[이토 류지]]를 상대로 바브드 와이어 보드 데스매치를 벌였지만 패했고, 베넘 알리(타이거 알리)와 같이 누마지로라모 케센 & [[울티모 드래곤]]을 꺾고 새로운 미치노쿠 프로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무관왕에서 탈출한다. [[WRESTLE-1]]에도 잠깐 출연해 [[하마 료타]]와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미치노쿠 프로와 영국의 4FW의 합동흥행에 출연하며 영국에서도 경기를 가져보고, 2014년에도 NOAH 및 DDT에도 출연해 경기를 갖다가 2015년에 자신의 본명을 히라가나로 쓴 단어로 링네임을 바꾸며 새로운 기믹으로 활동하며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게 된다. 2016년에는 프랑스의 ICWA에서도 경기를 갖게되고, 2017년에 드래곤 게이트에 오랜만에 등장해 [[요시오카 유키(프로레슬러)|요시오카 유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호주의 QWA에도 출연해 세스 타일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일본으로 돌아간 후로 계속해서 미치노쿠 프로를 포함한 다른단체에 가끔씩 출연하며 경기를 갖다가 미치노쿠 프로에서 [[GAINA]]와 함께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며 오랜만에 챔피언 경력을 만들어냈고, 히나타지 루를 꺾고 토호쿠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싱글 챔피언 경력도 만든다. 2020년대에도 타단체에서도 경기를 갖는 일이 생겨 규슈 프로레슬링에서도 챔피언 경력을 만들어냈고, 미치노쿠 프로에서 활동을 계속해 나갔다. == 기타 == * [[울티모 드래곤]] & [[신자키 진세이]] & 호르헤 리베라의 제자이다. * 고등학생 시절엔 유도부에서 활동했다. * 일본에선 키가 작은 남성 프로레슬러로 알려졌다. * 취미는 [[미니사구]]이다.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2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고베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