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슈도모나스속]] ||<-2> '''{{{#fff {{{+1 녹농균}}}[br]綠膿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녹농균.webp|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녹농균배양.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seudomonas aeruginosa'' '''[br](Schröter 1872)[* ''Bacterium aeruginosum'' Schroeter 1872] Migula 1900 || ||<-2> {{{#000 '''분류'''}}} || || {{{#000 '''역'''}}} ||세균역 (Bacteria) || || {{{#000 '''미분류'''}}} ||그람 음성균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Proteobacteri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Gammaproteobacteri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슈도모나스목(Pseudomonad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슈도모나스과(Pseudomonad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 '''속'''}}}]]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라틴어식 발음으로는 프세우도모나스. 물론 관련 업계/학계에서 이렇게 부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 [[생물 분류 단계#s-3.8|{{{#000 '''종'''}}}]] ||'''녹농균(''P. aeruginosa'')''' || [목차] [clearfix] == 개요 == 녹농균([[綠]][[膿]][[菌]])은 슈도모나스속의 대표적인 균종([[기준종]])으로, 그 중 거의 유일하게 인간에게 병원성을 가지는 종이다.[* 나머지는 식물에게 병을 일으킨다.] 녹농균이라는 이름은 이 세균이 생산하는 파이오시아닌(pyocyanin)[* 일반 색소]과 파이오베르딘(pyoverdine)[* 형광 색소, 같은 형광색소군으로 묶이는 프세우도모나스 균종들이 공동으로 생성하나 aeruginosa 이외 프세우도모나스는 파이오시아닌을 생성하지 않는다.]의 색이 각각 [[청록색]]과 [[초록색]]이기 때문에, 환자의 [[고름]](농)이 초록색으로 보이는 데에서 유래했다. == 특징 == 녹농균이 가지는 슈도모나스속 세균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그람 음성]]의 간균이라는 것과, [[생물막]](biofilm) 형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일반적인 자연 환경(토양, 물, 식물) 내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한 경우 항균제 내에서도 생존한다.]. 이 자연에서 생존 가능하다는 특징이 녹농균이 치명적인 병원균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다. 성장에 필요로 하는 영양이나 여러 조건도 지극히 단순하기 때문에 병원 내의 각종 장비들에서도 발견된다. 기본적으로는 절대호기성(obligate aerobe)이지만 [[질산염]](nitrate)을 이용하여 [[산소]] 없이도 생존할 수 있다. 질산염까지도 없는 경우 [[피루브산]]과 [[아르기닌]]을 기질로 하여 [[기질 수준 인산화]] 과정을 거치는 방법으로 소량의 [[아데노신3인산|ATP]]를 얻으며 생존할 수 있다. 정상인의 장내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으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들의 장내에서 종종 발견되며, 이런 경우에는 만성적인 [[기회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배양 시 특유의 과일, 청포도 향이 나고 BAP배지에서 베타 용혈을 일으키고 녹색 집락을 보인다. 운동성을 지닌다. 최근 항생제 내성을 보유한 균으로 지목되어 기회감염 및 원내감염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독소 및 병리 == * '''외독소 A''' (Exotoxin A, ExoA; pseudomonas exotoxin) - 단백질 합성을 중단시킨다는 점에서 [[디프테리아 독소]](diphtheria toxin)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핵생물]]의 [[리보솜]]에서 [[번역(생물학)|번역]]이 일어날 때 작용하는 [[EEF2]](eukaryotic elongation factor 2) 단백질을 불활성화시키는데, 이는 [[아데노신 이인산 리보스]](ADP-ribose)를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AD]]에서 EEF2의 [[디프타마이드]](diphthamide) 잔기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제2형 분비 시스템]](type 2 secretion system, T2SS)을 통해 분비된다. * 외독소 U (ExoU) - [[제3형 분비 시스템]](T3SS)을 통해 분비되는 외독소로, 표적이 되는 숙주 세포에 침투해 [[인지질분해효소]] 역할을 하며 [[세포막]]을 파괴한다. * 파이오시아닌 - 상술한 푸른색 청록색을 띄게 하는 분비물로, [[카탈레이스]](catalase)를 불활성화시켜 [[활성산소종]]이 제거되지 못하도록 만든다. 늘어난 [[활성산소종]]은 면역반응에 필요한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할 수 있으며, 활성산소종이 산소에서 변환되기 위해 체내에 필요한 [[NADPH]] 분자를 NADP+로 산화시키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질병 == 상술했듯 병원 내의 장비에서도 발견되어, 병원 내 감염의 중요 병원체로 꼽힌다. 특히 병원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녹농균 균주는 면역억제 상태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 [[폐렴]], 특히 [[폐렴#s-2.4|인공호흡기 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 성인의 호흡기와 [[폐]]에서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을 일으킬 수 있다. * 면역저하 환자에서의 녹농균 [[균혈증]]이 나타내는 소견으로 [[괴저성농창]](ecthyma gangrenosum)이 있으며, 더 나아가 [[패혈증]]을 일으킬 시 높은 병원성과 주로 면역저하 상태 환자에게 감염된단 점에서 치명적이다. * [[외이도염]](external otitis) - 감염 시 급성 외이도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피부]]와 [[결합조직]] 감염 관련해서는 [[화상]]을 입은 환자에서 이차감염을 일으키거나, [[연조직염]](cellulitis)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병원성 [[골수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진단 == 배양 검사 시 [[젖당]]을 [[발효]]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 단서가 된다. [[맥콘키 한천배지]](MacConkey agar)에서 투명하게 분리된다. 그 외에는 [[그람 음성]], [[산화효소]](oxidase) 양성, [[카탈레이스]] 양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술한 다양한 분비물이 띄는 색깔을 보고 판별할 수도 있다. == 치료 == 녹농균 자체는 상재균이라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감염되는 사례가 많지 않으나 병원 내에서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들에게서 원내/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치료에는 항생제가 사용되나 원내감염의 경우 항생제 내성을 보유했을 가능성이 높아 항생제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