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농촌진흥청]] [include(틀:대한민국의 행정각부)] ||<-2> {{{+1 '''농촌진흥청'''}}}[br]農村振興廳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2> [[파일:농촌진흥청_국_좌우.svg|width=260]] || || '''약칭''' ||농진청 {{{-2 (農振廳 | RDA)}}}|| || '''설립일''' ||[[1962년]] [[4월 1일]]|| || [[농촌진흥청장|{{{#fff '''청장'''}}}]] ||[[조재호(공무원)|조재호]]|| || [[농촌진흥청 차장|{{{#fff '''차장'''}}}]] ||[[서효원(1966)|서효원]]|| ||<|2>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 너비=10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 || '''상급 기관''' ||[[농림축산식품부]]|| || '''정원''' ||1,235명[br]{{{-2 (본청 343명+소속기관 890명+한시정원 2명)}}}|| ||<-2> [[https://www.rda.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blog.naver.com/rda2448|[[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s://youtube.com/channel/UCLUJsGYtuS2vRovTGqSCb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facebook.com/rdakore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instagram.com/rda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ove_rda, 크기=23)] || || [[대한민국 정부상징|[[파일:정부상징.svg|height=26]]]] '''과학기술로 만드는 활기찬 농업·농촌, 더 나은 미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Z7RYGMJ4W_1.jpg|width=100%]]}}} || || '''농촌진흥청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 border-radius:5px;background-color: #F2F2F2,#000; padding:12px"{{{}}} '''[[정부조직법]] 제37조([[농림축산식품부]])''' ③ 농촌진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소속으로 농촌진흥청을 둔다. ④ 농촌진흥청에 [[농촌진흥청장|청장]] 1명과 차장 1명을 두되, 청장은 [[정무직공무원|정무직]]으로 하고, 차장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대한민국]]의 [[대한민국의 차관|차관급]] [[국가행정조직/대한민국|중앙행정기관]]으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이다. [[농촌]] 진흥을 위한 시험·연구 및 농업인의 지도·양성과 농촌지도자의 수련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1962년]] [[4월 1일]] 농림부 농사원을 개편하여 발족하였다. 종전에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35(舊 [[서둔동]] 251)에 있었으나[* 바로 위에 서호공원이 있으며 지금은 [[한국농어촌공사]]와 농촌진흥청 경기본부가 들어와 있다.][* 해당 부지가 어떻게 개발될지 [[부동산]] 업계 등에서 주목받고 있다.][* 수원에는 과거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캠퍼스가 존재하기도 하였으나 [[2003년]]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14년]]부터 [[전북혁신도시]] 조성으로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舊 중동 693)로 이전을 했다. 기관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홈페이지에 [[농업]]과 관련된 정보가 있으며, 각종 [[농작물]] 작업의 일년 시기별 작업표 등과 병충해 예방 등의 자료 정보를 제공한다. == 연혁 == [[1949년]] 1월에 '농업기술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고, [[1962년]]에 농림부의 외청으로 농촌진흥청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40300329101008&edtNo=3&printCount=1&publishDate=1962-04-03&officeId=00032&pageNo=1&printNo=5033&publishType=00010|설치 설립]]되었다. 이후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1973년]]에 농림부가 다시 농림수산부로 바뀌면서 농림수산부 소속이 되었고, [[1973년]]에 농수산부가 농림수산부로, [[1987년]]에는 다시 농림부로, 그러다가 [[2008년]]에 농림부가 농림수산식품부로, [[2013년]]에 [[해양수산부]] 재설치로 농림수산식품부가 [[농림축산식품부]]로 바뀌면서 [[농림축산식품부]] 소속으로 변경되어 오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3814&ancYd=20141119&ancNo=00001&efYd=20141119&nwJoYnInfo=Y&efGubun=Y&chrClsCd=010202#0000|지방자치단체에 두는 고위공무원단 직위의 직무등급 표시에 관한 규칙]]에 나오듯 각 도청 소속기관인 농업기술원에 농업기술원장([[고공단]] 나급) 보직으로 농촌진흥청 국장급(고공단 나급 8개 보직) 인사 적체를 해소하는 한편 해당 도청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특별자치도]]는 자치권을 좀더 보장하는 성격이 있어서인지 농업기술원장에 국가공무원을 임명하지 않고 있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했던 시기인 [[2008년]]에 농촌진흥청 폐지가 거론[* 사실 [[통계청]], [[대한민국 특허청|특허청]], [[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 등 여러 외청들보다 소관 부처에서 독립해서 운영해야 할 정도로 업무상 독립성이 크지 않은 면도 있고, 한국에서 농업이 사양산업이다 보니 통합 시도가 발생한 측면이 있다.]되기도 했지만 결국 살아남았다. 원래 전주로 이전할 계획이었던 [[한국토지공사]]가 [[경상남도]] [[진주시]]로 이전할 계획이었던 [[대한주택공사]]와 통합되는 바람에 [[한국토지주택공사]] 본사가 통째로 진주로 갔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만약 그때 농촌진흥청이 폐지되었으면 [[전북혁신도시]]에는 정말로 빈 껍데기만 남을 뻔했다.[* [[2008년]]에 농촌진흥청이 폐지되었다면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 남아 있는 기관 중에 추가적인 기관 이전을 검토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상책 검토 기간 중에 [[한국토지주택공사]] 문제가 불거졌다면 전주-완주혁신도시 쪽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여론이 형성되었을 수도 있다.] [[이명박]]이 농촌진흥청을 없애려고 하자 이전이 예정되었던 전주시민들은 반발하였고 농촌진흥청 폐지를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는데, 만약 전북혁신도시로의 이전 계획이 없었더라면 농촌진흥청은 정말로 폐지되었을지도 모른다. == [[농촌진흥청장|청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농촌진흥청장)] [include(틀:농촌진흥청장)] == [[농촌진흥청 차장|차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농촌진흥청 차장)] == 조직 == * 청장 * 대변인 - 4급 상당 보직으로 서기관·기술서기관·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이 될 수 있다. * [[농촌진흥청 차장|차장]][*가급] - 고공단 가급 * 감사담당관 * 운영지원과 * 기획조정관[*나급] - 고공단 나급 일반직, 농엽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 보직 * 기획재정담당관 * 혁신행정법무담당관 * 데이터정보화담당관 * 고객지원담당관 * 연구정책국[*나급][*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에 있다.] - 고공단 나급 일반직공무원·공업연구관·농업연구관·보건연구관·환경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 * 연구정책과 * 연구개발과 * 연구관리과 * 농자재산업과 * 스마트농업팀 * 미래농업전략팀 * 농촌지원국[*나급] - 고공단 나급 일반직, 농엽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 보직 * 지도정책과 * 기술보급과 * 농촌자원과 * 재해대응과 * 식량산업기술팀 * 청년농업인육성팀 * 농업인안전팀 * 기술협력국[*나급] - 고공단 나급 일반직, 농엽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 보직 * 국제기술협력과 * 국외농업기술과 * 농산업경영과 * 수출농업지원과 * 국립농업과학원 - 고공단 가급 * 국립식량과학원 - 고공단 가급 *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고공단 나급 * 국립과학축산원 - 고공단 나급 === 주요 간부 명단 === ||<-2> '''농촌진흥청 주요 간부 명단''' || ||<-2> '''청장''' || ||<-2> [[조재호(공무원)|조재호]] {{{#000 (행시 34회)}}} || || '''차장''' || [[서효원(1966)|서효원]] (연구사) || || '''기획조정관''' || 이상호 (9급 공채) || ||<-2> '''소속기관장''' || || '''국립농업과학원장''' || 이승돈 (연구사) || || '''국립식량과학원장''' || [[곽도연]] (연구사) || ||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 || 김명수 (연구사) || || '''국립축산과학원장''' || 임기순 (연구사) || == 소속 공무원 == === [[연구직 공무원]] === 만 20세 이상이면 학력 제한 없이 응시할 수 있다. 연구 기관인 농촌진흥청의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하지만 연구직 내에서도 전문 분야가 전부 다르기 때문에 부서 간 이동은 자신의 전문 분야를 다루는 부서와 본청 이외에는 거의 불가능하다. 자세한 건 [[공무원/직렬#s-7.2.2|해당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 [[농업직 공무원]] === 일반적인 국가직 [[7급 공무원]] 시험으로 들어온다. 진흥청에서는 굉장히 소수직렬이기 때문에 승진에 불리함이 있다. 주사보(7급)으로 시작해서 최대 부이사관(3급)까지 가능하다. 농업행정업무를 처리하던 기관이 농촌진흥청에 흡수된 흔적이며, 연구/지도업무가 아닌 농자재 등록 등의 행정업무에 집중되어 있다. === [[지도직 공무원]] === 경북에선 공개채용을 하며, 공통과목 1과목 + 농촌지도론(임업 제외) + 전공과목 3과목을 친다. 반면 경북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농업계통 전공을 나온 전공자를 대상으로 경력채용을 한다. 이들은 전공과목 3과목으로 채용한다. 이들은 지역의 농업기술센터에서 근무한다. === 그 외 공무원 === 행정직, 기계직 등의 연구업무를 보조하는 공무원이 부서마다 필요에 따라 배정된다. == 소속기관 == 소속기관들의 성격을 보면 농촌진흥청 자체가 연구조직 성격을 강하게 띄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http://www.naas.go.kr/|국립농업과학원]] - [[완주군]] [[이서면(완주)|이서면]]에 있다.[* 2014년 수원으로부터 이전했다.] 원장은 고공단 가급 일반직공무원·공업연구관·농업연구관·수의연구관·보건연구관·환경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이다. * [[http://www.nics.go.kr/|국립식량과학원]] - 완주 이서면에 있다. 원장은 고공단 가급 일반직공무원·농업연구관 또는 농촌지도관이다.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책임운영기관]]이다. * [[국립축산과학원]] - 책임운영기관이다. == 산하 기관 ==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 유관 단체 == * (사)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 한국4-H본부 - [[서울시]] [[강동구]]에 있다. [[1947년]] 경기도 내에 4-H구락부가 조직된 것을 시작으로 1948년 경기도농촌청소년구락부연합회가 창립되고, 1952년 4-H운동이 정부시책으로 채택되기에 이른다. 1954년 한국4-H구락부중앙위원회가 설립되고 1981년 새마을청소년회중앙연합회를 거쳐 1988년 4-H회중앙연합회가 되었다. 2001년 한국4-H후원회가 한국4-H본부로 바뀌었으며, 2005년 한국4-H연맹, 한국클로바동지회가 한국4-H본부와 합쳐져 통합 한국4-H본부가 되었다. 단체회원으로 한국4-H지도교사협의회, 한국4-H중앙연합회, 한국4-H국제교류협회 등을 두고 있으며 서울4-H본부, 인천4-H본부, 경기4-H후원회, 강원4-H본부, 충북4-H본부, 세종4-H본부, 대전4-H본부, 충남4-H본부, 전북4-H본부, 광주4-H본부, 전남4-H본부, 대구4-H본부, 경북4-H본부, 부산4-H본부, 울산4-H본부, 경남4-H본부, 제주4-H본부 등 17개 지방조직을 두고 있다. 참고로 4-H란 명석한 머리(Head, 智育), 충성스런 마음(Heart, 德育), 부지런한 손(Hands, 勞育) 및 건강한 몸(Health, 體育)을 의미하는 4가지의 이념(4-H)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이들 단어의 의미를 각각 지(智)ㆍ덕(德)ㆍ노(勞)ㆍ체(體)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 농진중앙회 - [[수원시]] [[권선구]]에 있다. 1987년 농촌진흥청 허가로 사단법인 농진회로 출범하여 2011년 3월 사단법인 농진중앙회로 바뀌었다. 농촌진흥청농진회, 서울농진회, 경기농진회, 강원농진회, 충북농진회, 충남농진회, 전북농진회, 전남농진회, 경북농진회, 경남농진회, 제주농진회, 여성농진회, 충남대학교농진회 등 13개 농진회를 두고 있다. * (사)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 [[천안시]] [[서북구]]에 있다. 1962년 상공부 인가로 [[사단법인]] 한국농기구공업협동조합이 출범하여 1996년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으로 바뀌었다. == 기타 == [[2020년]] [[11월 13일]] 서버가 내려갔다. [[일본]]의 [[농림수산성]] 홈페이지가 게임 [[천수의 사쿠나히메]]의 [[천수의 사쿠나히메/농사|벼농사]] 공략 사이트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국내에 알려지자, [[한국인]] 유저들도 [[한국어]]로 된 [[벼]]농사 가이드가 있는 농촌진흥청 사이트에 몰려들어서 사이트가 [[https://twitter.com/troublekeru/status/1327100728209391618|다운]]되어 급기야 [[임시점검]]에 들어갔다고 낭설이 퍼졌으나 사실 그렇게 극적인 이유로 서버가 내려갔던 것은 아니고, 농촌진흥청에서는 '__원래 예정된 서버 점검일__이었으며 [[11월 2일]]에 이미 공지된 사항이다'라는 내용을 전해 왔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점검의 일환이었다고 한다. 즉 단순히 타이밍이 잘 맞아서 생긴 해프닝이다. 자세한 건 [[천수의 사쿠나히메#s-11.1|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