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賞春曲 == 개요 == [[조선]] 전기의 양반인 박인로가 지은 시이다. 이 시는 다른 양반 가사들과는 달리 현실의 빈궁함,삶의 힘겨움을 솔직하고 진솔하게 잘 드러낸 시로 평가받는다. 누항사라는 말은 "더러운 거리의 이야기"라는 뜻이다. == 핵심 정리 == '''갈래''': 양반가사, 은일(隱逸)가사 '''시대''': 조선 '''출전''': <노계집(蘆溪集)> '''제재''':빈이무원(貧而無怨)의 삶 '''주제''' 누항(陋巷)에 묻혀사는 빈이무원(貧而無怨)을 추구함/산림에 묻혀사는 선비의 고절한 삶과 현실의 부조화 '''해제 ''' 1. 빈이무원(貧而無怨:가난하지만 원망하지 않음)하는 삶을 노래함. 2. 비정격이 많이 드러나는 형식 3. 안빈낙도하는 생활상이 드러남 4. 전쟁 직후의 어려운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림 == 원문과 해석본 == == 읽을 때 ==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에 나온 시이기에 시대적 배경을 고려해서 읽자. == 중요한 내용 == 소 주인과 화자와의 대화가 있다. [[분류:가사]]