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지구의.jpg]] [목차] == 개요 == 地球儀. [[조선]] 후기, 1800년대 초반에 천문학자 최한기(崔漢綺)가 [[청동]]으로 제작한 [[지구의]]. 현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883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직경 24cm, 높이 27.7cm, 목발 지름 26.8㎝. 정식 명칭은 그냥 [[지구의]]이지만, 다른 지구의와의 구분을 위하여 놋쇠 지구의, 청동 지구의라고 부른다. 1800년대에 혜강 최한기가 제작한 [[지구의]]로, 남북극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사발모양의 받침대에 남북축을 수평이 되게 걸쳐놓은 것이다. 지구의에는 10도 간격의 [[자오선]]과 [[위선]]이 그려져 있고,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그리고 황도(黃道)가 그려져 있는데, 황도에는 [[24절기]]가 표시되어 있다. 지도는 [[남극]]을 제외한 세계지도가 거의 그려져 있고 [[한자]]로 된 각 나라 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인 목발 입구에는 청동제 환(環)을 붙이고 거기에 360도의 눈금을 새겨 놓았다. 최한기가 쓴 [[지구전요]]와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지구전요에 나오는 지구전도(地球前圖)와 지구후도(地球後圖)의 지도 윤곽과 지명 등이 이 지구의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혼천의 및 혼천시계]](渾天儀 및 渾天時計)와 함께 조선의 지리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3859&cid=46637&categoryId=46637|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지구의]]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7609&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놋쇠지구의]] * [[https://ko.wikipedia.org/wiki/놋쇠지구의|한국어 위키백과 : 놋쇠지구의]]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68&cid=42955&categoryId=42955|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 청동제지구의]]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21311&cid=42469&categoryId=42469|천문학 작은사전 : 놋쇠 지구의]] == 보물 제883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830000,11&pageNo=5_2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지구의 (地球儀)]] >직경 24㎝ 크기의 청동으로 만든 지구의이다. 우리나라의 지구의에 대한 기록상으로 조선 인조 23년(1645) 소현세자가 북경에서 돌아오면서 가져 왔다는 여지구(輿地球)가 있고, 이 외에도 혼천시계에 연결되어 있는 지구의에 대한 내용이 보인다. >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이 지구의는 최한기가 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10˚간격으로 경선과 위선이 있고,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그리고 황도를 표시하고 있다. 황도에는 하지, 동지 등 24절기가 새겨져 있다. 느티나무를 파서 사발모양의 받침대를 만들고 청동으로 만든 360˚의 눈금을 새긴 둥근 고리를 받침 위에 붙여놓았다. 360˚ 눈금이 있는 둥근 고리는 지구의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만들었고, 지구의의 남북 축을 수평으로 올려놓도록 고안되어 있다. > >지구의의 제작은 지도의 도법 이해와 지도의 정밀한 표현에서 지도발달사에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이 지구의는 지구의 자체를 목적으로 만든 것으로서는 유일한 유물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조선의 지도]][[분류:조선의 천문서]][[분류: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