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 || 누 || [[유니코드]] || B204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 구성 || ㄴ+ㅜ || [[두벌식]]–[[QWERTY]] || sn || [[세벌식]] 최종–QWERTY || hb || [목차] == 한국어 == === 사람을 나타내는 의문사 (고어) === [include(틀:한국어의 의문사)] 한국어에서 사람을 나타내는 의문사이다. 여기에 의문첨사 '-고'가 붙은 것이 '누구', 주격접사 '-가'가 붙은 것이 '누가'이다. 그러나 현재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누가'는 '누구가'가 줄어든 것으로 처리된다(<표준>). 방언에서는 '뉘'로도 나타난다. "누가 그랬느냐"는 질문에서 '누'라는 인물을 설정하고 예/아니오로 답하는 농담이 있다. [[백괴사전]]에는 이러한 농담을 이용한 [[https://uncyclopedia.kr/wiki/누|문서]]도 있다. [[1루수가 누구야]]와 유사한 농담이다. === 어미 '-누' === 본래 노인들이 자주 쓰던 말투이다. 근래 인터넷에서는 '-누'로 말하는 문화가 생겼다. 본래 있던 말투이기는 하나 직접적인 연관은 없어보인다. [[디시인사이드]], 인터넷 BJ들이 사용하면서 본격적으로 퍼졌다. 유행이 하게 된 원인은 자세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노'가 일베색이 강해졌기에 보니 모음만 바꿔서 '-누'로 대충 바꾼 것이 유래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 동물 [[누|Gnu]]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누)] == 1자 한자어 == [[루]]에 실린 한자들은 1자 한자어로 쓰일 때 '누'가 된다. [[혈의 누]](淚) 역시 그런 예이다. === 累 === 남에게 끼치는 신세나 괴로움. 폐(弊)와 뜻이 같으며, 근래 들어서는 [[민폐]](民弊)라는 단어가 이 의미로 쓰이고 있다. == 한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루)] [[교육용 한자]] 가운데 '누'로만 읽는 글자는 없다. 한자로 '루'라고 읽는 것은 [[루]] 참고. == 고유명사 == === [[데스노트]]의 등장인물 [[누(데스노트)|누]](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누(데스노트))] === [[요괴워치 3]]의 잡지 누(ヌー) === ヌー로 장음이다. [[일본]]에 실제로 있었던 [[오컬트]] 잡지인 [[https://ja.wikipedia.org/wiki/%E3%83%A0%E3%83%BC_(%E9%9B%91%E8%AA%8C)|ムー]]의 패러디이다. 해당 잡지의 어원은 [[무 대륙]]. [[요괴워치 3 Sushi·Tempura·Sukiyaki/퀘스트|요괴워치 3 메인 퀘스트]]에서는 "누 몇 호를 구해서 봤더니 이런 얘기가 있더라" 식으로 전개의 핵심이 된다. [[분류:동음이의어/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누, version=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