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 기술, 전기=, 물리=, 파일=8세대 뇌격 1.png, 파일2=8세대 뇌격 2.png, 한칭=뇌격, 일칭=らいげき, 영칭=Bolt Strike, 위력=130, 명중=85, PP=5, 효과=방대한 전기를 몸에 둘러 상대에게 돌진해서 공격한다., 효과2=20% 확률로 상대를 마비 상태로 만든다., 성질=접촉, 상태이상=마비)] [[크로스썬더]]와 더불어 [[전설의 포켓몬]] [[제크로무]]의 전용기 중 하나로, 성능은 [[푸른불꽃]]의 전기 타입+물리 버전이다. 특별한 방법으로는 2012년 크리스마스에 배포한 "토호쿠 [[비크티니]]"가 배우고 있다. 명실상부한 '''최강의 전기 타입 물리기'''로, [[피카츄]] 일족이 독점하는 [[볼트태클]]마저 상회하는 위력에도 불구하고 반동 데미지 같은 페널티도 없으며, 심지어 마비 확률까지 20%로 2배 높다. 전설의 포켓몬의 전용기 중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성능이 좋으며, 일단 맞으면 '''[[가이오가]] 따윈 무조건 한 방에 보내버리는''' 매우 훌륭한 기술이다. 때문에 전기에 약점을 찔리는 [[칠색조]], [[루기아]][* 멀티스케일이 있더라도 제크로무의 특성인 테라볼티지에 무효화된다.], [[이벨타르]]같은 포켓몬은 제크로무를 만나면 발악 1번 하고 전기구이 치킨이 되어버린다. 다만 명중률은 85로 약간 낮기 때문에, 안정성을 추구한다면 다른 전용기인 크로스썬더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가이오가는 크로스썬더에 맞아도 무조건 한 방이기 때문에 결국은 취향의 문제다. 그래도 초전설 환경에서는 워낙 튼튼한 포켓몬이 많기 때문에 뇌격이 선호된다. 주의해야 할 사실은 접촉 판정이 있다는 것이다. 방대한 전기를 몸에 휘감아 돌격한다는 설정에 맞게 접촉기로 인정되기 때문에, 불꽃몸[* 화상을 입을 경우 물리기의 위력이 반감되어 제크로무의 화력이 크게 떨어지는 대형사고가 생기므로, 불꽃몸 특성을 갖고 있는 [[마그마번]], [[불카모스]] 등, 그리고 약점인 얼음타입의 약점을 찌르기 위해 비접촉기인 [[스톤샤워]]나 [[스톤에지]]를 탑재하기도 한다. 그 외에 벌레 타입의 약점도 찌를 수 있고 비행타입 상대 시 서브웨폰으로 탑재할 수 있긴 있다. 다만 뇌격으로 2배, 스톤에지로 4배로 찔러도 스톤에지가 위력이 10밖에 안 높다. 스톤에지는 크리티컬 확률도 높지만 4배 약점이면 어지간해선 한 방이라..], 까칠한피부 등의 특성의 영향을 그대로 받는다.[* 사실 5세대 이펙트를 보면 확실히 접촉 판정이 납득가지만, 6세대부턴 온몸에 전기를 두른 다음 번개로 내려찍는 심심한 이펙트라 납득이 안 가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또한 이 기술의 습득 레벨은 '''100'''이다. 7세대부터는 하트비늘로 되살릴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이전까지는 제크로무를 실전에 투입하기 위해 손수 레벨 100을 찍는 고생을 해야 했다. 8세대에서는 경험치사탕의 존재로 레벨업도 쉬워지고 습득 레벨도 88로 완화되어 보기가 쉬워졌다. 그 외의 자잘한 변경점이라면 효과음이 톡톡 튀는 전류 소리로 바뀌었고, 상대에게 내리친 전격의 파장이 세차게 튀어 전반적인 이펙트의 인상이 제법 호쾌하게 변하였다. [[포켓몬 초불가사의 던전]]에서는 10칸 관통 직선 기술이라는 사기적인 옵션으로 나왔다. 이로써 제크로무는 거대 포켓몬 보정을 받은 [[역린(포켓몬스터)|역린]]과 [[파괴광선]]을 포함해서 10칸 직선기만 3개나 보유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뇌격, version=88, paragraph=3)] [[분류:포켓몬스터/전기타입 기술]][[분류:포켓몬스터/물리 기술]][[분류:포켓몬스터/전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